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사서교사의 허약한 직업적 존재감 실태와 출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d Gates of Teacher Librarians' Frail Vocational Presence in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0, v.41 no.2, pp.317-337
https://doi.org/10.16981/kliss.41.2.201006.317
송기호 (서울공업고등학교)

초록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생은 사서교사를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자료 관리자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사서교사는 직업 기능과 전문직의 특성을 충족하지 못한 채 존재감이 매우 허약한 실정이다. 이것은 사서교사 배치를 외면한 학교도서관 정책과 사서교사와 사서의 자격과 역할을 동일시하는 법과 제도 때문이다. 그러나 근본적인 원인은 교수자의 자질을 갖춘 유능한 사서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갖고 있지 않은 배경학문 공동체의 방관자적 태도이다. 따라서 사서교사의 직업적 위상 강화를 위해서는 사서직 공동체가 사서교사를 교수매체 전문가로 인정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사서교사 스스로 개인 역량 개발을 위한 자기평가를 활성화하고 전문 단체의 활동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사서교사, 사서교사 위상, 사서교사 전문성, 교수매체전문가, 학교도서관, Teacher Librarian, Teacher Librarians' Status, Teacher Librarians' Professionalism, Educational Media Specialist, School Library

Abstract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have regarded teacher librarians as a book keeper who doesn't participate in teaching. Consequently teacher librarianship has not satisfied occupational function and qualities of professional workers and teacher librarians' vocational presence appears to be very frail because of school library policies ignoring teacher librarians appointment, the law and system identifing librarinship with teacher librarianship. But its ultimate cause i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mmunity's attitude of sideliners that doesn't holding teacher librarians oriented preparation programs for their instructional qualification. Thus it is essential for the members of academic communities to recognize teacher librarians as an educational media specialist and develop various curricula in order to strengthen the occupational status of teacher librarians. Also it requires that teacher librarians improve his/her individual ability with self evaluation and increase activities of their professional institutions.

keywords
사서교사, 사서교사 위상, 사서교사 전문성, 교수매체전문가, 학교도서관, Teacher Librarian, Teacher Librarians' Status, Teacher Librarians' Professionalism, Educational Media Specialist, School Library

참고문헌

1.

강미정 등. 고등학교 직업윤리. 서울 : 서울특별시교육청, 2008.

2.

경기도교육청. 평생교육과. 사서교사 정원 확보 계획. 경기 : 경기도교육청, 2007.

3.

경기도교육청. 평생교육과. 창의적 교수-학습의 중심 학교도서관 중․장기 진흥 계획(2010-2014).경기 : 경기도교육청, 2010.

4.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www.law.go.kr> [인용 2010. 6. 7].

5.

권은경.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개정과 사서교사 제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2004. 6),pp.95-117.

6.

권은경. “사서교사의 전문성이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경상북도 학교도서관의 운영 실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28권, 제3호(2007. 9), pp.247-276.

7.

김성준.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3호(2009. 9),pp.249-270.

8.

김정소. “학교도서관 법적 행정상의 문제점.” 도서관학논집, 제1집(1974), pp.53-67.

9.

김종성.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7권, 제1호(2006. 3), pp.135-159.

10.

박경래.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

변우열 등.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평가.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3.

12.

이유경.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13.

서영민. 사서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4.

손문철. “學校圖書館書館 職員의 資質과 그 職務에 關한 硏究: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도서관학논집, 제7집(1980), pp.85-114.

15.

송기호.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써 통합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4호(2007. 12), pp.87-116.

16.

송기호.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에 나타난 핵심 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제40권, 제9호(2009. 9), pp.225-247.

17.

송기호. 사서교사를 위한 학교도서관 경영 시론. 서울 : 조은글터, 2010.

18.

신승주. 사서교사의 역할에 대한 자기 인식: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교육대학원, 2007.

19.

이정은. 사람은 왜 인정받고 싶어 하나. 경기 : 살림출판사, 2005.

20.

이춘택. “사서교사의 지위 향상을 위한 일 연구: 그 필요성과 인식의 차원에서.” 도서관학논집, 제12집(1985), pp.97-132.

21.

이희수. 학교도서관 활성화 대책 수립 계획 연구.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2.

22.

장석경. 학부모의 사서교사에 대한 인식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3.

정진수. “초등학교 사서교사의 역할 인식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2008.12), pp.281-306.

24.

한윤옥. “전문직으로서의 사서교사에 대한 사회문화적 전망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5권, 제3호(2001. 9), pp.211-234.

25.

홍정원. 일반교사의 정규직 사서교사와 계약직 사서에 대한 인식도 차이.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교육대학원, 2008.

26.

Australian School Library Association(ASLA). Standards of professional excellence for teacher librarians, 2005. <http://www.alia.org.au/policies/TLstandards.pdf> [cited 2010. 4. 1].

27.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hip(IASL). IASL Policy Statement on School Libraries, 2003. <http://www.iasl-online.org/about/handbook/policysl.html> [cited 2010. 4. 1].

28.

Knuth, Rebeca, “학교도서관 개발 요인 : 미국과 영국의 비교 연구.” 이윤희 옮김. 시민과도서관, 제1권, 제2호(2000), pp.87-99.

29.

IFLA, and UNESCO. School Library Manifesto, 2000. <http://www.ifla.org/VII/s11/pubs/schoolmanif.htm> [cited 2010. 4. 1].

30.

IFLA, AND UNESCO. School Library Guidelines, 2002. <http://www.ifla.org/VII/s11/pubs/sguide02.pdf> [cited 2010. 4. 1].

31.

National Commission on Libraries and Information Science(NCLIS). School Libraries Work : Research Foundation Paper. 3rd. ed. Danbury, Conn. : Scholastic Library Publishing,2008.

32.

Moore, Penny. Information Literacy : What's it all about? Wellington :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2002.

33.

Vailant, George M., 행복의 조건. 이덕남 옮김. 서울 : 프런티어, 20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