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이 대학도서관을 방문하였을 때 느끼는 도서관불안 요소를 조사하였다. 조사는 C대학도서관의 유학생 이용자 131명을 대상으로 도서관불안척도(LAS)를 사용하여 성별, 학년, 도서관이용교육, 도서관이용빈도, 한국어능력, 문화적 이질감과의 관계성에 대해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Bostick의 LAS를 이용하여 측정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도서관불안 점수는 평균 2.60점이었으며 ‘기계적인 장벽’으로 인한 불안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도서관의 편안함’과 ‘도서관에 대한 지식’으로 인한 불안감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도서관이용교육에 참여한 유학생들이 그렇지 못한 유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서관불안을 적게 느꼈으며 도서관이용빈도가 높을수록 도서관불안감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국어능력이 높고 문화적 이질감이 낮을수록 도서관불안감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서관이용교육과 이용빈도 활성화 측면에서 도서관불안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has examined the cause of the library anxiety among foreign students upon visiting college libraries. 131 students were investigated using Library Anxiety Scale (L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 grade, library use education, frequency of library use, Korean skill and cultural heterogeneity. The result of the LAS showed an average of 2.60 among foreign students, and the anxiety from the “mechanical barrier" was scored the highest. For sex, male students tended to be relatively more anxious than female students on the “accommodation of library" and “knowledge of librar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library use education were less anxious than those who did not, and the more one used library, the less one became anxiou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e way ahead for resolving library anxiety through library use education and frequency of use.
1) C. A. Mellon, “Library anxiety : A Ground Theory and Its Development,” College & Research Libraries, Vol.47(1986)
2) S. L. Bostick,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ibrary Anxiety Scale, (Doctoral Dissertation of Wayne State University, 1992).
3) Q. G. Jiao and A. J. Onwuegbuzie, “Antecedents of Library Anxiety,” Library Quarterly, Vol.67, No.4(1997), pp.372-389.
4) Q. G. Jiao and A. J. Onwuegbuzie, “Library Anxiety among International Student,” Urban Library Journal, Vol.11(2001)
5) 장혜란, 오의경, “대학도서관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측정과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23권, 제3호(2006. 09)
6) 안영진, “우리나라 외국인 유학생의 이동과정과 주요배경,” 대한지리학회 2009년 연례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약집 (2009. 5), pp.27-29.
7)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 <http://www.mest.go.kr/me_kor/inform/1/2/1207507_10862.html> [인용 2010. 11. 22].
12) 권나현, “디지털도서관에서의 도서관불안과 측정도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제2호(2004. 06)
15) M. A. Anwar, N. M. Al-Kandari, and C. L. Al-Qallaf, “Use of Bostick's Library Anxiety Scale on Undergraduate Biological Sciences Students of Kuwait University,”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Vol.26, No.2(2004), pp.266-283.
17) Van Kampen and Doris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library anxiety scale,” College & Research Libraries, Vol.65, No.1(2004), pp.28-34.
18) 정수진 등, “한국형 도서관불안척도(K-LAS)의 통계적 분석,” 제 16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관리학회(2009), pp.173-179.
19) 박현영, 남태우, “도서관불안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0권, 제3호(2006. 09), pp.99-120.
20) Q. G. Jiao, A. J. Onwuegbuzie, and A. Lichtenstein, “Library Anxiety : Characteristics of ‘At-Risk’ College Student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Vol.18, No.2(1996)
22) Q. G. Jiao, A. J. Onwuegbuzie, “Self-perception and Library Anxiety : an Empincal Study." Library Review, Vol.48, No.3(1999)
25) 김홍렬, “지역주민들의 도서관불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4호(2008. 12), pp.461-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