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 및 운영 실태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Identity and Administration of Toy Library in South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3, v.44 no.3, pp.75-98
https://doi.org/10.16981/kliss.44.3.201309.75
이종문 (경성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장난감도서관의 정체성과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발견,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전체 51개 장난감도서관 중 도서관법에 의해 설립된 곳은 9.8%(5개)에 불과하고 대부분 자치단체의 장난감도서관 조례(45%) 또는 법적 제도와 관계없이 설립, 운영되고 있다. 설립 목적의 경우에도 82.4%가 장난감 대여와 놀이 자료 제공 및 프로그램 보급, 문화 활동 서비스로 나타날 정도로 도서관법 제2조의 1, 2, 3항의 정의에 따른 동 법에서 말하는 도서관과는 그 정체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도서관법상의 법적 등록기준과 관련하여, 작은도서관 기준으로 건물면적은 96.1%가, 열람석은 92.3%가, 보유 자료는 45.1%가 기준을 초과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사서배치의 경우는 배치한 곳이 13.7%에 불과하였다. 셋째 예산의 경우 대부분이 소요 예산의 70%밖에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자치단체들이 제정하는 장난감도서관 관련 조례 근거에 도서관법을 포함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장남감도서관들이 도서관법상의 법적 위상을 가질 수 있도록 도서관법에 의해 등록할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장난감도서관 운영을 현실화할 수 있도록 자치단체가 예산을 현실화하여 지원할 것을 제언하였다.

keywords
장난감, 장난감도서관, 장난감대여점, 장난감세상, 작은 도서관, Toys, Toy libraries, Toy rental shops, Toy world, Small libraries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oy librari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identity and administration of toy library and so to propose the approaches to improve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status of toy library.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nly 9.8%(5) of 51 toy libraries in Korea was established on the basis of the Libraries Act. Most toy libraries were established and operated without any basis on legal institutions or toy library ordinances of local authorities(45%). The purposes of establishment were different from the identity of toy library specified in the provisions of Clause 1, 2 and 3, Article 2, Libraries Act, as 82.4% of toy libraries was established for rental of toys, providing game data and cultural activity service and distributing game programs. For the legal registration standards based on the Libraries Act, it was found that 96.1% exceeded the floorage requirements, 92.3% exceeded the seating requirement and 45.1% exceeded the collection requirement on the basis of the small libraries. Only 13.7% employed the librarians. Next, most toy libraries secured just 70% of the required budget. In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the local authorities to establish the ordinances related to toy library on the basis of the Libraries Act. Next, it was also proposed for the toy libraries to register themselves in accordance with the Libraries Act for securing the legal status. Finally, the local authorities need to rationalize and support the budgets for rationalizing the administration of toy libraries.

keywords
장난감, 장난감도서관, 장난감대여점, 장난감세상, 작은 도서관, Toys, Toy libraries, Toy rental shops, Toy world, Small libraries

참고문헌

1.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law.go.kr/main.html> [인용 2013. 7. 10].

2.

김수정. 전국 장난감도서관의 운영 실태와 발전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2013.

3.

도쟁이 홈페이지. <http://203.241.185.12/asd/read.cgi?board=Dic&y_number=10347> [인용2013. 6. 22].

4.

동윤진. 어린이 도서관과 장난감 도서관에 대한 실태 및 부모인식조사.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교육대학원 유아교육학과, 2009.

5.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law.go.kr/ordinSc.do?menuId=2&query=%EC%9E%A5%EB%82%9C%EA%B0%90%EB%8F%84%EC%84%9C%EA%B4%80> [cited 2013. 6. 26].

6.

유해미, 양미선, 송신영. 지역사회내 육아지원서비스 전달체계 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012.

7.

일본도서관협회 장애인서비스위원회 편, 도서관운동연구회 역.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 서비스. 서울: 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2000.

8.

장경희. “한국 장난감도서관 운영에 관한 기초 연구." 부모교육연구, 5권, 2호(2008), pp.79-100.

9.

초록우산어린이재단 홈페이지. <http://welfare.childfund.or.kr/inBiz/toyLibrary.do> [인용 2013. 6. 30].

10.

최은희. 놀이감 대여 프로그램이 어머니-영아 상호작용과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2011.

11.

沈剑娜. “儿童玩具图书馆的发展及其社会服务功能的探讨.” 图书馆理论与实践, 2013. pp.16-18.

12.

Dockrell, Julie and wilkinson, J. Eric. “Toy libraries: what's in a nam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49, No.1(May 1989), pp.27-36.

13.

ITLA Home page. <http://www.itla-toylibraries.org/pages/home/> [인용 2013. 7. 1].

14.

Malik, Abida, and Csikar, Julia. Sure Start West Bowling Local Evaluation of Toy Library. <http://www.ness.bbk.ac.uk/support/local-evaluation-findings/documents/1080.pdf>[cited 2013. 6. 28].

15.

Mayfield, Margie I. “Toy libraries: Promoting play, toys, and family support internationall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Vol.87, Issue1(January 1993), pp.1-13.

16.

Moore, Julia E. A History of Toy Lending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Since 1935, Master's Research Paper, Kent State Universit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995.

17.

National Association of Toy and Leisure Libraries. Toy Libraries their benefits for children, families and communities. London: Capacity and Play Matters, 2007. <http://www.ncb.org.uk/media/195173/capacityreportjune07.pdf> [cited 2013. 6. 20].

18.

Powell, Robat and Seaton, Nia. A Treasure Chest of Service : the Role of Toy Libraries Within Play Policy in Wales. Slough: NFER, 2007.

19.

WAATL. A Guide to Starting and Running a Community-Based Toy Library. 2010, p.4-5. <http://www.toylibrary.asn.au/downloads/Manual-setting-up-and-running-a-toy-library.pdf> [cited 2013. 6. 24].

20.

Wikipedia Home page. <http://en.wikipedia.org/wiki/Toy_library> [cited 2013. 6. 2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