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중년여성의 꿈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담 장면에서의 꿈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the Dream Experienced by Middle-aged Women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dream in counseling middle-aged women-

초록

본 연구는 중년여성들이 생각하는 꿈의 의미와 중년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에서 꿈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들이 꿈을 개별적으로 체험하면서 받아들이는 주관적이고 현상학적인 의미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연구방법으로는 합의적 질적 연구법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을 사용하여 12명의 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여 그들의 꿈에 대한 경험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꿈에 대한 태도, 자신 및 타인과의 관계, 꿈의 활용, 3개의 중심개념과 10개의 영역, 그리고 총 23개의 범주가 구성되었다. 첫 번째 중심개념 꿈에 대한 태도에서는 과거를 회상하는 태도, 현실의 심리와의 연결감을 갖는 태도, 미래를 예언하는 기능을 신뢰하는 태도 이 세 가지 결과가 도출되었다. 두 번째 중심개념 자신 및 타인과의 관계에서는 자녀와의 관계, 배우자와의 관계, 부모 및 조상과의 관계, 자신과의 관계 이렇게 네 가지 부분의 관계를 꿈을 통해서 체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중심개념은 꿈의 활용으로, 꿈을 예방차원에서 활용하는 것, 종교적인 차원에서 활용하는 것, 실생활에서 활용하는 것 이렇게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들이 과거·현재·미래를 통합하는 매개체이자, 주변관계를 자각하고 자아상과 욕구에 대해서 통찰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의 꿈의 가능성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중년여성들의 초월적이고 종교적인 꿈에 대한 믿음을 반영하여 꿈 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함을 주장하였다.

keywords
꿈, 현상학적 꿈 체험, 중년여성상담, 합의적 질적 연구법, Dream, phenomenological dream experience, middle-aged women counsel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using dreams in counseling middle-aged women.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n dream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dreams. Us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12 middle- aged women were interviewed on dream experiences. Based on the analysis, 3 core ideas, 3-4 domains in each core idea, and 23 categories were drawn. In the “Attitude on dreams” core idea, “Reflecting the past”, “Sense of connection with the feeling in reality”, and “Trust in the ability to predict the future” domains were retrieved. In the “ Relationships with myself and others” core idea, “Relationship with children”, “Relationship with spouse”,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ancestors” and “Relationship with myself” domains were drawn. Finally, “In the usage of dreams” core idea, “Usage of dreams as precautions”, “Usage of dreams as a means of religious spirit”, and “Usage of dreams in real lif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findings, several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the possibility and the effectiveness of using dreams in counseling middle-aged women.

keywords
꿈, 현상학적 꿈 체험, 중년여성상담, 합의적 질적 연구법, Dream, phenomenological dream experience, middle-aged women counsel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참고문헌

1.

강석헌 (1984). 무아심리학과 정신치료. 동국대학교 석림회: 석림, 18, 496-503.

2.

강영경 (2005). 광복 60년, 한국여성 종교생활과 그 의식의 변화. 한국여성사학회: 여성과 역사. 145-167.

3.

강진옥 (1995). 무속신화와 일상의례를 통해서 본 여성의 종교성. 이화여자대학교 여성신학 연구소: 여성신학논집, 1, 149-200.

4.

고승덕, 조숙행 (1997).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추출.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17(2), 17-36.

5.

김광일 (1969). 한국 전래 해몽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사고 (I): 체상 體像 에 관하여. 대한 신경정신 의학회: 신경정신의학, 8(2), 15-27.

6.

김금운 (1999). 중년기 기혼여성의 생활 만족도와 다중 영학 특성의 관계 및 생성감의 매개효과: 직장여성과 전업주부의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기탁 (1998). 민속신앙에 나타난 조상숭배. 한국 민속학 민속연구, 22: 일상생활. 서울: 거산.

8.

김명자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남성과 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김명자, 박성연 (1989). 중년기 위기감 및 그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 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 학회지, 7(1), 97-118.

10.

김미령 (2006).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 한국 사회복지학회: 한국사회복지학, 58(2), 197-222.

11.

김선희 (2011). 포토 이미지 집단 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결혼 만족도 및 자아분화,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김영경, 정석환 (2005). 중년여성의 성숙성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한국 상담심리학회: 상담학연구, 6(1), 109-124.

13.

김영란 (2014). 집단미술치료가 중년여성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김영재 (2004). 점복문화 배경의 여성내담자를 위한 상담 전략의 모색: 근거 이론적 접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김은아 (1992). 중년기 부인의 자아정체감과 생의 의미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6.

