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ꡔ童蒙先習ꡕ의 著者에 관한 硏究

The Study of Writer Who Wrote a Dongmongseonseup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09, v.40 no.3, pp.389-402
https://doi.org/10.16981/kliss.40.3.200909.389
류부현 (대진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ꡔ동몽선습ꡕ의 저자에 대한 정론을 수립할 수 있는 하나의 단서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래 살펴보지 못했던 몇 가지 자료에 의거하여 ꡔ동몽선습ꡕ의 저자에 관해서 좀 더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ꡔ동몽선습ꡕ은 박세무와 민제인의 공저로서 박세무는 ꡔ동몽선습ꡕ 내용 가운데 전반부인 경부에 해당되는 ‘(오륜)’을 집필하고, 민제인은 후반부인 사부에 해당되는 ‘(역대요의)’를 저술한 후 합편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Dongmongseonseup, Park Se-Mu, Min Je-In, 동몽선습, 박세무, 민제인, Dongmongseonseup, Park Se-Mu, Min Je-In

Abstract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a clue that can establish a sound argument about who the writer of Dongmongseonseup was.  Several significant materials that hadn't been examined before were studied so now is examined more specific. The conclusion is that Dongmongseonseup was a collaboration between Park Se-Mu and Min Je-In.  Park Se-Mu wrote the moral rules to govern the Five Human Relations that is the part of the Kyeong, the first part of Dongmongseonseup. Min Je-In wrote the last part of it, the historical work Yeokdaeyoui, and then put the two works together.

keywords
Dongmongseonseup, Park Se-Mu, Min Je-In, 동몽선습, 박세무, 민제인, Dongmongseonseup, Park Se-Mu, Min Je-In

참고문헌

1.

ꡔ列聖朝繼講冊子次第ꡕ 및 ꡔ列聖朝進講冊錄ꡕ 참조.

2.

<表 1> “ꡔ童蒙先習ꡕ 刊行 一覽表”의 제15항 참조.

3.

崔鳳永, “童蒙先習硏究,” 童蒙先習의 兒童敎科書的 意義와 著者異說에 관한 硏究(咸陽朴氏宗親會, 1986), p.165.

4.

前間恭作, 古鮮冊譜(東京 : 東洋文庫叢刊, 1957), p.1535.

5.

渡部學, 近世朝鮮敎育硏究(東京 : 雄山閣, 1969), p.275.

6.

金東旭, “坊刻本에 대하여,” 東方學志, 11집(1970), pp.88-104.

7.

安秉禧, “童蒙先習과 그 口訣,” 金亨奎敎授停年退任紀念論文集(서울 : 1976), pp.267-323.

8.

李崇寧, “旣存事典의 誤記와 混線에 대하여-특히 ꡔ童蒙先習ꡕ의 編者是非를 중심으로 하여-,” 編纂彙報(精神文化硏究院, 1980), pp.11-19.

9.

韓永愚, 朝鮮前期史學史硏究(서울 : 서울대, 1981), pp.235-256.

10.

安春根, 韓國古書 評釋(서울 : 동화출판사, 1986), pp.135-152.

11.

朴東洙, “補說,” 童蒙先習의 兒童敎科書的 意義와 著者異說에 관한 硏究(咸陽朴氏宗親會, 1986), pp.1-7.

12.

崔鳳永, “童蒙先習硏究,” 童蒙先習의 兒童敎科書的 意義와 著者異說에 관한 硏究(咸陽朴氏宗親會, 1986),pp.165-179.

13.

丁淳睦, 朝鮮時代의 敎育名著巡禮(서울 : 培英社, 1986), pp.47-86.

14.

柳富鉉, “童蒙先習의 書誌的 硏究,” 書誌學硏究, 5․6합집(1990. 12), pp.481-524.

15.

柳富鉉, “童蒙先習 異本의 文字異同 硏究,” 書誌學硏究, 15집(1998. 6), pp.77-102.

16.

<表 2> “ꡔ童蒙先習ꡕ의 著者에 대한 諸說”의 제6항 참조.

17.

<表 2> “ꡔ童蒙先習ꡕ의 著者에 대한 諸說”의 제8항 참조.

18.

<表 2> “ꡔ童蒙先習ꡕ의 著者에 대한 諸說”의 제4항 참조.

19.

<表 2> “ꡔ童蒙先習ꡕ의 著者에 대한 諸說”의 제5항 참조.

20.

<表 2> “ꡔ童蒙先習ꡕ의 著者에 대한 諸說”의 제7항 참조.

21.

<表 2> “ꡔ童蒙先習ꡕ의 著者에 대한 諸說”의 제14항 참조.

22.

朴東洙, “補說”, 童蒙先習의 兒童敎科書的 意義와 著者異說에 관한 硏究(咸陽朴氏宗親會, 1986), p.2.

