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국내외 문헌정보학 학술지의 오픈 액세스 동향 분석

Trends Analysis of Open Access for Foreign and Domestic Scholarly Journal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7, v.38 no.1, pp.257-276
https://doi.org/10.16981/kliss.38.1.200703.257
윤희윤 (대구대학교)
김신영 (숭의여자대학)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도서관계, 연구 집단, 출판계로 구성되는 학술정보 유통시스템의 주요 관심사항은 학술지이며, 각각의 이해집단이 학술지에 거는 기대와 전략, 보상과 권리보호에 대한 서로의 입장에는 상당한 괴리가 존재한다. 이러한 입장 차이가 결국 오픈 액세스 잡지와 오픈 액세스 아카이빙을 전략적 수단으로 하는 오픈 액세스 운동을 가시화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픈 액세스의 동향과 한계를 정리하고, 쟁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오픈 액세스의 중심에서 그 당위성과 필요성을 논하던 국내외 문헌정보학 분야 오픈 액세스의 현주소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keywords
Scholarly Journals, Open Access, Open Access Journal, Open Access Archiv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stitutional Repository, Scholarly Journals, Open Access, Open Access Journal, Open Access Archiv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stitutional Repository, 학술지, 오픈 액세스, 오픈 액세스 학술지, 오픈 액세스 아카이브, 문헌정보학, 기관 레포지터리

Abstract

The major concern of scholarly communication system that consists of libraries, researchers, and publishers is scholarly journals. But there is a huge chasm between the groups that have their own respects and strategies, compensations, and rights about scholarly journals. This difference makes open access movement which has two strategies : Open Access Journal(OAJ) and Open Access Archives(OAA). This paper describes the current status and analyses serious limitations of OAJ and OAA, especially, including the present addres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keywords
Scholarly Journals, Open Access, Open Access Journal, Open Access Archiv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stitutional Repository, Scholarly Journals, Open Access, Open Access Journal, Open Access Archiv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stitutional Repository, 학술지, 오픈 액세스, 오픈 액세스 학술지, 오픈 액세스 아카이브, 문헌정보학, 기관 레포지터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