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for Smart Learning in the School Librar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3, v.44 no.2, pp.27-50
https://doi.org/10.16981/kliss.44.2.201306.27
이승길 (성균관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의 스마트러닝 수업 모형을 정보활용교육 측면에서 개발하는 것이다. 수업 모형은 ADDIE 모형과 ASSURE 모형을 기반으로 학교도서관의 특성에 맞게 도서관의 시설, 자료, 인적자원, 정보문제 해결과정, 협동수업 및 블렌디드 학습, 스마트 디바이스의 이용 등이 고려되었다. 수업 모형은 “학습목표 설정→학습자 분석→학습환경 분석→학습과제 분석→교수 전략→매체 선정 및 개발→수업적용→평가”의 순서로 개발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스마트러닝의 실제적인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서 수업 예시를 제시하였다.

keywords
School library, Smart education, Smart learning, Information literacy, Library instruction, 학교도서관, 스마트교육, 스마트러닝, 정보활용교육, 도서관 수업

Abstract

In this study, a smart Learning instruction model for school library was developed in terms of library instruction. Based on ADDIE model and ASSURE model, this model is organiz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y, including facilities, materials, human resources, inform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collaborative teaching and blended learning, and utilizing smart devices. The entire procedure of this model is as follows: “establish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learner analysis→analyzing the learning environment→analyzing the learning task→instructional process design→developing instructional tool→instruction→evaluation.” In addition, an instructional practice is provided for actual experience of smart Learning in school libraries.

keywords
School library, Smart education, Smart learning, Information literacy, Library instruction, 학교도서관, 스마트교육, 스마트러닝, 정보활용교육, 도서관 수업

참고문헌

1.

강인애, 임병노, 박정영. “스마트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2호(2012. 5), pp.283-303.

2.

강혜영. 스마트교육에서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컴퓨터교육학과, 2012.

3.

고영만. “대학생을 위한 정보문해 교수-학습 모형 개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21권, 제4호 (2004. 11), pp.67-88.

4.

고영만. “정보교육의 문화적 담론.”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5권, 제3호(2001. 9), pp.79-92.

5.

교육과학기술부.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11.

6.

권선영. 대학에서의 웹기반 정보소양 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4.

7.

권성호. 스마트교육의 좋은 수업 성공 요인 분석 연구. 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8.

기미성. 학교도서관의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11.

9.

김상연. 스마트교육 도입 및 활용에 대한 교사 인식 촉진 조건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대학원 교과교육학과, 2012.

10.

김성진. “대학도서관의 스마트폰 기반 모바일 서비스 현황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4호(2012. 12), pp.71-91.

11.

김성환. 정보문해 교육이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석사학위논문,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7.

12.

김순희. “온라인 정보문해 과목의 교육 효과 및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40권, 제4호(2006. 12), pp.33-61.

13.

김재희. 스마트교육을 위한 협력학습 지원 시스템 설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2012.

14.

김진숙. 스마트교육 수업 시나리오(3) 중․고등학교 수업 사례. 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pp.1047-1060.

15.

김현철. 스마트교육 콘텐츠 품질관리 및 교수학습 모형 개발 이슈. 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16.

남선우. 기독교 청소년 교회교육을 위한 스마트 PBL 사례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교육학과, 2012.

17.

노경희 외. 스마트교육 체제 구현을 위한 온라인수업 활성화 방안. 서울 :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18.

박수희, 최성우. “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0권, 제2호(2006. 6), pp.357-387.

19.

박지현. 지속가능 미래형 스마트교육 시스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목원대학교대학원 IT공학과, 2012.

20.

배경재. 정보문제 해결능력 형성의 사회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9.

21.

송기호. 교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학습주제 중심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8.

22.

양현미. 스마트 리터러시 정의와 구성요소에 관한 델파이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공학전공, 2012.

23.

유양근. “구성주의 교수-학습을 위한 학교도서관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4권, 제1호(2010. 2), pp.29-51.

24.

윤상림. 정보활용능력을 위한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대학원문헌정보학과, 2004.

25.

이병기.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수행과제 개발 도구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2권,제4호(2011. 12), pp.31-50.

26.

이병기. 정보활용교육론. 고양 : 조은글터, 2006. p.155.

27.

이상훈. 정보문해 교육이 초등학생의 학교도서관 이용행태 및 정보처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2013.

28.

이승길. “도서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학습동기와 메타인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3권, 제4호(2012. 12), pp.225-248.

29.

이승길.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이 도서관활용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4호(2007. 12), pp.161-180.

30.

이승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고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2005.

31.

이은환.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학습자 특성, 상호작용, 몰입, 지각된 유용성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 2013.

32.

이창수. 대학도서관 온라인 튜토리얼 개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정보과학과, 2009.

33.

임걸. “스마트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제14권, 제2호(2010. 3), pp.33-45.

34.

장경익. 스마트러닝의 특성이 학습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성대학교 지식서비스&컨설팅대학원 융합기술학과, 2012.

35.

전규태. e-러닝 정보활용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대학원 평생교육학과, 2009.

36.

정재훈 등. “21세기 학습능력 및 스마트러닝 교수설계 모형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제20권,제2호(2012. 7), pp.151-154.

37.

정주희. 어린이 청소년 도서관 포털의 모형 설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38.

정준혁. 대학도서관의 온라인 이용자교육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9.

39.

한해숙, 임희석. “초중고에서의 스마트교육 교수-학습 유형 분석.”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2호 (2013. 2), pp.51-58.

40.

Braun, Linda W. “The Big App: New York's Libraries Take Homework Help Mobile--With a Little Help from Their Friends.” School Library Journal, Vol.56, No.12(Dec. 2010), pp.49-51.

41.

Donaldson, Robin Lee. Student Acceptance of Mobile Learning. Ph. D.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2011.

42.

Morris, Betty J. “The Emerging School Library Media Center:From the Past into the Future.” Knowledge Quest, Vol.33, No.33(Jun. 2005), pp.22-26.

43.

Neely, Teresa Yvonne. Aspects of Information Literacy: A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udy.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2000.

44.

Sundin, Olof. "Negotiations on information-seeking expertise: a study of web-based tutorials for information literacy." Journal of Documentation, Vol.64, No.1(may. 2008), pp.24-44.

45.

Tirado, Alejandro Uribe and Munoz, Wilson Castano. “Identifying Information Behavior in Information Search and Retrieval through Learning Activities Using an E-learning Platform Case.” Education Libraries, Vol.34, No.1(Sum. 2011), pp.33-49.

46.

Walsh, Andrew. “Mobile information literacy: a preliminary outline of information behaviour in a mobile environment.” Journal of Information Literacy, Vol.6, No. 2,(Dec. 2012), pp.56-69.

47.

Williamson, Kirsty and McGregor, Joy. “Generating Knowledge and Avoiding Plagiarism: Smart Information Use by High School Students.”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Vol.14(Aug. 2011), pp.1-22.

48.

Woodward, Tom. “Now Is the Time: Embrace Communication Media and Data Use.” Knowledge Quest, Vol.40, No.3(Jan. 2012), pp.58-61.

49.

Yang, Sharon. “Information Literacy Online Tutorials: An Introduction to Rationale and Technological Tools in Tutorial Creation.” The Electronic Library, Vol.27, No.4(Nov. 2009), pp.684-693.

50.

Zhang, Li. “Effectively incorporating instructional media into web-based information literacy.” Electronic Library, Vol.24, No.3(Jan. 2006), pp.294-30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