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현황과 사서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Current Status of and Percep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s in Korean Special Librar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1, v.42 no.4, pp.137-158
https://doi.org/10.16981/kliss.42.4.201112.137
황재영 (국방과학연구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최근 몇 년 동안 국내 도서관 현장에서는 도서관이 처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수시로 변하는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대안으로 주제전문서비스가 거론된 바 있다. 전문도서관 역시 주제전문서비스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운영 방안이 요구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사례는 없는듯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문도서관에서 주제전문서비스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으며, 주제전문사서들은 주제전문서비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제전문서비스를 시행하는 전문도서관을 대상으로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일반, 주제전문사서 채용과 교육 훈련, 주제전문사서의 역할,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와 애로사항 등에 관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주제전문서비스, 주제전문사서, 전문도서관, Subject Specialized Servic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pecial Libraries, Subject Specialized Servic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pecial Libraries

Abstract

Recently, subject specialized service has been suggested as a solution to overcome a difficulty of library management and to meet the quickly changing needs of library users. Introduction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 is raised to be introduced to special libraries and efficient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However, systematic study on the subject specialized service is very rare.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how subject specialized service is operated in korean special libraries and how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recognize them. In order to analyzes and investigate, 8 special libraries was selected to survey general management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 recruitment and training issue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their duties and overall evaluation and problem of subject specialized service. Finally the study attempts to suggest development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subject specialized service in special libraries.

keywords
주제전문서비스, 주제전문사서, 전문도서관, Subject Specialized Servic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pecial Libraries, Subject Specialized Servic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pecial Libraries

참고문헌

1.

1) ALA, The ALA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d.(Heartsill Young. Chicage IL: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983), p.220.

2.

2)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용어사전(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1996), p.340.

3.

3) 노영희 등, “주제전문서비스 운영실태 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9권, 제4호(2008. 12), pp.97-123.

4.

4) F. J. Hay, “The Subject specialist in the Academic Library: A Review Articl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16, No.1(1990), pp.11-17.

5.

7) 안인자 등,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2권, 제4호(2008. 12), pp.533-549.

6.

8) 노동조 등, “주제전문사서 현황 및 인식조사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6권, 제2호(2009. 6), pp.43-63.

7.

9) 노영희, “대학도서관의 규모별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0권, 제1호(2009. 3), pp.101-117.

8.

10) 홍순영 등, “국내 대학 및 전문도서관의 주제전문서비스 운영 사례연구," KESLI 전자정보포럼(2010).

9.

11) 이수정, “의학주제전문사서제도의 도입과 그 전망," 한국의학도서관, 제30권, 제1/2호(2003), pp.27-32.

10.

12) 강미혜, “주제전문사서의 양성을 위한 주제서지과목 과제방안 연구-법률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4권, 제3호(2002. 9), pp.49-68.

11.

13) Association of Research Libraries, “Liaison Services," ARL SPEC Kit 301(October 2007).

12.

14) Stephen Pinfield, “The changing role of subject librarians in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Vol.33, No.1(Mar. 2001), pp.32-38.

13.

15) Sonja L. McAbee and John-Bauer Graham, “Expectations, Realities, and Perception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Duties in Medium-Sized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31, No.1(Jan. 2005), pp.19-28.

14.

16) Michele R. Tennant et al., “Evaluation of a liaison librarian program: client and liaison perspectives," Journal of Medical Librariy Association, Vol.94, No.4(Oct. 2006), pp.402-409.

15.

17) 한국전문도서관협의회 홈페이지, <http://www.ksla.info/> [인용 2011. 11. 10].

16.

18)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홈페이지, <http://www.kmla.or.kr/> [인용 2011. 11. 10].

17.

19) 한국신학도서관협의회 홈페이지, <http://www.ktla.or.kr/> [인용 2011. 11. 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