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대학생 행복지수 제고를 위한 독서치료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Bibliotherapy to Enhance the Happiness of University Student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4, v.45 no.4, pp.391-408
https://doi.org/10.16981/kliss.45.4.201412.391
이승채 (전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새로운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계획한 후에 실시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1) 새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행복지수를 제고할 수 있었다. 세부적 요소별로 살펴보면 삶의 만족도 제고 측면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으며, 긍정적 감정 빈도의 제고는 비교적 힘든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감정 빈도의 감소 효과가 가장 확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행복지수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에 대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의 영향은 상황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3) 종교 및 영성 자료에 대한 반응은 사람마다 편차가 상대적으로 크다.

keywords
행복지수, 독서치료, 행복한 호주 만들기, 자기개발서, 치유서, Happiness index, Bibliotherapy, Self help book, Making australia happ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new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happiness index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we can raise the happiness index through the new bibliotherapy program. More specifically, we can reduce negative emotions to a great extent, and raising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life is effective. But increasing positive emotions is not easy. Secondly, Effect of bibliotherapy program on the factors of Happiness is different by various situations. Thirdly, reaction of participants of bibliotherapy program to religeous and spiritual media is different.

keywords
행복지수, 독서치료, 행복한 호주 만들기, 자기개발서, 치유서, Happiness index, Bibliotherapy, Self help book, Making australia happy

참고문헌

1.

권창희 외. 2013. 행복지수 진단평가. 파주: 한국학술정보.

2.

김소연. 2014. 한겨레뉴스 OECD “한국 노인 빈곤율 줄여야”. 6월 17일 <http://www.hani.co.kr /arti/economy/economy_general/642890.html>[인용2014. 11.19].

3.

김수경. 2008. 대학생을 위한 독서치료의 적용과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213-245.

4.

김용수. 2012. 독서치료를 활용한 사회통합인성프로그램이 장애·비장애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1-23.

5.

김종희, 강정구. 2010.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독서교육론.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4(1): 271-291.

6.

김현희 등. 2010. 상호작용을 통한 독서치료. 서울 : 학지사,

7.

안동준. 2011. 우리나라 대학생, 행복 점수 낙제점, 스트레스 지수 70점‥취업준비, 생활비 걱정탓. 人데일리 홈페이지 <http://www.indaily.co.kr/client/news/newsView.asp?nIdx=3318&nBcate=F1005&nMcate=M1001> [인용 2014. 11. 20].

8.

이계윤, 송현종. 2013. 대학생들의 운동참여가 심리적 안녕감, 대학생활만족, 행복지수에 미치는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2(2): 95-105.

9.

이승채. 2013. 독서치료를 통한 행복지수 제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287-308.

10.

이연옥. 2009. 역기능 가정 자녀를 위한 독서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1): 405-431.

11.

이해일 외. 2011. 서울시 아파트 가구내의 식내식물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화훼연구, 19(1): 64-67.

12.

이희정, 박옥화. 2001. 독서요법이 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정립에 미치는 효과.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3): 331-351.

13.

조성림, 김은정. 2010. 비만교실 참가가 중년여성의 신체조성과 웰니스 및 행복지수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19(2): 253-263.

14.

중앙일보 홈페이지 <http://article.joins.com/news/article/article.asp?total_id=4391292> [인용 2014. 11. 20].

15.

연합뉴스홈페이지 <http://www.yonhapnews.co.kr/society/2014/11/04/0705000000AKR2 0141104076900017.HTML> [2014. 11. 4].

16.

ABC Home page <http://www.abc.net.au/tv/programs/making-australia-happy/> [cited 2014. 12. 5].

17.

APS(Australian Psychological Society) Homepage <http://www.psychology.org.au/publi cations/inpsych/2011/april/grant/?> [cited 2014. 12. 3].

18.

Brooks, Jeremy S. 2013. “Avoiding the Limits to Growth: Gross National Happiness in Bhutan as a Mode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ustainability 5, no. 9: 3640- 3664. <http://www.mdpi.com/2071-1050/5/9/3640> [2014. 12. 5].

19.

Grant, Anthony M, Alison Leigh. 2013. 행복은 어디에서 오는가?. 정지현 역. 서울: 비즈니스북스.

20.

Guzman, Allan et. al. 2012. For your Eyes Only: A Q-Methodology on the Ontology of Happiness Among Chronically Ill Filipino Elderly in a Penal Institutio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3(5): 913-930. <http://web.a.ebscohost.com/ehost/pdfvi ewer/pdfviewer?sid=245e63e4-e62f-4f74-a37d-2c46d56bda88%40session mgr4004&vid=1&hid=4109> [cited 2014. 12. 5].

21.

Happy Planet index Home page <http://www.happyplanetindex.org/about/> [cited 2014. 12. 5].

22.

J River Media Center Home page <http://thetvdb.com/?tab=seasonall&id=220111&lid=7> [cited 2014. 12. 5].

23.

The Korea Herald Home page <http://khnews.kheraldm.com/view.php?ud=2014012100 0711&md=20140124004749_BL&kr=1> [cited 2014. 12. 3].

24.

Parks, Acacia C. and Rebecca K. Szanto. 2013. “Assessing the efficacy and effectivenes s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self-help book” TERAPIA PSICOLOGICA 31 (1): 141-148. <https://apps.webofknowledge.com/full_record.do?product=UA& search_mode=GeneralSearch&qid=1&SID=Q1h2Iihf849zSppSj6E&page=1&doc =1> [cited 2014. 12. 5].

25.

Pehrsson, Dale-Elizabeth, Paula McMillen, 2007. “Bibliotherapy: Overview and Implicati ons for Counselors”, <http://counselingoutfitters.com/vistas/ACAPCD/ACAPCD -02.pdf> [cited 2013. 8. 10].

26.

Powell, Ronald R. 1996. 문헌정보학의 연구방법론. 홍현진 역. 서울: 구미무역.

27.

Volke, Stephan. 2006. 행복지수를 높여라. 심원진 옮김. 서울: 도솔출판사.

28.

Wangmo, T. 2010. “An analysi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dicators of GNH through a buddhist perspective” (Order No. MR87611).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A&I. <http://search.proquest.com/docview/1027052057?accountid=15635> [cited 2014. 12. 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