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Public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y in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1, v.42 no.1, pp.97-123
https://doi.org/10.16981/kliss.42.1.201103.97
강숙희 (인천대학교)

초록

장애인들은 오랫동안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 소외되어 왔다. 공공도서관이 정보접근 및 이용의 격차해소라는 사회적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이용자로서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여야 할 것이며, 장애유형별로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도서관에 대한 장애인들의 요구를 창출하고 그들을 도서관으로 유인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문헌연구를 통하여 장애인 및 도서관 장애인서비스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보건복지부 장애인 통계 및 실태조사에 기초하여 우리나라 장애인의 장애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의 장애유형별 장애인서비스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People with Disabilities, Public Library,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장애인,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People with Disabilities, Public Library,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bstract

To achieve public library services for all by including those with disabilities, librarians have to think of them in new ways, and be knowledgeable about various types of disabilities and how to best assist the patron. And public libraries must provide them with services designed by types of disab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sabled people by types of disability and proposed the directions to develop of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y types of disabilities.

keywords
People with Disabilities, Public Library,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장애인,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장애인서비스, People with Disabilities, Public Library,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참고문헌

1.

1) 국립중앙도서관, 2009년 전국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현황조사(서울 : 동도서관, 2009).

2.

2) Young Sook Lee, “Finding the Means to Improve Services," (In: Improving Library Service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edited by Courtney Deines-Jones(Oxford : Chandos Pub., 2007)), p.117.

3.

3) 보건복지부 통계포털, <http://stat.mw.go.kr/> [인용 2011. 1. 3].

4.

4) 변용찬 등, 2008년 장애인실태조사(서울 : 보건복지가족부, 2008).

5.

5) 한국정보화진흥원 편, 2009 장애인정보격차 실태조사(서울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6.

6) 이영숙, “장애인정보격차에 관한 소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2007), pp.69-91.

7.

7) 강숙희,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0권, 제4호(2009. 12), pp.353-379.

8.

8) 조용완,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보격차 해소 활동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4호(2007), pp.167-186.

9.

9) 김선호, “공공도서관의 난독인 정보봉사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2호(2009. 6), pp.183-206.

10.

10) 정연경,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중장기 발전계획(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7).

11.

11) 이준우 등, 청각장애인 지식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중장기적 발전계획(서울 :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08).

12.

12) 조주은, “장애인의 정보접근성: 장애유형과 정도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제26권, 제2호(2003), pp.147-173.

13.

13) 강동호, 시각장애인의 접근권 보장실태와 만족도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2003).

14.

14) 이성일,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장애인 디지털정보 서비스 연구(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7).

15.

15) 이해균, 김성애, 김정현, “장애인 독서환경 개선 방안 I.:(독서)장애인의 독서 및 도서관 이용 실태 분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8권, 제3호(2007. 9), pp.619-643.

16.

16) 김영기,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 제정 연구(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7).

17.

17) 박영숙, 방귀희, 손연숙, 장애인복지의 이해(서울 : 동인, 2008). p.113.

18.

18) 하스야마 야스히로, 복지공학, 민병찬, 유태범 옮김(서울 : 인터비젼, 2007). p.125.

19.

19) Ibid., p.63.

20.

20) 장애등급판정기준, 보건복지가족부 고시 제2009-227호, p.44.

21.

21) 박영숙, 방귀희, 손연숙, op. cit., p.124.

22.

22) 정일교, 김만호 공저, 장애인복지론, 2판(파주 : 양서원, 2007). p.136.

23.

23) Kirsty Williamson, Don Schauder, and Amanda Bow, “Information Seeking by Blind and Sight Impaired Citizens: an Ecological Study,” Information Research, Vol.5, No.4(July 2000). InformationR.net 홈페이지, <http://informationr.net/ir/5-4/paper79.html> [인용 2011. 1. 20].

24.

24) 정일교, 김만호, op. cit., pp.144-145.

25.

25) 박영숙, 방귀희, 손연숙, op. cit., pp.141-142.

26.

26) Ibid., p.137.

27.

27)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애 관한 법률」 시행령 제4조 및 별표2, 시행규칙 제6조 및 별표3.

28.

28) Birgitta Irvall and Gyda Skat Nielsen, Access to librari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Checklist(IFLA Headquarters : Hague, 2005).

29.

29) Courtney Deines-Jones, op. cit., p.141.

30.

30)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편,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서울 : 동센터, 2009), p.7.

31.

31) 이정연, 시각장애인의 이해(In: 도서관장애인서비스과정(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사서교육문화과, 2010), p.101).

32.

32) Birgitta Irvall and Gyda Skat Nielsen, op. cit., p.9.

33.

33) 스웨덴국립녹음점자도서관 홈페이지, <http://tpb.se/> [인용 2011. 1. 20].

34.

34) W3C 홈페이지, <http://www.w3.org/TR/WCAG20/> [인용 2011. 1. 20].

35.

35) 방송통신위원회,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0(서울 : 동위원회, 2010).

36.

36) 신승은, “웹접근성 by Web 2.0: 장애유형별 웹접근성 필요기능 정리," <http://blog.naver.com/toysun?Redirect=Log&logNo=80068732907> [인용 2011. 1. 20].

37.

37) 서종길, “공공문화정보의 장애인 대상 서비스 방안,” 공공기관의 문화정보 활용 제고 Ⅳ-03. p.160.

38.

38) 신승은, op. cit., [인용 2011. 1. 20].

39.

39) 변용찬 등, op. cit., p.17.

40.

40)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abroad/abroad_01List.jsp?parentId=A> [인용 2011. 1. 15].

41.

41)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편, 2009 장애인통계(서울 : 동공단, 2009).

42.

42) 매일경제 홈페이지, <http://mbn.mk.co.kr/> [인용 2011. 1. 15].

43.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인용 2011. 1. 15].

44.

44) 변용찬 등, op. cit., p.119.

45.

한국정보화진흥원, op. cit., pp.146-147

46.

47) 변용찬, op. cit., pp.230-232.

47.

48) 변용찬, op. cit., pp.48, 130-131.

48.

49) 변용찬, op. cit., pp.135-137.

49.

50) 한국정보화진흥원, op. cit., p.57.

50.

51) 변용찬, op. cit., p.147.

51.

변용찬, op. cit., p.149

52.

53) 권재일 등, 청각장애인의 언어 사용 실태 연구: 언어 사용 실태와 수화에 대한 청인의 인식(서울 : 국립국어원, 한국농아인협회, 2009).

53.

54) Ibid., p.71, 133.

54.

55) 변용찬, op. cit., p.119.

55.

56) 권재일, op. cit., p.132.

56.

58) 변용찬, op. cit., p.152, 153.

57.

59) Ibid., pp.153-154.

58.

61) 변용찬, op. cit., p.143.

59.

63) 변용찬, op. cit., p.159.

60.

64) 변용찬, op. cit., p.259.

61.

이성일, op. cit., p.2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