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일본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한 거시적 환경에 관한 고찰

A Study for Macro-Environment of Japanese School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1, v.42 no.4, pp.111-136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111
이원숙 (공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90년대는 일본 학생들의 문자이탈 현상 및 그에 따른 독해력 저하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던 독서의 위기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을 전환점으로 삼아 학교도서관 및 관련 기관들은 관련 법률을 제정·개정하고, 학교도서관 및 독서관련 사업을 펼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어린이 독서활동의 환경 정비에 주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0년대부터 활발하게 진행된 학교도서관을 둘러싼 독서환경 정비를 위한 각계각층의 노력들을 소개하고 정리함으로써 일본 학교도서관의 거시적 환경을 이해하고 한국의 학교도서관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고한다.

keywords
School Libraries in Japan, Reading Activities, School Library Legislation, Activities of School Library, Standard of School Library, 일본의 학교도서관, 독서활동, 학교도서관법, 학교도서관 사업, 학교도서관 표준, School Libraries in Japan, Reading Activities, School Library Legislation, Activities of School Library, Standard of School Library

Abstract

In the 90s, due the Japanese students’ degradation in reading comprehension from literacy escape, it was serious social phenomenon that brought reading crisis in Japan. However, school libraries and related institutions regarded this as a turning point and started to reset·revise their legislations and focused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children’s reading activities from various aspects by conduction reading related activities. This study is to help understanding macro-environment of Japanese school libraries by introducing and summarizing all the efforts from each fields for restructuring reading environment mainly around the school libraries from 90’s in Japan.

keywords
School Libraries in Japan, Reading Activities, School Library Legislation, Activities of School Library, Standard of School Library, 일본의 학교도서관, 독서활동, 학교도서관법, 학교도서관 사업, 학교도서관 표준, School Libraries in Japan, Reading Activities, School Library Legislation, Activities of School Library, Standard of School Library

참고문헌

1.

1) 김효정,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의 변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28권(1995), pp.167-191.

2.

2) 곽철완, 최재황, “미국 학교도서관 발전에 있어서 연방 법률과 학교도서관 기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2호(2008), pp.109-124.

3.

3) 송기호,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에 나타난 핵심 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3호(2009), pp.225-247.

4.

4) 이병기,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 관련 문서 「21세기 학습자를 위한 기준」의 구조와 내용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0권, 제3호(2009), pp.203-223,

5.

5) 박명규,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과 적용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4권, 제2호(2003), pp.83-95.

6.

6) 남영준, “학교도서관의 새로운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3호(2010), pp.99-131.

7.

7) 곽철완, 노영희,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 제20권, 제2호(2009), pp.183-196.

8.

8) 이재원, 조현양, “학교도서관 정책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2호(2006), pp.97-126.

9.

9) 변우열, 이병기, 김성준, “학교도서관 평가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권, 제1호(2011), pp.51-73.

10.

10) 김성준, “학교도서관 평가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권, 제3호(2011), pp.5-26.

11.

11) 변우열,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5권, 제3호(2004), pp.139-173.

12.

12) 곽철완, 장윤금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 방안 효과에 대한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4호(2006), pp.143-160.

13.

13) 노영희,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추진 현황 분석 및 평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07), pp.243-271.

14.

14) 권은경,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성과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1호(2010). pp.319-341.

15.

15) 목수정, “우리나나 학교도서관 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2권, 제2호(2011), pp.221-234.

16.

16) 김효정, “영국․미국․일본의 학교도서관 기준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25권(1996), pp.51-82.

17.

17) 변우열, “학교도서관 자료기준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28권(1998), pp.61-91.

18.

18) 김효정,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1권, 제1호(1997), pp.71-104.

19.

19) 子どもと本をつなぐ人のページ, <http://www.kodomo.go.jp/mediator/plan/plan.html> [cited 2011. 10. 3].

20.

20) 教育基本法, <http://law.e-gov.go.jp/htmldata/H18/H18HO120.html> [cited 20011. 11. 20].

21.

21) 学校教育法, <http://law.e-gov.go.jp/htmldata/S22/S22HO026.html> [cited 2011. 11. 20].

22.

23) 図書館法, <http://law.e-gov.go.jp/htmldata/S25/S25HO118.html> [cited 2011. 11. 2].

23.

26) 学校図書館法, <http://law.e-gov.go.jp/htmldata/S28/S28HO185.html> [cited 2011. 11. 1].

24.

27) 권은경, “일본의 학교도서관법 개정과 사서교사 제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8권, 2호(2004), pp.95-118.

25.

28) 子ども読書活動の推進に関する法律, <http://law.e-gov.go.jp/htmldata/H13/H13HO154.html> [cited 2011. 11. 21].

26.

30) 岐阜県子どもの読書活動推進計画(第二次), <http://www.pref.gifu.lg.jp/kyoiku-bunka-sports/shakaikyoiku/jigyo/dokusho-katsudo/dokusyo.html> [cited 2011. 11. 1].

