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전라북도교육청의 효과적인 독서교육 정책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단위학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연구이다. 주요 조사내용은 그동안의 독서교육 사업평가, 단위학교 독서교육 현황, 독서교육 정책개발의 고려요소이며, 전라북도교육청 소속 전체 학교의 31%에 해당하는 239개교 독서교육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와 효과성은 비교적 높고, 단위학교는 연간 4개 정도의 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초등학교의 독서교육 수준이 중․고등학교에 비해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향후 독서교육 정책수립시 고려해야 할 우선순위로는 사서교사와 같은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충원과 학교도서관 시설 및 장서와 같은 독서환경의 개선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현 독서교육 지원사업의 기조유지와 개선, 학교도서관 환경개선 사업의 지속추진, 초등학생 대상의 전문화된 정책개발, 독서교육 전문인력의 배치와 전문성 신장, 독서교육 정보의 공유체계 마련을 독서교육의 주요 정책방향으로 제안하였다.
This survey is performed to propose the direction of policy development on reading education for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To do this, this survey asked 239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ach school's reading education. The questionnaire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current support projects from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current level of schools' reading education and priorities of policy development. The finding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The teachers are contented with current support projects. Each school provides an average of 4 reading programs per year. Elementary schools' level of reading education is hig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s' level. And more employment of full time reading experts as teacher librarian and the improvement of school libraries are revealed to be more important priorities on the policy development of reading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d maintenance of current support projects, improvement of school libraries, development of specialized policies for elementary schools, enhancement of reading teachers' expertise and preparation of information sharing system as the direction of policy development.
교육부 홈페이지. “초․중등 독서 활성화 방안” <http://www.moe.go.kr> [인용 2013. 7. 20].
권은경. “독서 태도와 읽기 성취도 분석이 시사하는 학교도서관 독서 교육의 방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4(2012), pp.249-269.
김상호. “독서진흥정책으로서 서울국제도서전의 비판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1권, 제2호 (2007. 6), pp.277-289.
김수경. “다매체시대 어린이 독서운동과 공공도서관의 역할.”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No.1(2003), pp.261-286.
김수경. “독서의 본질과 독서 프로그램 운영.”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7, No.3(2006), pp.235-263.
김종성. “효과적인 독서교육 방향 정립을 위한 학생 독서실태 조사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인문과학논총 : 경성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제11권, 제2호(2006), pp.235-263.
김종성. “현단계 우리 학교도서관의 변화와 도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No.3(2003), pp.259-286.
법제처. 독서문화진흥법, 법률 제11690호(2013. 3. 26. 타법개정).
변우열.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讀書敎育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No.1(2003), pp.1-17.
안찬수. “「독서문화진흥법」과 독서문화 진흥의 방향.” 창비어린이, 제5권, 제3호(2007), pp.78-85.
안찬수. “정부․지방자치단체의 독서정책 현황과 발전 방향.” 도서관문화, 제53권, 제7호(2012), pp.14-16.
윤유라, 이제환. “일본의 독서교육에서 학교도서관의 의미 : 학생들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Vol.41, No.1(2010), pp.187-209.
이만수. “공공도서관에서의 독서운동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4, No.4(2003), pp.3-28.
이연옥. “학교 독서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7권, 제3호(2006. 9), pp.209-234.
이정연. “학교도서관과 정보활용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8, No.4(2007), pp.67-85.
전라북도교육청 홈페이지. “2012 독서․토론․논술 교육 활성화 종합 계획” <http://www.jbe.go.kr> [인용 2013. 7. 10].
전라북도교육청 홈페이지. “2013년 교육행정자료” <http://www.jbe.go.kr> [인용 2013. 7. 10].
최장헌. “독서문화진흥기본계획과 독서문화진흥정책.” 도서관문화, 제49권, 제6호(2008. 6), pp.4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