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희망도서 바로대출 서비스를 통해 구입한 장서의 현황을 파악하고 바로대출 신청 데이터 및 대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희망도서 바로대출 장서의 유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 공공도서관의 장서/대출 데이터, 자료구입비 데이터, 희망도서 바로대출 신청 데이터를 통해 희망도서 바로대출 서비스의 현황을 파악하고 대출현황, 장서회전율, 이용계수 분석을 통해 장서의 유용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사서선정 도서와 바로대출 도서 모두에서 장서수와 대출수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바로대출 도서의 경우 미대출 장서 비율이 사서선정 도서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 분석 결과 사서선정 도서보다 바로대출 도서가 상대적으로 더 활발하게 이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관관계 분석 결과, 희망도서 바로대출 예산이나 장서의 양이 장서회전율과 이용계수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희망도서 바로대출 도서의 승인이나 예산 책정과 집행에 명확한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books acquired by direct loan for requested books of public libraries in Busan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is collection by analyzing direct loan request and borrowing data. To facilitate the research, data on the collection and circulation, book purchase costs, and direct loan applications and approvals were gathered. The usefulness of the collection was evaluated by circulation analysis, as well as collection turnover rates and use factor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ed that librarian-selected books and direct loan books differed significantly in the number of books and circulation.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unborrowed books among the direct loan book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librarian-selected books. In addition, the analysis of collection turnover rates and use factor showed that the direct loan books were used more actively than the librarian-selected books. However,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budget for the direct loan for requested books service and the number of books had little effect on the collection turnover rates and use factor. This suggests the need to establish clear guidelines for the selection, budgeting, and execution of the direct loan for requested books.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도서관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추진하는 주체인 도서관 직원들의 의견과 인식을 조사하여 지방자치단체의 도서관 정책을 수립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 도서관 직원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지방자치단체는 도서관 특성화 운영의 내실화와 특성화 간의 균형 잡힌 시각에서 판단해야 하며, 신규건립보다는 리모델링 등 노후시설 개선이 우선적이며, 공공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의 재정립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와의 상생할 수 있는 도서관 정책의 수립 등의 기본 방향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ews and perceptions of library staff, who play a central role in creating and advancing library polici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These findings are intend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aiding local government authorities in developing informed library policies. Based on the survey of library staff perceptions, the study suggest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approach library specialization with a balanced view, focusing on enhancing both operational effectiveness and distinctiveness. The findings indicate that upgrading aging facilities through renovations should take precedence over constructing new ones. Furthermore,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redefining public libraries’ roles and functions and establishing library policies that promote harmonious engagement with the local community.
현대사회에서 사회적 고립 문제는 점차 심각해지고 있으며, 은둔형 외톨이 현상은 특히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 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적 안전망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는 공공도서관의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사회적 역할은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지향점을 제안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수행에 대한 사서의 인식은 크게 긍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서의 인식에서 나타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도서관의 역할은 정보 접근성 및 교육 기회 제공에 그치고 있었다. 역할을 위한 외부 지원으로 사회적 관심과 예산, 내부 지원으로는 대응 의식과 전문 인력 배치의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현재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도서관 서비스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인식증진을 위한 교육,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영역에 대한 인식의 확대,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전문적, 체계적 맞춤형 지원체계로서 서비스 개발 등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librarians to propose the social role orientation of libraries for reclusive lon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to promote awareness of the object, expand awareness of the service area of the library, and develop specialized services as a customized suppor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도서관 발전계획 수립과정에서 디지털 전환의 요소가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사회 변화에 대응하며 체계적인 발전계획 수립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4 세계대학평가를 참고하여 국내 상위 15개 대학도서관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의 핵심 구성요소 내용을 분석하여 디지털 전환 요소의 반영 여부를 평가하였다. 