23.

李崇寧, “旣存事典의 誤記와 混線에 대하여 - 특히 ꡔ童蒙先習ꡕ의 編者是非를 중심으로 하여 -,” 編纂彙報(精神文化硏究院, 1980), p.15.

24.

<表 2> “ꡔ童蒙先習ꡕ의 著者에 대한 諸說”의 제16항 참조.

25.

渡部學, 近世朝鮮敎育硏究(東京 : 雄山閣, 1969), p.256.

26.

<資料 4> “魚叔權” 참조.

27.

柳富鉉, “童蒙先習의 書誌的 硏究,” 書誌學硏究 5․6합집(1990. 12), p.486.

28.

ꡔ中宗實錄ꡕ 卷 103, 中宗 39年 5月 丙寅條 記事.

29.

ꡔ大東韻府群玉ꡕ은 權文海(1534-1591)가 편찬하였다. 그러나 이 책은 壬辰倭亂으로 인하여 편찬 즉시 출판되지 못하고 1798년(정조 22년)에 이르러서 출판되었다.

30.

ꡔ海東雜錄ꡕ은 權文海(1534-1591)의 아들 權鼈(生沒年未詳)이 편찬하였고, ꡔ大東野乘ꡕ에 실려 세상에 전해지고 있으나 이 책의 편찬 시기는 미상이다.

31.

ꡔ遣閑雜錄ꡕ은 沈守慶(1516-1599)이 편찬하였고 1591년경에 출판되었다(ꡔ國譯大東野乘ꡕ 「견한잡록해제」, p.533).

32.

ꡔ海東文獻總錄ꡕ은 金烋(1597-1638)가 1637년에 편찬하였다.

33.

ꡔ英祖實錄ꡕ 卷 54, 英祖 17年 7月 丙子條 記事.

34.

ꡔ英祖實錄ꡕ 卷 54, 英祖 18年 6月 乙卯條 記事.

35.

「朴士行墓碣」은 李縡(1680-1746)가 지은 것으로 1803년에 간행된 ꡔ陶菴集ꡕ에 실려 있다.

36.

「朴知誡諡狀」은 朴弼周(1712-1791)가 지은 것으로 1766년에 간행된 ꡔ潛冶集ꡕ에 실려 있다

37.

「橡軒隨筆」은 安鼎福(1712-1791)의 저술로 1900년에 간행된 ꡔ順菴集ꡕ에 실려 있다.

38.

ꡔ鏤板考ꡕ는 徐有榘(1764-1845)가 1796년에 편찬하였다.

39.

ꡔ純祖實錄ꡕ 卷 3, 純祖 元年 6月 丙辰條 記事.

40.

ꡔ增補文獻備考ꡕ는 1796년에 완성된 ꡔ東國文獻備考ꡕ에 「藝文考」 등 7考가 보완되어 1831년에 완성되었고, 1908년에 다시 수정 편찬 간행되었다.

41.

ꡔ硏經齋全集ꡕ은 成海應(1760-1839)의 저술로 그 筆寫本이 高麗大에 소장되어 있다.

42.

安春根, 韓國古書 評釋(서울 : 동화출판사, 1986), p.228.

43.

崔鳳永, “童蒙先習硏究,” 童蒙先習의 兒童敎科書的 意義와 著者異說에 관한 硏究(咸陽朴氏宗親會, 1986),p.169.

44.

朴東洙, “補說,” 童蒙先習의 兒童敎科書的 意義와 著者異說에 관한 硏究(咸陽朴氏宗親會, 1986), p.4.

45.

崔鳳永, “童蒙先習硏究,” 童蒙先習의 兒童敎科書的 意義와 著者異說에 관한 硏究(咸陽朴氏宗親會, 1986),p.168.

46.

李崇寧, “旣存事典의 誤記와 混線에 대하여 - 특히 ꡔ童蒙先習ꡕ의 編者是非를 중심으로 하여-,” 編纂彙報(精神文化硏究院, 1980), p.15.

47.

柳富鉉, “童蒙先習의 書誌的 硏究,” 書誌學硏究 5․6합집(1990. 12), p.486.

48.

<資料 8> “ꡔ立巖集․追補ꡕ 「癸丑甲契錄」” 참조.

49.

<資料 6> “朴世蓊” 참조.

50.

<資料 7> “靑莊館全書 卷54, 「盎葉記1․ 東國史」”(“東國史略 : 모두 5部이다. …… 一部는 閔齊 仁이 지었는데 3卷이다.”) 참조.

51.

<表 2> “ꡔ童蒙先習ꡕ의 著者에 대한 諸說”의 제4항 참조.

52.

ꡔ童蒙先習ꡕ에는 ‘五倫’이라는 章節 題目이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