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악보자료 목록의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cription of Printed Music Catalogi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7, v.38 no.1, pp.231-256
https://doi.org/10.16981/kliss.38.1.200703.231
한경신 (한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악보자료의 목록을 위해 사용되는 목록규칙의 분석을 통해 악보자료의 목록규칙에 관한 올바른 이해를 돕고, 우리의 악보자료에 대한 목록과 목록규칙의 발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악보자료의 특성과 종류에 대해 살펴보고 기존의 악보자료에 관련된 목록규칙들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현재 악보자료 목록규칙의 근간을 이루는 ISBD(PM)을 비롯하여, 주요 목록규칙으로 사용되는 AACR2R 2002 Revision 2004 Update 제5장 Music과 KCR4 제5장 악보, 그리고 KORMARC(통합서지용)과 MARC21 (Bibliographic Data)의 악보부문을 대상으로, 악보자료 목록시 다른 자료들과 구별되는 기술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들 영역은 기술의 정보원, 표제와 자료유형표시, 악보의 종류에 관한사항, 발행사항, 형태사항, 주기사항 등에서의 특징과 제문제 등이다.

keywords
Printed Music, Scores, Cataloging Rules, Cataloging Rules of Printed Music, Cataloging of Music, 악보, 악보자료, 악보자료목록, 음악자료목록, 목록규칙, Printed Music, Scores, Cataloging Rules, Cataloging Rules of Printed Music, Cataloging of Music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stinctiveness and problem areas in cataloging rules of printed music. In this study, therefore, the characteristics, kinds, and cataloging rules related to a printed music are examined first as the backgrounds. Then the sources of information, title and general material designation, musical representation statement, publication․distribution․etc., physical description, notes, etc. in ISBD(PM), Chapter 5 Music of AACR2R 2002 Revision 2004 Update, and Chapter 5 Music of KCR4 are analyzed. And also printed music parts in Bibliographic Data of KORMARC and MARC21 are analyzed. Finally, the special issues and some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cataloging of printed music in KCR4 are presented.

keywords
Printed Music, Scores, Cataloging Rules, Cataloging Rules of Printed Music, Cataloging of Music, 악보, 악보자료, 악보자료목록, 음악자료목록, 목록규칙, Printed Music, Scores, Cataloging Rules, Cataloging Rules of Printed Music, Cataloging of Music

참고문헌

1.

국립중앙도서관, (2006) 한국문헌자동화목록형식: 통합서지용,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2.

김정현, (2004) ISO/TC 46과 국제표준번호제도의 발전동향,

3.

(1985.) 박수정. 국악녹음자료의 목록기입에 관한 연구 영미목록규칙 제2판에 준거하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4.

박찬훈, (1999) 비도서자료 편목규칙에 관한 연구,

5.

(1990.) 이민정. 악보자료의 관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6.

이지원, (1996) 음악주제전문사서의 교육에 관한 연구,

7.

정유진, (2003) 음악자료의 목록정보 확장에 관한 연구,

8.

정재영, (2002) KCR 4판 초안 제5장 ‘악보’에 대한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9.

한경신, (2001.3) 녹음자료의 목록에 관한 연구,

10.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2004) 2002 Revision, 2004 Update, Chicago : ALA

11.

Hartsock, (1994.) Ralph. Notes for Music Catalogers examples illustrating AACR2 in the online bibliographic record. Lake Crystal,

12.

IFLA. ISBD, (1991.)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 Description for Printed Music. Mnchen,

13.

Library of Congress, (2005) MARC21 Concise Format for Bibliographic Data: 2005 Concise Edition ,

14.

Maxwell, Robert L. , (2004) Maxwell's Handbook for AACR2 : Explaining and Illustrating the Anglo-American Cataloguing Rules through the 2003 update, Chicago :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5.

Maxwell, Robert L. , (2005) 영미편목규칙 제2판 핸드북, 대구 : 태일사

16.

Ostrove, Geraldine E, (2001) Music Subject Cataloging and Form/Genre Implementation at the Library of Congress,

17.

Smiraglia,Richard P, (1985) Theoretical Considerations in the Bibliographic Control of Music Materials in Libraries,

18.

__________. Music Cataloging, (1989.) The Bibliographic Control of Printed and Recorded Music in Libraries. Englewood, Inc.

19.

Smiraglia, Richard P, (1997) Describing Music Materials : A Manual for Descriptive Cataloging of Printed and Recorded Music, Music Videos, and Archival Music Collections, For Use with AACR2 and APPM, Lake Crystal, Minn. : Soldier Creek

20.

Weitz, Jay, (2001) Music Coding and Tagging : MARC21 Content Designation for Scores and Sound Recordings, Belle Plaine, Minn. : Soldier Creek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