그 다음으로 대학도서관의 발전계획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문제점을 규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에 디지털 전환 요소가 일부 반영되고 있었으나, 핵심 구성요소에서 지속적이고 구체적인 전략의 반영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행계획 단계에서는 스마트 학습 환경 조성이나 연구 데이터 관리 시스템 도입과 같은 구체적 전략이 포함되어 있어, 디지털 전환 요소를 적용하는 노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대학도서관 발전계획에 디지털 전환 요소를 반영하기 위해 예산 및 인력을 포함한 체계적 지원이 요구되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장기적이고 일관적인 발전계획 전략 수립’, ‘발전계획 지표 및 평가 기준 수정’, ‘정책 결정권자와의 지속적인 소통’, ‘전문인력 양성 및 체계적인 교육 도입’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igital transformation elements are reflec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domestic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plans and to seek ways to establish systematic development plans in response to social changes. To this end, the top 15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concerning the 2024 World University Evalu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core components of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plans were analyzed to evaluate whether digital transformation elements were reflected. Afterwards,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ought through interviews with the staff who are in charge of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pl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some digital transformation elements were reflected in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plans, it was found that continuous and specific strategies were insufficient in the core components. Second, the implementation plan stage included specific strategies such as creating a smart learning environment or introducing a research data management system, confirming efforts to apply digital transformation elements. Third, systematic support including budget and manpower was required to reflect digital transformation elements in university library development plans. As improvement measures, the following were suggested: ‘establishment of a long-term and consistent development plan strategy’, ‘revision of development plan indicators and evaluation criteria’,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policy decision makers’,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introduction of systematic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의 연구경쟁력 강화와 대학도서관 및 사서에 대한 인식 제고 방안으로, 상용 연구성과분석 시스템을 활용한 연구성과 서비스의 가치를 확인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연구성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섯 개 대학도서관의 사서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상용 연구성과분석 시스템의 도입 배경, 연구성과서비스 운영 현황, 성과 및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과제와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연구성과 서비스가 대학의 중추 기관으로서 도서관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해당 서비스를 계획 중이거나 운영 중인 대학들에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value of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services using research performance analysis systems to enhance university’s research competitiveness and raise awareness about academic libraries and libraria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ibrarians from six academic libraries offering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services. The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implementing research performance analysis solutions,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ons, achievements, and challenges.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identified areas for improvement and proposed strategies for better service operation. The results confirm that research performance assessment services in academic libraries play a crucial role in supporting universities as key institutions, enhancing their research capabilitie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sights for planning or operating similar services.
2023년 국가보훈처가 국가보훈부로 승격되고 보훈에 대한 위상과 인식이 점차 향상되면서, 이들 기능 및 역할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강조되기 시작했다. 국가보훈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장래에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 실재하는 보훈 콘텐츠에 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기 시작했다. 보훈 콘텐츠는 국가보훈부를 중심으로 여러 기관에서 제작되어 서비스되고 있으나, 유사한 정보자원이 산발적으로 제작되어 콘텐츠의 특성, 유형 등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검색 및 이용, 관리, 보존 등을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다. 보훈 콘텐츠의 장기적 활성화와 대중화, 접근성 향상을 위해서는 보훈과 보훈 콘텐츠에 따른 체계적인 분석과 정리, 발전방안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보훈 콘텐츠에 관한 기초 연구로, 거시적인 시각에서 보훈 콘텐츠의 현황을 조사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장기적 활용과 가치 지속을 위한 방안으로, 보훈 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빙이라는 관점을 도입하여 제언을 제시하였다.
