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에서 학교교육과정에서 학교도서관의 역할이나 정보활용교육의 종류는 학교도서관 이용법, 독서교육, 학교도서관연계 수업모형 개발, 사서와 교과교사 협력하는 통합교육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단위학교별 그 수준 편차는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유는 정보활용교육을 담당할 사서의 부재와 학교도서관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과 제도의 환경 때문에 교과교사 중심의 정보활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효용성 평가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앞으로 학교교과과정 내에 정보활용교육이 자리매김 하는 경우에는 현재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을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주고 있다. 이를 위해서정보활용교육을 교과과정 내에 통합하는 정책적 측면과 교과과정 분석 그리고 사서교사의 전문인 양성의 실천적인 방법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The types of information literacy in school library is classified into usage instruction of school library, reading education, instructional development of courseware with school library and integrated instruction of collaboration with school librarian and teacher. A measure of scholastic achievement on information literacy varies in each school. The cause is rely on the absence of librarians who teach information literacy and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role of school library in information literacy. Nevertheless, we know that the program based on subject teacher is successful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t demonstrate that if information literacy will be considered as important course in the curriculum for school librarian,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literacy can be enhanced dramatically. For the purpose some strategies are required. In this paper, propose three strategies, which are integr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into curriculum of schools, analysis of the curriculums and a practical method for training school librari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