오늘날 학교교육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써 전 교사의 상담교사화를 강조하고 전문상담교사 자격제도 시행을 시작하였으나, 학생상담은 주로 단회기로 마치게 되는 특수성으로 인해, 기존의 단기 또는 장기적인 면담을 통해 이루어지는 상담모형의 효율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는 지적이 있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 회기만으로 이루어지는 단회 상담방법이 단기 또는 장기 상담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과학적인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생상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단회 학생상담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단회 학생상담의 과정은 상담 전 단계, 시작단계, 중간단계, 종결단계, 그리고 추수면담단계로 나누어진다. 본 모형의 특징으로는 상담교사가 학생의 문제해결 능력을 인정하여, 학생자신이 치료과정을 보다 확대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학생에게 힘을 실어주고, 삶이라는 자연스런 치유과정에 문제해결을 맡길 수 있어야 한다. 단회상담의 장점으로는 시간과 경비를 절감할 수 있고, 효율성이 높고, 우리 교육현장에 잘 부합하며, 장가상담에서 발생하는 학생의 상담교사에 대한 의존성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앞으로, 단회 학생상담 모형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학교장면에서 실제로 적용해보는 경험적 연구가 뒤따라야 하겠다.
As a way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school education, there has been a conformity that every teacher should be functioning as a counselor in school.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indicated that a great number of clients including students stay in counseling for a very short tim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of the single-session student counseling model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unseling students in school,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single-session therapy compared with the brief counseling, short-term therapy, or long-term therapy. The process of the single-session student counseling consists of the pre-counseling stage, the beginning stage, the middle stage, the closing stage, and the follow-up interviews. In this model, the work of a counselor with a student at the pre-counseling stage is regarded to be very important. In the beginning stage, the problem which the student has is focused. In the middle stage, then, making efforts to find strengths of the student and the solutions of the problem is followed through practical exercises. The closing stage includes dealing with unfinished business in the session and providing the final feedback to open the opportunities of counseling in the future. After counseling, the follow-up interviews are provided through face-to-face or on the phone. The teacher who wants to apply the single-session counseling model should recognize that a student has an ability of solving his problem by himself or herself. help him or herextend the counseling process, and trust the natural healing process of life to solving problems. The advantages of the single-session student counseling model are reducing time and expenses, producing high efficiency, reacting well to educational situations in Korea, and preventing the dependence of students on the counselor that may happen in the long-term counseling. In the future, much more scientific researches should be followed to apply the model to the school setting, in order to solidify the effectiveness of the single-session student counseling model.
본 연구에서 관심을 둔 부분은 상담 협력관계의 형성이나 개선과 관련하여 상담자들이 궁극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보편적인 행동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관한 것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상담에서 상담 협력관계 형성과 관련하여 볼 때 상담자의 행동이 일정한 양식을 보이는지 파악한 후에, 상담 협력관계가 개선된 사례와 계속 저조한 사례에서 나타나는 상담자 행동 양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A 대학에서 내담자를 표집하여 상담자와 4회 기 동안 만나서 한 회기당 약 50분간 면담하게 하였다. 상담 협력관계는 상담 협력관계 검사(내담자용)로 측정되었고, 상담자의 행동 양식은 두 명의 평정자가 1회기와 3회기의 면담이 녹화된 비디오 테잎을 보면서 심리치로 과정 Q-분류법에 따라 평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상담자 행동 양식을 얻기 위해 중다차원 축척법을 실시하여 도출된 차원들은 몰두-소원, 재구조화-탐색, 지지-도전, 책임성-서술성이었다. 둘째, 네 가지 차원의 상담자 행동 양식 중 지지-도전 차원은 상담 협력관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또한 재구조화-탐색 차원은 내담자 난이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몰두-소원, 재구조화-탐색, 지지-도전, 책임성-서술성의 상담자 행동 양식 네 차원 중 지지-도전 차원이 상담 협력관계의 변량을 가장 많이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 협력관계가 개선된 집단의 상담자와 계속 저조한 집단의 상담자는 서로 다른 행동 양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spected whether modes exist in counselor behaviors, and if so, how well these modes predict working alliance, and also identified differences in counselor behavior modes be -tween improving alliance cases and continuing poor alliance cases. To collect the data for examining these purposes, 16 clients were selected who agreed on participating in this study. Six counselors who have a master's degree in couseling psychology interviewed these clients four sessions at least. Each counseling session was videotaped. After the first and the third sessions, the clients filled out the Working Alliance Inventory(Client Form). Two raters reviewed the first and the third sessions and sorted the sessions using the Psychotherapy Process Q-sort.