As the National Ministry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was promoted in 2023, and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se functions and roles begans to be emphasized as the status and awareness of Patriots & Veterans gradually improved. As interest in ‘Patriots & Veterans' increased perspective, attention to the Contents of Patriots & Veterans, which actually exist as a medium to deliver in the future, also began to increase. The Contents of Patriots & Veterans are produced and serviced by various organizations, but various similar information resources are sporadically produced by many organizations, so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contents are not unified, and a systematic system for search, us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is not established. In order to revitalize, popularize, and improve accessibility of the Contents of Patriots & Veterans o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ystematic analysis, arrangement, and development plans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Patriots & Veterans. Therefore, this study was as basic study on the Contents of Patriots & Veterans, whi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Patriots & Veterans from a macroscopic viewpoint. In addition, digital archiving of the Contents of Patriots & Veterans was introduced and suggested, as a way to use and sustain the value of the Contents.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지역 커뮤니티 센터로서 아카이브 전시를 운영하며 생산된 기록물을 체계적으로 아카이빙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제공하기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아카이브 기반 전시 사례와 전시 이후의 기록 관리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서울시에 위치한 A도서관의 아카이브 전시를 대상으로 시범적인 전시 아카이브 컬렉션을 구축하였다. 구축 과정에서는 전시 프로그램을 단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시 아카이브 정보를 컬렉션 수준에서 자료관리시스템에 등록하여 기존의 도서관 장서와 통합 검색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더불어, 무료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해 별도의 전시 웹페이지를 구축하고, 이를 서지 정보와 연계하였다. 이와 같은 시범 구축 결과를 통해 공공도서관 전시 아카이브의 확산을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표준, 세부 가이드라인, 그리고 공동 활용 가능한 아카이브 플랫폼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practical strategies for systematically archiving records generated from exhibition programs operated by public libraries as community centers, and for effectively managing and providing access to these archive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and compared cases of archive-based exhibitions and post-exhibition record management practices in public librari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Additionally, a pilot exhibition archival collec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 archival exhibition at Library A, located in Seoul.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the exhibition program was analyzed step by step, and archival information was registered at the collection level in the library’s collection management system. This allowed integration with the existing library collections for unified search functionality. Furthermore, a separate exhibition webpage was built using a free online platform and linked to bibliographic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is pilot project underscore the need for metadata standards, detailed guidelines, and a shared archival platform to facilitate the expansion of exhibition archives in public librarie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리포지터리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학술지 인용색인에 등록된 리포지터리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빈도 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키워드 빈도 분석을 통해 기관 리포지터리, 오픈액세스, 공동보존서고, 데이터 리포지터리, xml 등 자료의 관리와 보존, 접근, 활용 측면의 키워드가 중점적임을 확인하였다. 키워드 네트워크에서는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 주요 연구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7개의 클러스터가 도출되었다. 주요 클러스터로는 공동보존서고가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디지털 리포지터리, 데이터 리포지터리, 오픈액세스 및 기관 리포지터리, 데이터 표준 기술, 교육학술정보 시스템, 메타데이터와 관련된 클러스터들이 주요 연구 영역들로 나타났다. 키워드의 시기별 분석 결과, 초기에는 xml 관련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연구데이터와 데이터 리포지터리 관련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본 연구는 국내 리포지터리 연구의 현황을 진단하고,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리포지터리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repositories in Korea. We conducted keyword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on repository-related papers index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identified major keywords including institutional repository, open access, collaborative preservation repository, data repository, and XML.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seven clusters were identified. The largest cluster was related to cooperative shared storage, followed by clusters focusing on digital repository, data repository, open access and institutional repository, data standard technology, educational information systems, and metadata. A time series analysis showed that while XML-related research had been dominant in the early stage, recent trends indicate an increase in research related to research data and data repositor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iagnosing the current state of repository research in Korea, systematically analyzing trends, and sugge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s.
본 연구는 도서관 지식정보취약계층 서비스와 관련해 도서관발전종합계획에 제시된 지식정보취약계층 범주에 대해 살펴보고,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통계 데이터를 활용해 관련 성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지식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관련 사업 추진에 있어 참고할 만한 시사점들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1차~제4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지식정보취약계층 관련 추진 전략 내용과 함께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제공되는 2014~2023년 통계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도서관발전종합계획 상의 지식정보취약 계층 범위는 추진 계획 기간 별로 다소 차이는 있었으나 장애인, 다문화 이용자, 고령자, 장병, 수용자, 환자 및 보호자 등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데이터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취약계층 서비스는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으나, 제2차 및 제3차 계획 기간별 증감율 및 평균 등을 비교했을 때 전반적으로 제2차 계획 시기 값이 제3차 계획 시기보다 좀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2차 계획의 양적 성장세에 비해 3차 계획의 일부 값이 낮게 나타난 점과 지식정보취약계층 서비스 혜택을 받는 이용자 비율의 정체 등을 고려할 때, 제4차 계획에서는 보다 나은 성과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장병, 수용자, 환자 및 보호자 등 특수도서관 분야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는 관련 부처 간 협력과 체계적인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ategories of information-disadvantaged groups defined in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s and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related services by utilizing statistical data from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al System. The ultimate goal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projects targeting information-disadvantaged group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information-disadvantaged groups in the 1st to 4th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s, along with statistical data from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al System from 2014 to 2023. The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whil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scope of information-disadvantaged groups defined in each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the categories generally included people with disabilities, multicultural users, the elderly, military personnel, inmates, and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Furthermore, data analysis showed that public library services for information-disadvantaged groups have been continuously expanding. However, when comparing the growth rates and averages between the 2nd and 3rd plan periods, the overall values were slightly higher in the 2nd plan period. Considering that some values decreased in the 3rd plan compared to the quantitative growth in the 2nd plan, and the stagnation of the utilization rate of services for information-disadvantaged groups, m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achieve better results in the 4th plan. Additionally, to improve services in special libraries for military personnel, inmates, patients, and caregivers, cooperation among related government agencies and systematic data management are necessary.