김정주 (1993).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과 생활 만족도 간의 관계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김현화, 조병은 (1992). 성격특성에 따른 중년기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성역할 정체감과 내외 통제적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1), 207-228.

18.

남정자, 문상식 (2001).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건강수준. 한국노년학회: 한국노년학, 21(1), 15-29.

19.

박경숙, 김영자 (1991). 중년기 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 가정관리학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9(1), 65-80.

20.

박상란 (2009). 한국사상(문학): 현대의 태몽담 연구 시론- 6남매 태몽담을 중심으로- 한국 사상문화학회: 사상과 문화, 50, 163-191.

21.

박성준 (2011). 베이비부머 라이프스타일 기반 복합노인복지시설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2.

박영우, 강석헌 (1990). 정신치료 과정에 따른 꿈 형태. 대한 신경정신 의학회: 신경정신의학, 29(3), 703-720.

23.

박은숙 (2008). 꿈 분석을 통한 중년기 개성화 과정에 대한 연구. 상명대학교 정치경영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안순옥 (2014). 중년여성 우울증에 대한 여성주의 목회상담: 이야기 치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유정희 (2004). 집단 미술활동을 통해서 본 갱년기 여성의 신체변화에 대한 체험연구. 서울 여자대학교 특수치료 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윤 진, 김애순 (1993). 중년기 위기감 (1). 한국 노년학회: 한국노년학, 13(1), 1-16.

27.

윤현숙, 원성원 (2010). 노인의 영성과 종교 활동이 생활 만족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 노년학: 30(4), 1077-1093.

28.

윤정화 (2013). 폐경기 중년여성이 경험하는 심리적 현상연구. 백석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9.

윤 황, 이영호 (2011). 한국인의 전형적인 꿈 경험. 한국 심리학회지: 일반, 30(4), 1213- 1229.

30.

이부영 (2013). 분석심리학. 서울: 일조각.

31.

이다감 (2012). 그룹투사 꿈 작업 체험 여성들의 여성성 인식변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서울 불교대학원 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2.

이상도, 이죽내 (1984). 우울증환자의 꿈 내용. 대한 신경정신 의학회: 신경정신의학, 23(2), 167-171.

33.

이죽내 (2002).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현존재 분석적 꿈 이해. 한국분석심리학회: 심성연구, 17(2), 100-118.

34.

임경수 (2005). 인생의 봄과 가을: 중년의 심리이해와 분석. 서울: 학지사.

35.

전정자, 권영은 (1994). 중년기 여성의 자아개념과 갱년기 증상과의 관계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6(1), 48-57.

36.

주은선, 신설애 (2013). 노인의 꿈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상담 장면에서의 꿈 활용가능성을 중심으로- 한국 심리학회: 한국 심리학회지 일반, 32(3), 543-564.

37.

천성문 (2003). 정신 역동적 상담에서 꿈의 내용분석을 통한 상담효과 분석. 상담학연구, 4(4), 699-712.

38.

최광선 (1997). 중년기 여성이 보고하는 자아정체감의 변화. 사회과학, 9(1), 159-182.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39.

최용석 (2000). 반복 꿈을 꾸는 사람들의 불안 수준과 심리적 특성.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최진아 (2008). 인지- 체험적 꿈 해석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963-983.

41.

추동호, 이죽내 (1985). 정신 분열증 환자의 꿈. 대한 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24(3), 445-453.

42.

탁진희 (2002). 중년기 여성의 위기와 성숙성에 대한 이야기 심리학적 접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3.

통계청 (2005). 2005 인구주택 총조사: 성/연령/종교별 인구- 시군구.

44.

통계청 (2012). 2012 인구주택 총조사.

45.

한건덕, 홍순래 (2004). 꿈 해몽백과. 서울: 학민사.

46.

한미선 (1992). 중년기 부인의 자녀문제로 인한 스트레스, 대처방안과 심리적 적응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7.

홍근미 (2012). 중년여성의 위기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상담. 한국 복음주의 실천신학회: 복음과 실천신학, 25, 217-244.

48.

황연미 (2009). 여대생과 기혼여성의 정서표현 억제태도와 우울 및 전문적 도움추구태도 의 차이. 한국 심리학회지: 여성, 14(1), 172-199.

49.

Antrobus, J. (2000). Theories of dreaming. In M. H. Kryger, T. Roth, & W. C. Dement (Eds.), Principles and practice of sleep medicine (3rd ed.) (pp.472-481). New York: W. B. Saunders.

