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Memories and the Locality of Pusan -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of Busan and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2, v.43 no.2, pp.343-364
https://doi.org/10.16981/kliss.43.2.201206.343

Abstract

To examine the locality of Busan is a precondition of examining documenting localities of Busan. What is the locality of Busan and how can I explore the locality of Busan? These ar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thesis. Memory is fundamental in making an identity. So local memory is fundamental in making locality. Understanding relations between memory and identity, the author explored the locality of Busan by analyzing memories of Busan. To analyze memories of Busan is to examine historical figures of Busan and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which are on the website of Busan metropolitan c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historical figures of Busan, there are no confucius scholars who came from Busan. However in the age of civilization, Busan has produced some talented people by way of receiving a modern educ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Jung-gu(中區) and Seo-gu(西區) and Yeongdo-gu(影島區) are the spaces of migration. Dongnae-gu(東萊區), Suyeong-gu(水營區) and Saha-gu(沙下區) and Gijang-gun(機張郡) are the spaces of settlement. Dong-gu(東區) has changed from a space of settlement into a space of migration with the opening of the Busan Port as a momentum in 1876.

keywords
로컬리티, 기억, 로컬리티의 기록화, 부산의 인물, 부산의 문화재, 지역적 특성, 지역 정체성, 지역성, 정주 공간, 이주 공간, Locality, Memory, Historical figures of Busan,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The space of settlement, The space of migration, Documenting localities, Local identity, Local originality

Reference

1.

윤영화. 뇌과학에서 본 학습과 기억. 서울 : 학지사, 2001

2.

부경역사연구소 편. 부산, 역사향기를 찾아서. 부산 : 부산은행, 2005.

3.

최해군. 부산이야기 62마당. 부산 : 해성, 2009.

4.

Harm de Blij. 공간의 힘: 지리학, 운명, 세계화의 울퉁불퉁한 풍경. 황근하 역. 서울 : 천지인, 2009.

5.

한주성. 교통지리학의 이해. 파주 : 한울, 2010.

6.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로컬리티 연구총서3). 서울 : 혜안, 2010.

7.

김윤환, [KBS] 기억 제작팀. 기억 : KBS 사이언스 대기획 인간탐구. 서울 : KBS미디어, 2011.

8.

권귀숙. “제주 4・3의 사회적 기억.” 한국사회학(한국사회학회), 제35집, 5호(2001.10), pp.199-254.

9.

김동철. “柔遠閣先生埋案感古碑와 부산의 譯官 건물.” 港都釜山, 제16호(2000. 7), pp.342-384.

10.

김동철. “부산의 일본 관련 문화유적과 활용방안." 韓國民族文化(한국민족문화연구소), 제21권(2004. 4), pp.259-276.

11.

문재원, 이상봉. “마산의 지역성을 둘러싼 정체성의 정치 : ‘가고파’ 이미지의 전유와 기획을 중심으로.”석당논총(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제47집(2010. 7), pp.59-96.

12.

박수경, 이상봉.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을 통해 본 평화도시 히로시마의 로컬리티: 지역적 기억의 국민화."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 로컬리티 연구총서3, 도서출판 혜안, 2010, pp.251-290.

13.

송정숙. “개항장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11권, 제1호(2011. 6), pp.273-298.

14.

양흥숙. “부산 로컬리티의 탐구: 「디지털부산역사문화대전」을 중심으로.” 제1회 SSK 로컬리티의기록화 컬로퀴엄 자료집. 부산대학교 사회관 208호. 2010.11.19. pp.19-40.

15.

吳美一. “開港(場)과 移住商人: 開港場都市 로컬리티의 형성과 기원.” 한국근현대사연구, 제47집(2008. 겨울호), pp.40-80.

16.

장세룡. “로컬 기억과 기억의 정치 : 폴란드 예드바브네 유대인 학살 기억의 사례.” 대구사학, 제98집(2010. 2), pp.243-281.

17.

장세룡. “이동성과 이주공간의 변화 그리고 로컬리티의 생성.” 로컬리티의 인문학, 제7권(2012. 4), pp.133-170.

18.

김영철. “道廳을 들어 옮긴 ‘철도의 힘’.” 조선일보(2012. 5. 3).

19.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cha.go.kr/korea/heritage/knowledge/notion_01.jsp?mc=NS_04_02_01>[인용 2012. 4. 12].

20.

부산광역시청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04ocean/0403person/01_01.jsp>[인용 2012. 3. 10].

21.

부산광역시청 홈페이지. <http://tour.busan.go.kr/kor/05_culture/01_04/01/index.jsp>[인용 2012. 4. 15].

22.

통계청 홈페이지. <http://meta.kosis.kr/bzmt/MetaList.do?SURV_PHS_ID=48&curYear=2005>[인용 2012. 4. 10].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