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되었던 四書의 하나인 한문본 大學 제판본에 관한 형태서지적 분석이다. 국내 여러 기관 및 개인이 소장하고 있는 한문본 大學 판본을 조사하여, 그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문본 大學 판본 중에서 가장 많이 간행되었던 大學章句大全의 계통별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한문본 大學은 한성지역의 중앙관서와 경상감영에서 주로 간행하였고, 시기적으로는 17~19세기에 가장 많이 간행되었던 특징을 보이고 있다. 특히 大學章句大全의 경우 명나라 호광(胡廣) 등이 편찬한 四書五經大全을 저본으로 하여 이를 복각한 ‘명본복각계열’과 조선에서 주조한 활자로 간행한 ‘활자본계열’로 판본의 계통이 형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This paper is a morphologic-bibliographic analysis on every printed books of Hanmunbon Great Learn(大學), one of FourBooks(四書) in Chosun Dynasty. Through examin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books in many institutes and private collections, Daehakjanggudaejun(大學章句大全) was systematically explored, which was the most frequently published Great Learn (大學) in Chosun Dynasty. The Hanmunbon Great Learn (大學) was published mainly in Central Publishing Office in Hansung Area and Kyungsang provinces, and in the period of 17C to 19C. There are two streams of Daehakjanggudaejun. One is the reprinted edition of Myungbon(明本覆刻), originated from Saseookyungdaejun(四書五經大全), compiled by Hokwang(胡廣) and colleagues in Myung(明). The second is movable type books of Chosun(朝鮮活字本), the contents of which being the same as the other stream.
(1981.) 湖南坊刻本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김치우, (2002) 『嶺南冊板記』 所載 刊本의 分類別 傾向, 서지학연구
송일기 ; 정왕근, (2004) 조선시대에 간행된 干支本 大學의 刊年推定에 관한 연구,
(1994.) 朝鮮朝에 있어서 四書의 수용과 전개- 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大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안현주, (2002.) ^朝鮮時代에 刊行된論語 의 板本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옥영정. , (1995.) 侍講院 藏書의 變遷과 書誌的 硏究.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우정임, (2000) 朝鮮初期 書籍輸入ㆍ刊行과 그 性格-性理學書를 중심으로,
유탁일, (2001.) 嶺南地方 出版文化論攷. , 세종출판사
윤병태. , (1995.) 한국의 책판목록. 서울, 보경문화사
이혜경. , (1999.) 朝鮮朝 坊刻本의 書誌學的 硏究.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정왕근. , (2003.) ^朝鮮時代에 刊行된大學 의 板本에 관한 硏究.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정형우, (1989) 五經ㆍ四書大全의 輸入 및 그 刊行 廣布,
조정화, (1996) 嶺南地方 冊板目錄에 대한 考察-作成時期 考證을 中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