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공도서관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Analysis of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3, v.44 no.2, pp.5-26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5
윤희윤 (대구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관계법령, 국가정책, 도서관계의 인식도, 실제 수장공간의 측면에서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을 분석한 결과, 공동보존서고 건립의 타당성은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기초연구를 바탕으로 한 지역단위 공동보존서고의 건립 및 운영모형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무부처인 문화체육관광부와 광역시도는 공동보존서고 건립에 문화정책의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keywords
공동보존서고, 공동보존도서관, 지역대표도서관, 공공도서관, 타당성 분석, Collaborative repository, Collaborative repository library, Regional central library, Public library, Feasibility analysis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To that end, its feasibilities were analyzed from the sides of the relevant laws, national policy, library's recognition, and actual collection space. As a result, the feasibility of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was revealed by enough. Accordingly, based on the this basic research, there is a need to develop immediately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model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e must grant priority of cultural policy in the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ve repository.

keywords
공동보존서고, 공동보존도서관, 지역대표도서관, 공공도서관, 타당성 분석, Collaborative repository, Collaborative repository library, Regional central library, Public library, Feasibility analysis

참고문헌

1.

국립중앙도서관. 국내도서관 자료보존현황 및 공동보존 구축방안 : 2006 국립중앙도서관 열린정책 세미나 자료집.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6.

2.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 협력망 운영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8.

3.

국립중앙도서관. 2005년도 도서관협력망 운영실태 자료집 : 공공도서관.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2005.

4.

대통령 소속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도서관발전종합계획 : 2009-2013. 서울 : 동위원회, 2008.

5.

신지연, 김유승.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공동보존도서관 설립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2권, 제3호(2011. 9), pp.129~150.

6.

윤희윤. 대학도서관경영론, 완전개정 제3판. 대구 : 태일사, 2013.

7.

한국도서관협회 도서관기준특별위원회 편. 2013년판 한국도서관기준. 서울 : 동협회, 2013.

8.

Henden, Johan. “The Norwegian Repository Library.” Library Management, Vol.26, No.1/2(2005), pp.73-78.

9.

Murray-Rust, Catherine. “Library Storage as a Preservation Strategy.” In Advances in Librarianship, Vol.27(2010), pp.159-183.

10.

Payne, Lizanne. Library Storage Facilities and the Future of Print Collections in North America. Dublin : OCLC, 2007.

11.

Seaman, Scott. “Collaborative Collection Management in a High-density Storage Facility.” College & Research Libraries, Vol.66, No.1(Jan. 2005), pp.20-27.

12.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Regional Depository Libraries in the 21st Century : ATime for Change? : A Report to the Joint Committee on Printing. Washington, D.C. :The Office, 2008.

13.

Yoon, Hee-Yoon, Kim Sin Young, and Oh Sun-Kyung. “Shortage of Storage Space in Korean Libraries : Solutions Centering upon Hub-based Collaborative Repositories." Aslib Proceedings, Vol.60, No.3(2008), pp.265-28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