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our dimensi ons of counselor behaviors that underlie the Psychotherapy Process Q-sort ratings was ide ntifi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These dimensions are involvement-distance, restructure-explore, support-challenge, and responsibility-descriptivity. Second, support-challen ge mod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working alliance, and restructure-explore modes were correlated negatively with client difficulty. Third, the four counselor behavior modes and client difficulty significantly predicted working alliance. Specifically, support-challenge dimension accounted for the greatest amount of variance. Fourth, the client difficulty scale, created from 10 items in the Psychotherapy Process Q-sort, didn't predict working alliance. Fifth, to identify which counselor behavior modes could contribute to improve working alliance, the researcher looked into the differences in counselor behavior modes between improving alliance cases and continuing-poor alliance cases. The counselors in improving alliance cases tended to support in the first session and changed to be more challenging in the third one. In the first session. the counselors in improving alliance cases tended to show more responsibility behavior modes than did the counselors in co-ntinuing-poor alliance cases.
이 연구는 수련상담자들의 개인상담 구조화 교육에서 비디오테이프 시범학습(모델링)이 기존의 강의학습과 비교해서, 얼마나 우수한 교육효과를 나타내는가 하는 것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의학습과 시범학습을 통한 구조화 교육을 세 집단에 실시하여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서의 피험자들은 모의상담자들로서 구조화교육《실험처치)을 받은 직후, 각자 그들에게 무선적으로 할당된 모의내담자들을 만나, 모의로 구조화를 시연하였다. 이러한 시연 후에 피험자들은 그들 자신이 실시해본 구조화에 대한 만족도를 체크하였고, 피험자들의 구조화 시연결과《오디오테잎과 축어록)는 전문상담자로 구성된 평정자들이 각각의 피험자들의 상담자로서의 역할과 구조화에 대한 평가를 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1 집단(교재학습과 비디오테잎 모델링과 부가설명)과 실험2 집단(교재학습과 비디오테잎 모델링)의 모의상담자들은 모델링을 제한한 통제집단(교재학습과 강의) 보다 더 높은 상담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모델링 집단인 실험1 집단과 실험2 집단의 모의상담자들(피험자)은 평정자昔이 평가한 상담자평가와 구조화평가 모두에서 통제집단 보다 더 높은 평가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모델링의 기회를 가진 실험1 집단과 모델링에 부가설명까지 더 들은 실험2 집단의 비교에서는 모의상담자들의 상담만족도 평가 및 평정자들의 평가(상담자평가와 구조화평가) 모두에서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는 수련상담자들의 개인상담 구조화 고육에서, 전문상담자의 비디오테이프 시범 학습(모델링)이 기존의 강의학습 보다 수련생들의 상담만족도와 평정자들의 상남자 및 구조화 평가에서 더 우수한 교육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상담 및 상담자 교육장면에서, 개인상담 구조화 교육을 할 때, 모델링, 즉 시범학습을 통하여 보다 나은 교육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videotape modeling on the individual counseling structure technique in counselor education. The hypotheses for the study were : 1. The two videotape modeling groups in the trainee-counselor education will be higher than a lecture group (the control group) on a counseling structure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2. The two videotape modeling groups will be higher than a lecture group on the observers' evaluation about a simulation of trainees' counseling structure. The subjects (trainees) were 24 female undergraduates of a college of education who have not had counseling experience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the video plus comments group. the video onl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Counseling Rating Form(CRF) was used to measure the seven observers assessment about trainees' counseling structure as a trainee-counselor. The Client Satisfaction Questionnaire(CSQ)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a satisfaction of trainees' counseling structure.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he lecture group (p< .05) on trainees' satisfactions of their counseling structuring. An LSD test indicated that the two modeling groups scored higher on the CSQ than the lecture only group(pC05J. 2. However, a comparison of satisfaction scores of between two experimental groups did not yiel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 LSD test indicated that video modeling plus comments group rated lower than a videotape only group on the CSQ,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The observers' evaluation about the counselor role and the simulation of counseling structu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groups and the lecture group(p<.05). The further analysis(LSD Test) indicated that the two modeling groups scored higher than the lecture only group on CRF(p<.05). 4. However, a comparis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I(videotape plus comment) about structure the experimental group II( videotape only) in the observers' evaluation on counseling role and on counseling structuring did not yiel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further analysis(LSD Test) indicated that a videotape plus comment group scored lower than videotape only group(p<.05),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using a videotape modeling is more effective in both the trainees's satisfaction of counseling structuring and counselor evaluation of observers than a lecture method of teaching on a counseling structure technique of the individual counseling in counselor education.
