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과 의학도서관이 건강 및 의학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현황을 조사함으로써 도서관 서비스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관종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 사서는 즉답형 질문을 80% 이상 받는 반면에 의학도서관의 경우 몇 시간이 걸리거나 며칠이 걸리는 질문이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공도서관 사서는 이러한 질문에 답변함에 있어서 의학도서관 사서에 비해 시간이나 정보자원의 한계를 매우 높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용자가 건강/의학 관련 정보요구 시 주로 제공하는 자료서비스는 공공도서관의 경우 관련도서 대출이었고, 의학저널이나 참고정보원, 그리고 웹사이트 정보원을 이용하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의학도서관 사서의 경우 설문에 제시되는 모든 정보자원의 자료 유형을 거의 비슷한 비율로 골고루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도서관 사서와 의학도서관 사서에게 업무 수행을 할 때 도움이 될 건강/의학 관련 교육내용은 공공도서관 사서와 의학도서관 사서 모두 건강관련 이슈에 대한 정보를 높게 선호하였으나 의학도서관 사서가 전체적으로 높은 빈도로 전체 주제분야에 관심을 보인 반면, 공공도서관 사서는 식이 및 영양에 관한 정보나 운동이나 피트니스에 관한 정보, 금연에 관한 정보 등 비교적 웰빙과 관련이 있는 교육주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talize library service by examining how public and medical libraries provide health and medical information service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survey of the two library typ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re than 50% of the questions public librarians were termed "immediate answer" questions, while more than 80% of the questions medical librarians receive take up to a few days' time to answer. Public librarians were more likely to comment on the limitations of their expertise and information resources as compared to the medical librarians. Second, public librarians use mainly medical journals and websites for answering users’ requests. However, medical librarians used, in almost the same ratio, all types of information resources represented in the survey questions. Third, when asking about health/medical-related training contents for performing their tasks, public and medical librarians are highly interested in all information about all health-related issues. However, while medical librarians showed high interest in all subject areas, public librarians most preferred well-being related education topics such as Information on diet and nutrition, Information about exercise and fitness, and information on quitting smoking.
노동조, 김정아.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1권,제3호(2010), pp.45-56.
노영희.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45권, 제2호(2011), pp.415-437.
노영희, 오상희. “문헌분석을 통해서 도출한 공공도서관 소비자건강정보(CHI) 서비스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2권, 제1호(2011), pp.47-77.
노영희.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소비자건강정보(CHI)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성과측정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23권, 제4호(2012), pp.391-414.
노영희. “CHI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협력네트워크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제47권, 제2호(2013), pp.265-291.
송준용. “의학도서관 간 외국학술잡지 공동이용의 발전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3권, 제1호(2002), pp.283-314.
이란주. “공공도서관 의학정보사이트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5권, 제1호 (2001a), pp.229-248.
이란주. “공공도서관의학서비스를위한지식관리시스템설계에관한연구.” 정보관리학회지, 제18권, 제3호(2001b), pp.63-86.
이수상, 노지현. “도서관 R&D 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제29권, 제4호 (2012), pp.209-227.
조규용. “변화를통해서본의학도서관의미래: 의학사서의역할변화.” 圖書館文化, 제48권, 제5호 (2007), pp.46-51.
조찬식, 한혜영. “서울시의학도서관의웹페이지운영및관리에관한실태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제16권, 제1호(2005a), pp.133-151.
조찬식, 한혜영. “웹페이지를통한의학도서관의정보서비스실태조사.” 정보관리학회지, 제22권, 제 2호(2005b), pp.87-101.
홍기선. “소비자보건정보서비스의활성화방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제36권, 제2호(2005), pp.263-281.
Deering, Mary Jo and John Harris. “Consumer health information demand and delivery: implica tions for libraries.” 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Vol.84, No.2(1996), pp.2 09-216. http://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99417/pdf/mlab00375-0090.p df> [cited 2013. 10. 15].
Gillaspy, Mary L. “Starting a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 in a Public Library" Public Library Quarterly, Vol.18, No.3-4(2000), pp.5-19.
Hollander, Sue “Consumer Health Information Partnerships: the Health Science Library and Multitype Library System” 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Vol.84, No.2(1996), pp.247-52.
Martin, Elaine Russo and Don Lanier. “Networking Consumer Health Information: Bringing the Patient into the Medical Information Loop.” Bulletin of the Medical Library Association, Vol.84, No.2(1996), pp.240-246.
Smith, Kay Hogan. “Health InfoNet of Jefferson County: Collaboration in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Medical Reference Services Quarterly, Vol.20, No.3(2001), pp.13-21.
Snyder, Mary, Jeffrey T. Huber. and Deborah Wegmann. “Education for Consumer Health: A Train the Trainer Collaboration."Health Care on the Internet, Vol.6, No.4(2002), pp.49-62.
The Society of Chief Librarians. Launch of the Universal Offers. 2013. <http://www.islington.gov. uk/publicrecords/library/Leisure-and-culture/Information/Leaflets/2013-2014/(2013-10 -28)-Library-Universal-Offers.pdf> [cited 2013. 10. 15].
365홈케어 홈페이지. <https://www.365homecare.com/> [인용 2013. 10. 16.].
건강in 홈페이지. <http://hi.nhic.or.kr/> [인용 2013. 10. 16].
건강샘 홈페이지. <http://www.healthkorea.net/> [인용 2013. 10. 16].
닥터 홈페이지. <http://www.doctor.co.kr/> [인용 2013. 10. 16].
닥터코리아 홈페이지. <http://www.doctorkorea.com/> [인용 2013. 10. 16].
닥터크레지오 홈페이지. <http://www.drcrezio.co.kr/> [인용 2013. 10. 16].
매경헬스 홈페이지. <http://www.mkhealth.co.kr/> [인용 2013. 10. 16].
메드시티 홈페이지. <http://www.medcity.com/> [인용 2013. 10. 16].
비타민MD 홈페이지. <http://www.vitaminmd.co.kr/> [인용 2013. 10. 16].
조인스MSN 건강 홈페이지. <http://healthcare.joinsmsn.com/> [인용 2013. 10. 16].
코메디닷컴 홈페이지. <http://www.kormedi.com/default.aspx> [인용 2013. 10. 16].
하이닥 홈페이지. <http://www.hidoc.co.kr/> [인용 2013. 10. 16].
헬스 MBC 홈페이지. <http://www.healthmbc.com/> [인용 2013. 10. 16].
헬스조선 홈페이지. <http://health.chosun.com/> [인용 2013. 10. 16].
헬스포털코리아 홈페이지. <http://www.healthportal.net> [인용 2013. 10. 16].
eHospital Home page. <http://www.clinic.co.kr/> [cited 2013. 10. 16].
MedLine Plus Home page. <http://www.nlm.nih.gov/medlineplus/> [cited 2013. 10. 16].
PubMed Home page. <http://www.ncbi.nlm.nih.gov/pubmed> [cited 2013.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