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복합용도건축물 내 공공도서관 건립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in Mixed-Use Complex - 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Seoul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4, v.45 no.3, pp.395-414
https://doi.org/10.16981/kliss.45.3.201409.395
김영석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복합용도건축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건립하는 것이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인프라 확충 방안의 하나로 인식하였다. 서울에 있는 112개 모든 공립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의 복합화 여부를 현장방문과 전화문의를 통해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도서관의 약 50%에 해당하는 55개 도서관이 복합건축물형이다. 복합용도건축물 내에 공공도서관을 효율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의 규모, 위치, 공간구성에 대해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겠다. 그리고 필요하다면 더 많은 상업시설, 학교시설 그리고 관시설과의 복합화가 필요하겠다.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건축, 복합용도건축물, Public library, Public library building, Public library construction, Mixed-use complex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that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library within multi-use complex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expand infrastructure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A survey on the complexation rate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was made through on-the-spot visits and telephone interviews. It turned out that out of all 112 public libraries in Seoul, 55 of them are in multi complex buildings. In order to efficiently establish public libraries to multi-use complex, absolute consideration on the size, location, and space should be made. Moreover, if necessary, additional complexation with commercial facilities, schools, and local government buildings should be made.

keywords
공공도서관, 공공도서관 건축, 복합용도건축물, Public library, Public library building, Public library construction, Mixed-use complex

참고문헌

1.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http://www.libsta.go.kr/> [인용 2014. 8. 10].

2.

권홍택, 김진일. 1986. 공공도서관분관건축의적정규모계획에관한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대회 논문집, 6(2): 107-110.

3.

김영석. 2004. 변화하는 영국의 도서관. 도서관문화, 45(4): 50-51.

4.

김영석. 2008. 재건축아파트단지내작은도서관건립방안에관한연구.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9(2): 434-435.

5.

경기개발연구원. 2009. 복합용도개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복합용도단지 주거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수원: 동연구원, 2009-15.

6.

경기개발연구원. 2011. 지역공동체활성화를위한학교시설복합화방안. 수원: 동연구원, 2011-10.

7.

世田谷區敎育委員會事務局. 2005. 世田谷のとしょかん. 東京: 世田谷區敎育委員會事務局.

8.

신지연, 김유승. 2012.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277-297.

9.

예산절감, 행정서비스질높이는‘동사무소통폐합’. 2008. <http://blog.seoul.go.kr/322> [인용2014. 8. 10].

10.

원종준, 안건혁. 2010. 공공도서관입지및시설특성이이용활성화에미치는영향연구-서울시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大韓建築學會論文集計劃系, 26(2): 79-86.

11.

이원근, 김영하. 2008. 복합용도건축물의 실태에따른계획특성에관한연구. 大韓建築學會論文 集計劃系, 24(10): 175-184.

12.

이주현, 이현수. 2010. 맥락적 마케팅을 활용한 복합용도건축물의 계획 전략. 大韓建築學會論文 集計劃系, 26(2): 49-60.

13.

Forsyth, E. 2006. “Public Libraries in Shopping Centres: retail therapy or social inclusion?” Australian Public Libraries and Information Services, 19(2): 79-86.

14.

Kim, Young-Seok. 2006. “Opening Small Public Libraries in Quite Shopping Malls could boost Local Business in Goyang, Korea.” IFLA Conference Proceeding. 1-13.

15.

Morris, A. and Brown, A. 2004. “Siting of Public Libraries in Retail Centres: benefits and effects.” Library Management, 25(3): 127-137.

16.

Schwanke, D. et al. 2008. Mix-Use Development Handbook. 3rd Printing. Washington D.C.: Urban Land Institut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