컴퓨터를 통하여 사람들끼리 메시지를 주고받는 일은 이제 자연스러운 의사소통 형태의 하나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많은 분야에서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CMC)을 활용하려는 적극적인 시도들을 하고 있으나 심리학적 서비스 분야에서는 아직 체계적이고 집중적인 접근이 충분하지 못한 상태이다. 본 글에서는 채널 구조를 중심으로 CMC의 구조적 특성을 검토한 다음 이러한 특성이 개인내적으로 그리고 개인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CMC의 구조와 과정적 특성은 대면 만남에 비해서 대인관계의 형성과 발달에 더욱 의미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CMC에서는 내담자대 임상가의 일 대 일 서비스 보다는 내담자 집단을 활용한 서비스 형태가 더욱 적합할 것으로 보고, 집단 심리 치료에서의 치료적 요인들은 CMC를 통해서 어느 정도나 구현될 수 있는지 검토해 보았다.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CMC 기반 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집단 응집력등의 핵심적 치료 요인들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성취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온라인상에서 집단 형태의 프로그램을 실시하게 되면 CMC의 특성을 잘 살리면서 심리학적 서비스가 갖추어야 할 요건을 적절히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가장 적절한 CMC기반 심리학적 서비스 모형은 온라인 CUG를 기본적 구조로 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온라인 CUG의 메뉴들이 집단 프로그램으로서 어떻게 기능할 수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혔다.
Computer is a core instrument of communication in the information socity connecting people across time and space.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s(CMC) is actively applied to various fields with various approaches. In psychological service areas, there are few systematic and intensive theoretical studies on CMC and its application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MC, point of channel, and study how these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structural and procedural characteristics of CMC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It was suggested that a pattern of intervention utilizing interaction of clients more effective than one to one intervention in CMC.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therapeutic factors in group psychotherapy via CMC. CMC based intervention program facilitated the clients group achieve highly therapeutic factors, such as group cohesion. The on-line closed user group(CUG) seems to be proper as a basic framework of CMC based intervention program.
