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朝鮮圖書解題』의 목록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rn Catalog Characteristics of Chosundoseohaej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3, v.34 no.2, pp.1-18
도태현 (동의대학교)

초록

일제시대 세 차례에 걸쳐서 출간된 <TEX>$\ulcorner$</TEX>조선도서해제<TEX>$\lrcorner$</TEX>는 다음과 같은 현대적 목록의 특성을 갖추고 있다. 첫째, 각각의 저록에는 서명, 권책수, 편저자, 판본을 기입하고 저술의 시기, 저자, 동기, 구성 및 내용, 편저자의 전기 등을 포괄하여 해당 문헌을 해제하였다. 둘째, 이 목록은 시부분류체계에 의한 주제검색, 오십음순색인에 의한 서명검색, 왕호표, 편저자성별표에 의한 인명검색을 가능하게 하였다. 셋째, 각각의 저록에는 규장각도서번호를 첨부함으로써 해당 도서의 배열위치를 알 수 있게 하였다.

keywords
조선도서해제, 고서목록, 목록의 역사

Abstract

Chosundoseohaeje, a book type catalog was published three times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This catalog has several characteristics of modem catalog as fellows : First, each record of this catalog includes title, volume no., statements of responsibility, printing type, annotated bibliography containing date, author, background, structure, contents of the book, and biographies. Second, this catalog has a subject retrieval system by the four-part classification(Kyung, Sa, Ja, Jib), title retrieval system by Japanese alphabetical index, and authorㆍeditor retrieval system by their family name index or king's name index. Third, this catalog has a system indicating the location of described books by Gyujanggak book numbers.

keywords
조선도서해제, 고서목록, 목록의 역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