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측정과 분석 -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Measurement and Analysis of Library Anxiety among Library Handicapped User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0, v.41 no.3, pp.309-327
https://doi.org/10.16981/kliss.41.3.201009.309
장보성 (중앙대학교)
김은정 (중앙대학교)
남영준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는 나이, 인종, 신분 등과 관계없이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하지만 장애인들은 도서관 이용과 서비스 활용 측면에서 막연한 두려움과 불안감으로 공공도서관을 불편한 공공시설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인들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함에 있어서 느끼는 도서관불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한다. 이를 위해 한국형 도서관불안 측정도구(K-LAS)를 가지고 지체, 시각, 청각,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장애인들은 도서관직원과 심리적․정서적 영역에 대한 불안이 높았으며, 성별, 나이, 장애유형, 도서관방문빈도, 방문목적에 따라 도서관불안의 정도 차이가 매우 높았다.

keywords
장애인, 도서관불안, 공공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도서관불안척도, the Disabled, Library Anxiety, Public Library, Library Anxiety Scale, the Disabled, Library Anxiety, Public Library, Library Anxiety Scale

Abstract

Regardless of age, ethnic group, status, public library service should be provided equally to everyone. However,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been recognized as a uncomfortable facility for public library. In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library anxiety of public library handicapped users utilize K-LAS. As a result, Library anxiety is very differed according to sex, age categories, disability type,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 purpose of visit, Especially, the factor on library staff and psychological․emotional factor was high.

keywords
장애인, 도서관불안, 공공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도서관불안척도, the Disabled, Library Anxiety, Public Library, Library Anxiety Scale, the Disabled, Library Anxiety, Public Library, Library Anxiety Scale

참고문헌

1.

1) C.A. Mellon, “library anxiety: A Grounded Theory and Its Development,"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Vol.47(1986)

2.

2) S.L. Bostick,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ibrary Anxiety Scale(Dcctoral dissertation of Wayne State University, 1992).

3.

3) Q.G. Jiao, A.J. Onwuegbuzie, and A. Lichtenstein, “Library Anxiety: Characteristics of ‘At-Risk' College Studen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Vol.18, No.2(1996)

4.

4) A.J. Onwuegbuzie, Q.G. Jiao, and S.L. Bostick, Library Anxiety: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Oxford : The Scarecrow Press, Inc, 2004), p.41.

5.

5) A.J. Onwuegbuzie, “Writing a Research Proposal: The Role of Library Anxiety, Statistics Anxiety, and Composition Anxiet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Vol.19(1997), pp.5-33.

6.

6) 박현영, 남태우, “도서관불안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0호, 제3호(2006), pp.99-120.

7.

7) 박현영, 남태우, “대학생의 도서관불안 완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호, 제1호(2007), pp.411-429.

8.

8) 오의경, 장혜란,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측정과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23호, 제3호(2006)

9.

9) 김홍렬, “지역주민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호, 제4호(2009)

10.

11) Van Kampen, Library Anxiety, the Information Search Process and Doctoral Use of the Library(Doctoral dissertation, The Graduate of the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2002).

11.

13) 권나현, “디지털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과 측정도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28호, 제2호(2004)

12.

14) 박현영, 도서관불안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6).

13.

15) Joan M. Reitz, Dictionar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Westpost : A Member of the Greenwood Inc., Publishing Group, 2004), pp.405-406.

14.

18) 남태우, 황옥경, “도서관불안 이론의 고찰," 정보관리학회지, 제22호, 제3호(2005), pp.71-84.

15.

20) 정수진 외,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의 통계적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16호(2009)

16.

21) 법률지식정보시스템, 장애인복지법 시행령(법률 제10323호), [인용 2010. 07. 20].

17.

22) 장애인고용공단, 2009 장애인통계(서울 : 보건복지부, 2009), p.168.

18.

26)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중장기 발전계획(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7), p.91.

19.

30) Q.G. Jiao, A.J. Onwuegbuzie, “Antecedents of library anxiety," The Library Quarterly, Vol.67, No.4(1997). pp.372-389.

20.

32) Soham, S. and Diane Mizrachi, “Library anxiety among undergraduates: A study of Israeli E. Ed. student,"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27(2001), pp.305-31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