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서비스 품질은 특정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주관적 의미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개별 기대수준에 따라만족과 불만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도서관 서비스도 결국은 이용자의 기댓값에따라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평가도 좌우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고양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만족도 조사이다. 만족도의 조사 결과, 고양시민들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만족의 선호순위는 1) 시설, 2) 문화프로그램및 강좌, 3) 사서친절도, 4) 소장자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선호순위의 내재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1) 도서관공간에 기대수준, 2) 도서관 사서에 대한 기대수준, 3) 이용자가 새롭게 희망하는 서비스, 4) 도서관에서 희망하는강좌 등을 연령별,직 업별 로 분석하였다. 전통적인 도서관 이용법에 대한 요구는 연령이 높아지면서 나타났다. 또한외부 강사활용과 같은 도서관외부자원을 활용한 서비스는 취업이나 예술강좌 등이었으며, 도서관 내 자원을 활용하는독서강좌 등에 대한 이용자 기댓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Quality of the library service, because it is based on the subjective meaning of the user for a particular servic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expectation level, can be divided between satisfaction and dissatisfaction. Therefore, library services that are performed in public libraries also ultimately assessment of library services may influence based on the expected value of the user. This study is a satisfaction survey of library services to the public library of Goyang. Overall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y of Goyang in this study are in the following orders: 1) facility, 2) cultural programs and courses, 3) librarian kindness, 4) collections. To understand the specific meaning of each preference, it was analyzed in the followings: 1) the expectation level to the library space, 2) expectation level to librarians, 3) new service the users desire, 4) service the users want, etc. by age and occupation. As the age of the user increases, the demand for traditional library usage increased. In addition, services that utilize the same library external resources and utilization of external lecturer is like finding employment and art courses, expectation level of users such as reading course to utilize library resources was the highest.
김선애. 2006. 공공도서관 서비스 고객만족도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7(3): 193-208.
노건창. 2010. 고객 기대-지각의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고객만족 및 향후 기대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박재용. 2010. 정보이용자의 사서 인식에 대한 실태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 27(3): 189-206.
오동근. 2013.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공공도서관용의 개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4): 335-361.
이경란. 2013. 공공도서관 이용조사를 통한 경영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4(2):5-30.
이정호. 2012. 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 요인 구조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3(1): 215-234.
임동빈. 1996.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사서인식도에 관한 연구. 도서관학논집 , 24: 275-300.
차성종. 2011.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28(1):285-308.
표순희, 고영만, 심원식. 2011. 공공도서관 이용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2(2): 323-341.
Martensen, A. L. Gronholdt. 2003. “Improving Library Users' Perceived Quality, Satisfaction and Loyalty: An Integrated Measurement and Management System.”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9(3): 140-147.
Oliver, R. L. 1993. “Cognitive, Affective, and Attribute Base of the Satisfaction Respons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3): 418-430.
Teas, R. K. 1993. “Expectations,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nsumers' Perceptions of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57(4): 1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