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장애인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Public Library for the Disabled Persons: With a Special Regard to th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9, v.40 no.1, pp.157-179
https://doi.org/10.16981/kliss.40.1.200903.157
오동근 (계명대학교)
윤수진 (계명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장애인의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계획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이를 위해 장애인시설 관련법규와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의 시설을 고유영역, 편의시설영역, 동선체계로 구분하여 각각의 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구광역시 공공도서관 중 장애인실을 설치하고 있는 5곳을 대상으로 장애인을 위한 공간구성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애인 관련공간의 배치가 미흡할 뿐 아니라 전반적인 편의시설 등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Disabled Pers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Public Library, Space Composition, 장애인, 장애인시설, 공공도서관, 대구시공공도서관, 공간구성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plan to improve the information gaps of the disabled persons. After examining the legislation of th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and former studies, it proposes some suggestions for the standards of unique space in public library, convenience facilities and traffic line. It also analyzed present conditions of five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lready having separate rooms 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The result shows that arrangement of disabled person's space and general convenience facilities are insufficient. Some facilities for disabled persons seems to be equipped just to suffice the standards. Detailed legislation or guidelines concerning facilities for them should be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keywords
Disabled Pers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Persons, Public Library, Space Composition, 장애인, 장애인시설, 공공도서관, 대구시공공도서관, 공간구성

참고문헌

1.

보건복지가족부 홈페이지, <http://www.mw.go.kr/front/jc/sjc0112mn.jsp?PAR_MENU_ID=06&MENU_ID= 06120901/> [인용 2009. 2. 3].

2.

한국도서관협회 홈페이지, <http://www.kla.kr/data/reference/unesco.asp> [인용 2009. 1. 6].

3.

도서관법 제1조(일부개정 2006. 10. 04 법률 제8029호).

4.

이영숙,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설립 및 운영,” 도서관문화, 제48권, 제4호(2007. 4), pp.32-37.

5.

손문철, 김영귀. “시각장애자를 위한 도서관 정보봉살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화지, 제13권(1986), pp.29-58.

6.

미국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ADA)

7.

조철호, “장애인 편의시설의 세부항목 개발에 관한 연구,” 경원전문대학논문집, 제17권, 제1호(1995), pp.133-153.

8.

강병근, “장애인 편의시설 설계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지, 제6권, 제11호(2000), pp.7-16.

9.

전주섭, 장애인 편의시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2000).

10.

김보일, 공공도서관 장애인 편의시설의 설치기준 적용실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5).

11.

고근재,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 적용실태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경원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07).

12.

최서윤, 장애인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실내디자인학과, 2008).

13.

장애인복지법 제2조(일부개정 2008. 02. 29.) 법률 제8852호.

14.

장애인복지법시행규칙 제2조[별표1](일부개정 2008. 12. 31.) 보건복지가족부령 제84호.

15.

장애인복지법시행령 제2조[별표1](일부개정 2008. 12. 31 대통령령 제21214호.); 김보일, 전게논문, pp.7-12.를 참고하였음.

16.

도서관 고유의 서비스 영역에 대한 시설기준은 최서윤, 전게논문, pp.38-47; 강병근, 전게논문, pp.10-15; 도서관법 시행령, 동 시행령 제3조 [별표1]을 참고하여 제안하였음.

17.

보건복지가족부 홈페이지, <http://www.mw.go.kr/front/jc/sjc120304vw.jsp?PAR_MENU_ID=06&MENU_ID= 06120304&BOARD_ID=1527&BOARD_FLAG=00&CONT_SEQ=202793&page=1> [인용 2008. 12. 20].

18.

편의시설영역의 시설기준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제4조 [별표2](일부개정 2008. 12. 31 대통령령 제21214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