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essay traces the paths in which the writers have involved themselves in developing 'the studies of the present developmental stage' in their own field of studies, an by extension have become aware of the widespread presence of the discussion of decolonization in fields of social sciences. The present essay takes communication studies for a case of an indepth analysis of the effort toward academic self-reliance.
방정배. .
김정근. (1997). 문헌정보학 연구에서'실천적'글쓰기란 무엇인가?. 열린지성, (3(겨울)), 83-99.
서정우. 우리나라 언론학의 어제와 오늘.
김정근. (1997). 도서관 담론에 나타나는 '가벼움'의 기원에 대하여. 도서관문화, (7·8), 22-29.
김학수. (1985). 언론학 연구의 역사적 구조와 상황. 현상과 인식, 9(1), 29-42.
김정근;김영기. (1995). 문헌정보학 연구에 있어서 글쓰기의 혁신은 가능한가. 도서관학논집, 22, 27-59.
한국사회언론연구회. (1992). '포스트'시대의 비판언론학. 한국사회와 언론, 1.
김재홍. (1988). 신문학연구의 회고와 전망. 사회과학연구, 4, 89-98.
김영민. (1994). 글쓰기, 복잡성의 철학:일리(一理)의 해석학을 위하여. 오늘의 문예비평, (12), 77-104.
강상현. (1993). 한국 언론학 연구동향에 대한 비판적 평가-최근의 패러다임 논쟁과 그 불완전 해소를 중심으로. 사회비평, (10), 122-153.
김일철. (1973). 한국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론의 회고. 신문학보, 6, 62-68.
정대수. (1985). 매스커뮤니케이션 연구방법의 반성과 새로운 접근의 모색. 신문학보, (19), 87-107.
강준만. (1998). 한국 학문의 희망, 김정근 교수팀. 월간 인물과 사상, 1(3), 59-69.
김정근;김종성. (1997). 현단계 학교도서관 문제에 관한 연구전략.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 23-51.
Oh, Jin Hwan. (1985). Foreign Influence on Korean Journalism Education. 신문학보, 20.
이효성. 언론학의 한국화를 위한 시론.
김동민.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평가와 새로운 과제.
김영민. .
김정근;이수상. (1997). 현단계 문헌정보학의 발전전략.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1), 125-151.
김정근(엮음). .
이상회. .
박흥수. 한국의 매스미디어에 대한 미국의 영향.
강준만. .
이광우 기자. 외국 색채 벗기고 창의성 묶자-부산대 문헌정보학과 공동작업실.
김정근;이용재. (1996). 한국문헌정보학연구와 문화기술적 방법. 도서관학논집, 24(여름), 107-161.
정재서;임경순;김현;김종성;김성기. 正典없는 시대 다시 시작하는 공부-우리 공부의 길을 찾아서.
김정근. (1997). 한국의 문헌정보학은 대화의 학문이가, 독백의 학문이가?. 도서관계, (1·2), 3-7.
김정근. .
배윤기. 일그러진 학문풍토에 도전하는 문헌정보학 게릴라들.
추광영. (1986). 커뮤니케이션학의 접근방법과 쟁점. 서울대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8(1), 264-265.
한국언론학회. .
추광영. (1983). 한국에 있어서의 커뮤니케이션 연구-그 역사와 현재의 위치. 신문연구소 학보, 20, 93-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