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환경 측면이나 도서관 현장에서 독서프로그램 담당 사서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문헌정보학과에서는 독서관련 교과목 개설이 미비하며, 교육내용 또한 이론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서교육자의 자질을 함양하기 위한 실무중심의 독서관련 교과목 교수-학습법을 개발하였다. 즉, 독서체험을 위한 자기주도적 독서 및 독후포트폴리오 제작활동과 실무 중심의 학습동기 유발 독서프로그램 운영과 도서관현장 연계 협동 프로젝트 수행에 대한 교수-학습법을 개발․적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method for reading guidance librarians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ven though it was an increase of needs for reading guidance librarians in libraries, reading education courses provided by LIS in Korea lacked. Also, most reading education courses of LIS stressed knowledge-oriented education than the practice of reading program design or reading experience. So this study developed the teaching-learning method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for the activities of post-reading portfolio, management of reading program for motivation, and the team-projected learning for the design of reading program.
1) 곽철완 등, “어린이서비스 협력체계 및 협의회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9권, 제2호 (2008. 12), pp.63-84.
2) 차미경, 어린이 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 프로그램 개발(서울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6).
3) 김종성,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7권, 제1호(2006. 06), pp.135-159.
4) 이명희, “독서교육 교과목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8권, 제1호(2007. 06), pp.23-44.
5) 변우열, 이병기,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4호 (2006. 12), pp.111-141.
6) 정혜미, 차미경,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를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8권, 제2호(2007. 12)
7) 김세훈, 도서관 전문성 강화 방안: 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서울 :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4).
8) 이연옥, “어린이사서의 역할과 전문성 개발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6권, 제3호(2005. 09), pp.233-256.
9) 이숙현, 아동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2006).
11) 박숙희, 염명숙, 교수학습과 교육공학(서울 : 학지사, 2007), pp.189-20
12) J. M. Keller, 매력적인 수업 설계: 주의집중, 관련성, 자신감, 그리고 만족감, 송상호 역(서울 : 교육과학사, 1999), pp.9-20.
13) S. Kagan, 협동학습, 협동학습연구교사모임 역(서울 : 디모데, 1999), pp.15-18.
14) 정문성, “Co-op Co-op 협동학습모형의 적용,” 열린교실연구, 제4권, 제2호(1996. 11), pp.207-208.
15) M. B. Knowles,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s and teachers(Chicago, IL : Follett Publishing Co., 1975), p.17.
정연순, 대학생 사이버 진로교육원 구축방안 연구(서울 : 한국고용정보원, 2008), p.116.
한태명 등, 자율학습형 콘텐츠 개발 방법 연구(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17) 황금숙, “신정부의 독서문화 진흥 정책을 위한 제안,” 국회도서관보, 제45권, 제4호(2008. 05), pp.58-67.
19) 황금숙, “직무분석을 통한 공공도서관 사서 직무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2호(2008. 06), pp.407-427.
20) 안인자, “사서교사(사서)의 직무분석을 통한 사서 양성기관의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2003. 09) pp.79-95.
阪本一郞 등편, 新讀書指導指導事典(東京 : 第一法規, 1981), pp.439-441.
손정표, 신독서지도방법론(대구 : 태일사, 1999), pp.120-122.
23) 변우열, 독서교육의 이해(서울 : 조은글터, 2009), p.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