본 연구는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의 검토 후, 서울 및 대구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외국인 유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학업적 적응, 사회적 적응, 정서적 적응, 대학환경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ICT 자기효능감은 유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학업적 적응 간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외에 심층 면담을 추가로 시행하여 연구 결과를 해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international students' university adjustment. A survey of 118 international students in Seoul and Daegu was conducted to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Results indicate that digital literacy positively influences academic, social, personal-emotional, and institutional adjustment. Notably, ICT self-efficacy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academic adjustment. In-depth interviews further illuminated these findings. Based on these results, recommendation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are proposed.
본 연구는 대규모 언어 자원에 관한 연구 동향을 바탕으로, 자동화된 시맨틱 추론 기법을 이용한 거대 언어 자원의 효율적 품질 제고 방안을 제시하고 응용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언어 자원 내 용어 간의 다양한 관계를 분석하여 도출한 정오 사례를 바탕으로 공통의 시맨틱 추론 규칙을 정의하였다. 정의된 추론 규칙을 바탕으로 거대한 언어 자원의 네트워크를 고속 탐색하고 오류를 검출하는 스프레딩 알고리즘 기반의 시맨틱 추론 엔진을 개발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의 주제명표목표에 대한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자동화 기법과 웹 기반 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품질 고도화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규모 언어 자원의 품질 고도화를 위한 시맨틱 추론 기법을 새롭게 제안한 점, 복잡한 용어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논리적 오류 사례를 분석하고 체계화하는 최초의 시도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인공 지능 시대의 인간과 기계의 협업 방식을 논의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efficient quality enhancement method for large-scale lexical resources using automated semantic inference techniques, based on current research trends in large lexical resources, and to suggest practical applications. To achieve this, common semantic inference rules were first defined by analyzing various relational cases among terms within lexical resources and identifying correct and erroneous patterns. Using these defined inference rules, a semantic inference engine based on a spreading algorithm was developed, enabling rapid network traversal and error detection across very large lexical resources. Through experiments on the Subject Headings of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automated methods and web-based management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enable effective quality enhancement of large-scale data.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 novel semantic inference approach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arge-scale lexical resources, as well a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and organize logical error cases arising within complex term networks.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in discussing methods of human-machine collaboratio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본 연구는 전면 개정된 도서관법에 따른 공공도서관 등록제와 관련하여 최근 추가 개정된 인구감소지역 대상 특례 적용의 적절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특례를 적용한 공공도서관의 예상 등록 실태를 살펴보고 특례 적용 도서관과 특례 미적용 도서관의 사서수 및 정보서비스 현황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집단면담을 통해 도서관 등록 및 특례에 대한 현장 사서의 인식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사서수 부족으로 등록이 불가능한 공공도서관이 전체 도서관의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고, 특례 적용 도서관의 장서, 서비스, 이용자수를 특례 미적용 도서관과 비교하였을 때, 특례 적용 도서관이 특례에서 제시하는 최저 기준인 사서 1인으로 운영이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도서관 등록 및 특례 적용에 대해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특례에 제시된 사서수 기준 완화로 인해 장기적으로 사서 인력 증원이 더욱 어려워질 것을 우려하고 있었다. 따라서 특례 경과 시점을 대비하여 인구감소지역의 공공도서관이 법적 사서수를 채울 수 있는 중장기적, 단계적 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cently added special provision for depopulated areas, in relation to the registration system for public libraries under the revised Library Law. To do so, we examined the expected registration rate of public libraries that applied the special provision,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atus of libraries that applied the special exemptions and those that did not, and identified the perceptions of librarians concerning the registration system and the special provi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more than half of public libraries could not meet registration requirements due to a shortage of librarians. Furthermore, a comparison of the collections, services, and user numbers of libraries with and without special provision indicated that libraries under the provision would struggle to function effectively with the minimum standard of one librarian stipulated by the special provision. The public librarians concerned that the provision might make it even harder to increase librarian numbers in the long term. Consequently, the study emphasizes the need for long-term, gradual plans to ensure that public libraries in depopulated areas can meet the legally required librarian staffing levels once the special provision expires.
