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 access
메뉴
ISSN : 1229-0688
본 연구의 목적은 2023년에 있었던 초등교사의 연쇄적 자살 사건과 초등교사 우울증 비율이 높은 현상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초등교사가 겪는 우울 및 회복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담임 교사 12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직무 환경적 요소’, ‘관계적 요소’, ‘사회문화적 요소’, ‘제도적 요소’, ‘초등교사가 경험한 우울 증상’, ‘초등교사의 우울 회복 요소’ 등 6개의 본질적 주제와 ‘근무조건의 불안정성’, ‘업무적 및 정서적 고립’, ‘과도하게 지속되는 감정노동’, ‘학생 인권 강조와 교권 추락 현상’, ‘교사에 대한 엄격한 사회적 잣대’, ‘교사 정체성 혼란’, ‘불안을 넘어선 공포와 긴장감’, ‘분노와 우울 사이’, ‘무력감’, ‘무망감과 절망감’ 등 28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에서는 상황적 구조 진술뿐만 아니라 일반적 구조 진술을 통해 초등교사가 경험하는 우울과 회복에 미치는 영향과 요인에 대한 구조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depression and recovery experience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context of the 2023 serial teacher suicides and high depression rates in this profession.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12 currently emplo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ix essential themes emerged: ‘job environment factors,’ ‘relational factors,’ ‘sociocultural factors,’ ‘institutional factors,’ ‘depression symptoms,’ and ‘recovery factors,’ Additionally, 28 sub-components were identified, including ‘job insecurity,’ ‘occupational and emotional isolation,’ ‘prolonged emotional labor,’ ‘teacher identity confusion,’ and ‘hopelessness and despair.’ The study presents both situational and general structural statements, offering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factors influencing teacher depression and recovery while capturing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eachers’ lived experien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its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