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수준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Level of Service on Academic Library Users with Disabiliti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3, v.44 no.4, pp.71-92
https://doi.org/10.16981/kliss.44.4.201312.71
박종배 (성균관대학교 학술정보관)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 장애 학생의 교육복지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핵심적인 서비스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장애인 서비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기준과 대학도서관의 직무단위, 그리고 선행 연구문헌을 분석하여 대학도서관에 적합한 장애인 서비스 평가요인과 하위지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가요인과 하위지표는 대학도서관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사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여 평가지표로서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평가지표 검증 결과, 대학도서관 사서 집단이 인식하는 대학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평가요인은 8개 요인 33개 하위지표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keywords
대학도서관, 장애 대학생, 교육복지, 장애인 서비스, 서비스 평가지표,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Educational welfare, Academic library service with disabilities, Evaluation factors, Evaluation indicator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ervice factors of university libraries which aim to improve the educational welfare of the disabled, and to develop an evaluation indicator to evaluate these vital service factors. To proceed with this study, guidelines of publ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previous research and job description of academy library analysed and developed indicators suited for evaluating academic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pilot survey and main survey about the evaluation factors and indicators conducted with librarians who work for university libraries, and the questions were refin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urvey. As a result, through the process of identifying reliability and validity, it turned out that the evaluation factor and subordinate index of university library services for the disabled consisted of 8 factors and 33 indicators.

keywords
대학도서관, 장애 대학생, 교육복지, 장애인 서비스, 서비스 평가지표,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Educational welfare, Academic library service with disabilities, Evaluation factors, Evaluation indicators.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 <http://www.mest.go.kr/web/45859/ko/board/view.do?bbsId=294&boardSeq=30282> [인용 2013. 1. 10].

3.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도서관 장애인서비스 기준 및 지침.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장애인도서관지원센터, 2009.

4.

강숙희. “공공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4(2009), pp.353-379.

5.

김선호. “공공도서관의 난독인 정보봉사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2(2009), pp.183-206.

6.

김신영. 직무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직무모형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09.

7.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8.

김현선. 대학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현황분석 및 국가단위 프레임워크. 석사학위논문, 서울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2013.

9.

배경재, 곽승진. “시각 장애인의 정보접근성 향상을 위한 유비쿼터스 도서관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2(2006), pp.273-290.

10.

성태제, 시기자. 연구방법론. 서울 : 학지사, 2006.

11.

송지준.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 21세기사, 2012.

12.

윤희윤. “주요 국가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정책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8권, 제4호 (2007. 12), pp.215-240.

13.

윤희윤. “공공도서관의 지식정보 취약계층서비스 전략.”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2(2012), pp.53-75.

14.

이선우.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집문당, 2009.

15.

이훈영. 연구조사방법론. 서울 : 청람, 2012.

16.

日本圖書館協會 障害者サ-ビス委員會. 障害者サ-ビス. 東京 : 日本圖書館協會, 2003.

17.

임미경. 장애 대학생의 교수-학습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연구. 박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대학원 교육학과, 2008.

18.

장보성, 김은정, 남영준. “장애인 이용자의 도서관불안 측정과 분석 :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1, No.3(2010), pp.309-327.

19.

정재영, 정혜미. “장애인 이용자의 요구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2010. 6), pp.189-207.

20.

정재영. “대학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제공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0, No.1(2009), pp.73-91.

21.

ALA Home page, <http://www.ala.org/ascla/sites/ala.org.ascla/files/content/asclaissues/LCNIS2011Introduction.pdf> [cited 2012. 12. 27].

22.

Carter, Catherine J. “Providing servic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an academic library." Education Libraries, Vol.27, No.2(Winter 2004), pp.13-18.

23.

CLAUD Home page <https://wiki.brookes.ac.uk/display/CLAUD/Home> [cited 2012. 12. 10].

24.

English, J.M. & Kernan, Gerard L. “The prediction of air travel and aircraft technology to the year 2000 using the Delphi method." Transportation Research, Vo.10, No.1 (February 1976), p.1-8.

25.

Heaven, Suzanne. “The provision made by higher education library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Library & Information Research, Vol.28, No.9(Winter 2004), pp.24-30.

26.

Howe, Abigail. “Best Practice in Disability Provision in Higher Education Libraries in England Specializing in Art, Media, and Design." New Review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17, No.2(October 2011), pp.155-184.

27.

IFLA Home page, <http://www.ifla.org/files/assets/hq/publications/professional-report/89.pdf> [cited 2012. 12. 3].

28.

Jones, Sandra. Recommendations to improve accessibility for disabled users in academic libraries. Bristol : CLAUD, 2002..

29.

Lenn, Kathy. “Library services to disabled students: Outreach and education." The Reference Librarian, Vol.25, No.53(1996), pp.13-25.

30.

O'Neill, Anne-Marie & Urquhart, Christine. “Accommodating employees with disabilities:Perceptions of Irish Academic Library Managers." New Review of Academic Librarianship, Vol.17, No.2((January 2011), pp.234-258.

31.

Oud, Joanne. “How well do Ontario Library web sites meet new accessibility requirements?" Partnership: the Canadian Journal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e and Research, Vol.7, No.1(2012), pp.1-17.

32.

Pinder, Chris. “Customers with disabilities: the academic library response." Library Review, Vol.54, No.8(June 2005), pp.464-471.

33.

Samson, Sue. “Best practices for serv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ference Services Review, Vol.39, No.2(February 2011), pp.260-27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