이 연구는 국내 주요 대학도서관 유튜브 콘텐츠의 주제와 내용, 시청자 반응을 분석하여 대학도서관 유튜브 인기 콘텐츠의 공통된 특성을 도출하고 제공 전략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국내 8개 대학도서관의 847개 유튜브 콘텐츠와 8,394개의 이용자 반응(좋아요, 댓글 등)을 모두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주제 유형별로 분석하였을 때, 이용교육 콘텐츠가 가장 많은 제공되었고 이어서 도서내용, 강연 콘텐츠 순으로 제공되었다.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면 교육성(56.4%) 내용이 가장 많았고, 정보성(19.3%)이 뒤를 이었다. 콘텐츠에 대한 ‘좋아요’를 분석하였을 때, 인터뷰, 강연, 그리고 이용교육 콘텐츠에 ‘좋아요’의 클릭 수가 많았다. 인터뷰, 도서관 관한 소식, 행사안내, 강연 등에 긍정적 ‘댓글’이 많았다. 통계분석을 하였을 때 정보성과 소통성 특성의 콘텐츠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용자 반응이 높았다. ‘좋아요’와 ‘조회수’에 대한 통계분석에서는 도서관 소식, 인터뷰, 강연 콘텐츠가 이용자 반응이 더 높은 콘텐츠라는 결론을 내렸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 유튜브 콘텐츠의 조회수를 높이고 이용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을 수 있는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opics, content, and viewer responses of YouTube content from major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and sought to derive common characteristics of popular YouTube content from university libraries and discuss providing strategies. All 847 YouTube content and 8,394 user responses (likes, comments, etc.) from eight domestic university libraries were record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analyzed by subject type, educational contents were provided more than others, followed by book contents and lecture contents. W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the content of education (56.4%) was provided the most, followed by information (19.3%). When analyzing ‘like’ for the contents, interviews got more clicks of ‘like’ than others, followed by lectures, and educational contents. There were more positive ‘comments’ in interviews, library news, event information, and lectures than others. When conducting a statistical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con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formativeness and communic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user respons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several significant strategies to increase views and to receive positive responses from users.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이 지역사회 공론장으로서 역할을 구현하기 위해 도서관 공론장의 운영모델과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서울 성북구립도서관이 운영하고 있는 공론장 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공론장 운영의 핵심 과정과 특성을 규명하고, 지속가능한 운영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사례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공론장을 기획하고 운영 중인 사서 7인과의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도서관 공론장 운영은 공론장 의제 선정, 자료개발, 정보서비스, 사전프로그램, 홍보, 공론장 진행, 사후프로그램이라는 순차적인 과정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서관 공론장은 도서관 운영의 방향을 지역사회 중심으로 전환하고, 도서관 운영에 지역사회의 참여와 협력을 활성화한다는 점을 밝혀냈다. 아울러 지역사회와의 접촉, 의사소통, 협력과 조정, 정보서비스 활동에서 지역사회 촉진자로서의 사서 역할이 강화되었으며, 전문 사서로서의 효능감이 향상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공론장 운영을 위해 참고할 수 있는 현행 모형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운영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models and strategies to facilitate the creation and effective use of public spheres in public libraries. Through a qualitative analysis of public sphere initiatives conducted by Seongbuk Libraries in Seoul, this study seeks to clarify the core processes and defining characteristics of public sphere facilitation and to propose strategies for sustainable managem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librarians involved in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public sphere initiatives. The analysis identified that public sphere facilitation consist of sequential processes including agenda selection, material preparation, information services, pre-program activities, agenda promotion, program execution, and post-program activities. Furthermore, the findings indicate that public spheres serve as initiatives to reorient library operations toward the community, to encourage participation from the community in library management, and to strengthen partnerships with community stakeholders. Additionally, the study found that librarians’ roles as community facilitators—especially in community engagement,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coordination, and information services—were enhanced, leading to increased sense of efficacy in their professional roles. Lastly, a current model for for facilitating public spheres was presented as a reference, along with strategies for sustainable implementation.