본 연구는 여대생의 진로결정에서 독특하게 작용하는 심리적 변인을 확인함으로써 대학상담소에서 여대생의 진로 상담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와 직업관련 자기-효능감이 여대생의 진로 결정 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4년제 대학과 전문대에 재학중인 여대생 663명이었다.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는 본 연구자가 번안하고 수정한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직업관련 자기-효능감은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된 남성-우세 직업과 여성-우세 직업 7쌍에 대한 자기-효능감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다중역할 계획에 대한 태도의 4가지 차원 중 지식/확신성 차원만이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남성-우세 직업관련 자기-효능감의 경우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인 상관이, 여성-우세 직업관련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결과 지식/확신성 차원과 남성-우세 및 여성-우세 직업관련 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의 1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수적으로 직업관련 자기-효능감과 남성-우세 및 여성-우세 직업에 대한 고려수준간 상관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우세 직업관련 자기-효능감은 남성-우세 직업에 대한 고려수준을 증가시키고 여성-우세 직업에 대한 고려수준을 감소시켰으며, 여성-우세 직업관련 자기-효능감은 그 반대의 영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중역할과 직업관련 자기-효능감이 여성의 진로결정에 작용하는 독특한 변인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Women's career decision has unique problems that are distinguished from those of men's career decision. These problems are the conflict of career and family and the low male-dominant occupational self-efficacy. This Study's purpose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and occupational self-efficacy on the career decis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of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N =663). To measure the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Attitudes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ATMRP) was used that was translated and modified. Occupational self-efficacy was measured by Self-Efficacy of 14 occupations that were selected as male- or female- dominant in pilot study.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was measured by Career Decision Scale(CDS). The result was that the Knowledge/Certainty of ATMRP and male-dominant occupational self-efficacy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The female-dominant occupational self-efficacy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indicated that these three factors explained 16% of the variance concerning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The high knowledge and certainty of multiple role planning may decrease the conflict of career and family, and help career decis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the degree of career decision may be explainedin terms of the range of occupations that can be considered. There are more male-dominant occupations than female-dominant. so high male-dominant occupational self-efficacy help consider broader range of male-dominant occupations and make career decision easier. whereas high female-dominant occupational self-efficacy make their occupational alternatives confined to narrow range of female-dominant occupations.
본 연구는 집단 괴롭힘에 개입하는 아동의 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집단 괴롭힘의 개입 유형과 심리적 특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 소재의 초등학교 4,5,6학년 714명(여자: 362명, 남자: 379명)에게 집단 괴롭힘 척도를 실시하여, 가해 성향이 높은 집단 85명, 피해 성향이 높은 집단 79명, 가해 성향과 피해 성향이 모두 높은 집단 50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우울, 그리고 불안-을 평가하였다 자아존중감 정도에서는 가해 집단이 피해 집단보다 높았으며, 우울에서는 피해 집단이 가해 집단보다 높았으며, 불안에서는 가해-피해 집단과 피해 집단이 가해 집단보다 높은 수준의 불안을 보였다. 집단 괴롭힘의 유형과 성별에 따른 심리적 특성에서의 차이 여부를 검증한 결과, 집단 괴롭힘의 유형에 따른 주효과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단 괴롭힘의 개입 유형에 따라 심리적 특성에 차이를 보임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성별에 따라서도 다른 양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different types of bullying.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llying types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 administered the Bullying Behavior Scale and Peer Victimization Scale to 741 elementary school students(4th-. 5th-. 6th grade) and classified into three distinct groups - bully group(85 students). victim group(79 students). and bully-victim group(50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self-esteem. bully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than victim students. In depression, victim students showed higher than bully students, in addition. victim and bully-victim students showed higher anxiety than bully students. Second, in according to the resul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bullying type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main effects for sex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tha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among three group of bullying and gender differences.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지지 자원인 부모의 지지와 그에 대한 근접성을 반영하는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대학생들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지방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남녀 대학생 756명으로, 부모의 지지 척도는 본 연구자가 번역,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부모가 있는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얼마나 멀게 느껴지는가를 묻는 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대학생의 적응 측정은 대학생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적응 및 하위 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학년과 성별을 통제한 상태에서 부모의 지지는 전체 적응과 하위척도 모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전체 적응과 학업적 적응, 개인-정서적 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지지와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간 상호작용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두 변인의 상하 집단을 구분하고 학년을 공변량으로 통제한 상태에서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인의 주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상호작용 효과는 의미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성별에 따라 부모의 지지와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대학생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효과가 달라지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남자 집단과 여자 집단을 분리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자 집단의 경우 부모의 지지는 전체 적응과 하위척도 모두에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개인-정서적 적응에만 영향을 미쳤으며, 여자 집단의 경우 역시 부모의 지지는 전체 적응과 하위척도 모두에 영향을 미쳤고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는 대학환경에의 적응을 제외한 전체 적응과 하위척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지지와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대학생들의 정신 건강 및 적응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며, 특히 여학생의 경우 지각된 집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남학생보다 더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support,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nd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a recruited sample of 756 four-year university students. Moos & Moos's(1994) Life-Stressors and Social Resources Inventory-Youth Form was used to obtain a measure of parental support.