27.

31) 윤유라, 이제환, “일본의 독서교육에서 학교도서관의 의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2010), pp.187-209.

28.

32) 文字․活字文化振興法, <http://law.e-gov.go.jp/htmldata/H17/H17HO091.html> [cited 2011. 11. 22].

29.

33) 권은경, “일본의 학교도서관 발전에 미치는 문고운동의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9권, 제1호(2005), pp.105-126.

30.

34) 石井宗雄, “言語力の涵養」に資する学校図書館,” 学校図書館, 通券第665号(2006. 3), pp.24-29.

31.

35) 市町村子ども読書活動推進計画」策定状況, <http://www.mext.go.jp/b_menu/houdou/21/04/_icsFiles/afieldfile/2009/04/16/1260800_2_1.pdf> [cited 2011. 11. 22].

32.

38) 根本 彰, “学校図書館の重要性を示唆する新指導要領,” 学校図書館, 通巻第693号(2008. 7), pp.15-18.

33.

39) 図書館憲章, <http://www.j-sla.or.jp/material/sla/post-33.html> [cited 2011. 11. 5].

34.

40) 田村 学, “総合的な学習の時間における学校図書館の活用,” 学校図書館, 通巻第702号(2009. 4), pp.56-58.

35.

42) 浦和市学校図書館情報化․活性化推進モデル地域事業全体計画, <http://www.saitama-city.ed.jp/tosyo/jouhouka/zentai.htm> [cited 2011. 11. 13].

36.

学校図書館資源共有ネットワーク推進事業, <http://www.mext.go.jp/a_menu/hyouka/kekka/03082902/010.pdf> [cited 2011. 11. 22].

37.

49) 「学校図書館図書整備費」 に基づく各自治体での学校図書館図書費予算化の現状, <http://www.j-sla.or.jp/material/research/post-45.html> [cited 2011. 11. 21].

38.

「平成22年度学校図書館現状に関する調査」 結果について(概要), <http://www.mext.go.jp/b_menu/houdou/23/06/_icsFiles/afieldfile/2011/06/02/1306743_01.pdf> [cited 2011. 10. 30].

39.

52) 学校図書館支援センター推進事業, <http://www.mext.go.jp/a_menu/hyouka/kekka/05090202/015.pdf> [cited 2011. 11. 1].

40.

53) 市川市教育委員会報告書, <http://www.pref.chiba.lg.jp/kyouiku/shidou/gakuryoku/dokusyo/documents/ichikawa.pdf> [cited 2011. 11. 4].

41.

54) 子ども読書応援プロジェクト, <http://www.mext.go.jp/a_menu/hyouka/kekka/06091508/034.pdf> [cited 2011. 11. 2].

42.

56) 子ども読書応援プロジェクト, <http://www.mext.go.jp/a_menu/hyouka/kekka/08100105/033.htm> [cited 2011. 10. 18].

43.

57) 子ども読書の情報館, <http://www.kodomodokusyo.go.jp/> [cited 2011. 11. 5].

44.

58) 学校図書館の活性化推進総合計画(新規), <http://www.mext.go.jp/a_menu/hyouka/kekka/08100105/020.htm> [cited 2011. 11. 7].

45.

59) 学校図書館の活性化推進総合事業の最終報告書, <http://www.pref.akita.lg.jp/www/contents/1297051584072/files/jigyouhoukokusyo.pdf> [cited 2011. 11. 3].

46.

60) 学校図書館図書標準, <http://www.mext.go.jp/a_menu/sports/dokusyo/hourei/cont_001/016.htm> [cited 2011. 11. 21].

47.

61) 김효정, “영국․미국․일본의 학교도서관 기준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25권(2006), pp.51-82.

48.

63) 学校図書館図書廃棄基準, <http://www.j-sla.or.jp/material/kijun/post-36.html> [cited 2011. 11. 21].

49.

65) 学校図書館評価基準, <http://www.j-sla.or.jp/material/kijun/post-44.html> [cited 2011. 11. 8].

50.

67) 学校図書館ホームページ評価基準, <http://www.j-sla.or.jp/pdfs/material/hyoka.pdf> [cited 2011. 11. 20].

51.

69) 平成22年度 「学校図書館の現状に関する調査」 の結果について, <http://www.mext.go.jp/b_menu/houdou/23 /06/1306743.htm> [cited 2011. 11. 2].

52.

도서도서관 연구소, “주요국 도서관법,” 도서관연구소 웹진, 제10권(2008. 2), pp.1-7, <http://webzine.nl.go.kr/publish/krili/200802_01/pdf/librarylaw_0226.pdf> [인용 2011. 11. 22].

53.

72) 이선화, 미국과 일본의 어린이 독서진흥 정책 사례 비교(석사학위논문,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p.6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