50.

Bonime, W. (1962). The clinical use of dreams. New York: Basic Books.

51.

Boss, M. (1977). “I dreamt last night...” New York: Gardner.

52.

Calogeras, R. C., & Alston, T. M. (2000). The dreams of a cancer patient: A royal road to understanding the somatic illness. Psychoanalytic Review, 87(6), 911.

53.

Cogar, M. C., & Hill, C. E. (1992). Examining the effects of brief individual dream interpretation. Dreaming, 2(4), 239-248.

54.

Cohen, D. B. (1973). Sex role orientation and dream recall.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2(2), 246-252.

55.

Craig, P. E., & Walsh, S. (1993). Phenomenological challenges for the clinical use of dreams. In G. Delaney(Ed.), New directions in dream interpretation (pp.103-154).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6.

Eudell-Simmons, E. M., Hilsenroth, M. J. (2007). The Use of Dreams in Psychotherapy: An Integrative Model. Journal of Psychotherapy Integration, 17(4), 330-356.

57.

Freud, S. (2004). 꿈의 해석. (김인순 역). 파주: 열린 책들 (원전은 1900년도에 출판)

58.

Goodison, L. (1997). 여자들의 꿈: 마음을 여는 여행. [The Dreams of Women: exploring and interpreting women's dreams]. 김인성 역. 서울: 또 하나의 문화. (원전은 1995년도에 출판)

59.

Hall, C. S., & Nordby, V. J. (2004). Jung 심리학 입문. [A Prim er of Jungian Psychology]. 김형섭 역. 서울: 문예출판사. (원전은 1973년도에 출판)

60.

Havighurst, R. L. (1972),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Y.: David Mckay.

61.

Hill, C. E. (2010). 꿈 치료. [Dream Work in Therapy]. (주은선ㆍ주은지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3년도에 출판)

62.

Hill, C. E. (2014). 합의적 질적 연구. (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12년 출판). 미출 판 원고.

63.

Hill, C. E., Diemer, R. A., Hess, S., Hillyer, A., & Seeman, R. (1993). Are The Effects of Dream Interpretation on Session Quality, Insight, and Emotions due to the Dream Itself, to Projection, or to the Interpretation Process?. Dreaming, 3(4), 269-280.

64.

Hill, C. E., Thompson, B. J., Williams, E. N.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65.

Jung, C. G. (1970).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the Psyche. Prinstion: Prinston Univ.

66.

Jung, C. G. (1974). Dreams. Prinstion: Prinston Univ.

67.

Kast. V. (2007). 꿈: Jung 심리학이 밝히는 무의식의 비밀 [Träume: Die geheimnisvolle Sprache des Unbewussten]. (원석영 역). 서울: 프로네시스, (원전은 2006년에 출판)

68.

Levinson, D. J., Darrow, C. N., Klein E. B., Levinson, M. H., and Mckee. B. (1978), The Season of a Man's Life, N.Y.: Knopf.

69.

Peasant, N., & Zadra, A. (2004). Working with Dreams in Therapy: What do we know and what should we do?. Clinical Psycho logy Review, 24(5), 489-512.

70.

Pearson, L. (1982). Climacteric. A. J. N., 82, 1098-1102.

71.

Perls, F. S. (1969). Gestalt Therapy Verbatim. Moab, UT: Real People Press.

72.

Postuma, R. (2012). Dreaming in Dementia-.REM Sleep Behavior Disorder and Synucleinopathy. Movement Disorders, 27(1). 30-48.

73.

Rochlen, A. B., Ligiero, D. P., Hill, C. E., Heaton, K. J. (1999) Effects of Training in Dream Recall and Dream Interpretation Skills on Dream Recall, Attitudes, and Dream Interpretation Outcom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1), 27-34.

74.

Rubin, L. B. (1979), Women of a Certain Age, N.Y.: Harper and Row.

75.

Schredl, M., Piel, E. (2008). Interest in dream interpretation: A gender difference. Dreaming, 18(11), 5.

76.

UNFPA (2012). State of World Population 2012: By Choice, Not By Chance: Family Planning, Human Rights and Development. UNFPA.

77.

Wills, E. (2009). Spirituality and subjective well-being: Evidences for a New domain in the personal well-being Index.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0(1), 49-69.

78.

Ying, Y., Miller, L. S. (1992). Help-seeking behavior and attitude of Chinese Americans regarding psychological problem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4), 549-556.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