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as measured by asking how far they currently reside from their home.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was measured by Baker & Siryk's(984)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All were administered by the author. and if necessary. translated into Korean. The result showed that when the effects of grade and gender were controlled. parental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total adjustment and all subscales. including academic. Social, personal-emotional. and institutional attachment. and the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as negatively related total adjustment. academic adjustment. and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Parental support might affect differently by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To. explore this possibility. I computed a two-way ANOVA. on psychological adjustment with controlling grade as covariance. Both parental support and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were significant indicators of psychological adjustment. but the interaction effect was not significant. To see the impact of parental support and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on psychological adjustment of male and female stud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each group. In male group. parental support predicted total adjustment and all subscales significantly. and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predicted only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In female group. parental support predicted total adjustment and all subscales. and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predicted total adjustment and subareas except institutional attach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arental support and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are imperative to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among college students. The greater impact of perceived distance from home on psychological adjustment of female students illustrates that female students are more likely to have hardship when they can't receive immediate support from their parents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공감에 대한 자녀의 지각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녀양육에서 있어 아버지와 어머니의 역할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자녀와의 공감의 결정요인도 차이가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아버지는 자녀와 이성적인 대화를 통해서 그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공감반옹도 '대화양식'에 따라 주로 결정될 것이라고 가정하였고, 반면 어머니는 애정표현이나 보살핌을 통해서 그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공감반옹도 주로 '돌봄수준'에 의해서 결정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자녀들도 아버지와 어머니의 공감에 대하여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해서 지각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I. 부모의 공감에 대한 자녀의 지각은 대화양식과 돌봄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II. 부모의 공감에 대한 자녀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버지와 어머니에 따라 다를 것이다. 본 연구결과 <가설 1>과 <가설 2> 모두 지지되었다. <가설 1>의 지지는 대화양식과 돌봄수준이 공감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고, <가설 2>의 지지는 관계를 맺는 사람이 아버지냐 어머니이냐에 따라 공감수준을 결정하는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공감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단순히 자녀양옥에서 공감이 지니는 효과에만 관심을 두어 공감의 효과연구에만 주로 초점을 둔 반면 공감의 효과보다는 공감이 형성하는 요인과 원인에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화양식과 돌봄수준을 통해 부모와 자식간의 공감에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고, 부모의 공감에 대한 자녀의 지각이 서로 다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has tried to figure ou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ildren's perception on the empathy of each parent. In case of fathers, they mostly play their role through rational communications with their children, so that this study was hypothesized their empathy will be determined by their communication type. However, in case of mothers, they play their role by their affection or caring, so that their empathy could be determined by their level of caring. Therefore, this study set up hypotheses as follows: Hypothesis I. Children's perception on the empathy of parents will be differentiated by the communication type and the level of caring. Prediction I-1. Children's perception on the empathy of parents will be higher with the person-oriented communication than with role-oriented communication. Prediction I-2. Children's perception on the empathy of parents is up to the degree of their parents' level of caring. Hypothesis II. The factor which influence children's perception on the empathy of their parents are different. Prediction II-1. In the relation between fathers and children, the communication type will be the main the factor in children's perception on the empathy of fathers. Prediction II-2. I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the level of caring will be the main the factor in children's perception on the empathy of mothers. After the research, the result shows that both <Hypothesis I> and <Hypothesis II> are supported, the support of <Hypothesis I> means that the level of empathy is influencedby the communication type and the level of caring, and the support of <Hypothesis II> means that the factor of the level of empathy is different between fathers or mothers. The existing studies on empathy are simply focused on the effect of the empathy in bringing up, so that they have mostly been the studies on the effect of the empathy. But,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tor and the cause more than the effect of the empath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howed the factor of the empathy between fathers and children through the communication type and the level of caring, and it tested empirically the fact that children's perception on the empathy of each parent are decided by each different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