본 연구는 전자책 시장 및 디지털 읽기가 증가하는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이 제공하는 전자책 서비스 현황을 살펴보고 이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해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사이버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도서관의 전자책 서비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IPA(중요도-만족도 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전자책 서비스 품질을 전자책 시스템, 콘텐츠 품질, 개인화 큐레이션 등으로 구분하여 파악한 결과, 전자책 서비스에서 최신 도서 보유, 유용한 정보 제공, 북큐레이션 및 맞춤형 서비스 제공 등이 아주 기본적이지만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속성을 중심으로 최신 도서를 적극 보유하고, 이용자 지원 서비스를 강화하고, 전자책 이용을 장려할 수 있도록 사서 추천도서 및 연계 프로그램 등을 집중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맞춤형 북큐레이션도 주목해야 한다. 도서관에서 북큐레이션 서비스는 생성형 AI 등 인공지능 발달과 함께 빠르게 변화하는 이용자의 요구와 외부 정보 서비스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자책 서비스 확장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속성이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전자책 이용의 핵심 요인과 중점 요인 등을 고려하여 전자책 이용 활성화를 위한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e-book services provided by public libraries and develop strategies to enhance these services by analyzing user needs. The study focused on users of the Gyeonggido Cyber Library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the library’s e-book services, utiliz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The quality of e-book services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e-book system, content quality, and personalized cur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fundamental yet crucial elements of e-book services include having an up-to-date collection,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and offering book curation and customized services. Based on these attributes, libraries should prioritize the acquisition of new titles, strengthen user support services, and encourage e-book usage through initiatives such as librarian-recommended reading lists and related programs. Additionally, personalized book curation services deserve particular attention. As generative AI and other advanced technologies continue to evolve, book curation services are becoming indispensable for addressing rapidly changing user needs and competing with external information services. This study emphasizes that expanding e-book services through curated recommendations is a critical factor in meeting these challenges. By identifying the core and priority factors for e-book utilization, this research provides a valuable framework for strategies to promote the effective use of e-book services.
이 연구는 Adler와 Doren의 ‘독서의 기술’을 대상으로 서지형식적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내용적 특징을 검토해 문헌정보학 독서교육 관련 교재에서 인용 내용을 다시 검토하는데 있다. ‘독서의 기술’은 독서 수준을 초급 독서, 점검 독서, 분석 독서, 신토피컬 독서의 네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이전 수준이 충족되어야 다음 수준으로 올라가는 순차적 누적 관계로 설명하였다. 이 누적 관계는 한 방향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책을 읽는 조건에 따라 두 방향으로 나뉜다. 초급 독서 수준을 넘어선 이후 한 권을 읽을 때는 ‘점검 독서-분석 독서’의 수준으로 전개되며, 주제를 통합해 읽을 때는 ‘점검 독서-신토피컬 독서’의 수준으로 전개된다. 또한 독서 수준 가운데 가장 높은 신토피컬 독서는 신토피콘을 활용해 위대한 저서를 통합적으로 읽는 방법과 동일 주제에 대하여 다른 여러 권을 통합적으로 읽는 방법으로 구분되며 이에 따른 적절한 용어로 번역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ibliographic formation change process and to review the contents cited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extbook characteristics targeting ‘How to Read a Book’ written by Adler and Doren. This book is a classic that introduces how to read, and it is characterized by dividing the reading method according to the level. As for ‘How to Read a Book’, the level of reading was divided into four levels, elementary reading-inspectional reading-analytical reading-syntopical reading. The level of reading moves on to the next level only when the previous level is completed. This cumulative relationship does not appear only in one direction, but can be divided into two direction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reading the book. After reaching the level of elementary reading, when reading one book, it develops into the ‘inspectional reading-analytical reading’ or When reading the subject in an integrated manner, it develops into the ‘inspectional reading’-syntopical reading’. Syntopical reading, the highest level of reading, should be divided into an integrated way to read ‘great books’ using the Syntopicon and syntopical reading is an integrated way to read several different books on a single same topic. The original text distinguishes these two types using upper and lower case letters. However, the translation tex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these two types and uses the same term.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efinition of syntopical reading again through follow-up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