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온톨로지 모델링에서 패싯 분석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Facet Analysis for Ontology Modeling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5, v.46 no.2, pp.257-287
https://doi.org/10.16981/kliss.46.2.201506.257
박희진 (한성대학교)
오삼균 (성균관대학교)
이명호 (상명대학교)
김성훈 (성균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 methodology for using facet analysis in ontology modeling and investigates how facet analysis could be utilized in ontology design processes. We applied facet analysis methods developed by Ranganathan and CRG (Classification Research Group) to modeling Smartphone ontology. Utilizing the guiding principles of Ranganathan and CRG, main facets, such as Type, Spec, Function, Operation, Product, Person, Agent, Space and Time, are derived for Smartphone ontology. It is hoped that the methods and procedures employed in identifying and categorizing facets and ontology in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s into designing future ontologies.

keywords
온톨로지, 패싯 분류, 패싯 분석, 스마트폰, 온톨로지 모델링, Ontology, Facet Classification, Facet Analysis, Smartphone, Ontology modeling

참고문헌

1.

강문구. 2013. 영어교육의 교수방법 지식지도 서비스를 위한 온톨로지 모델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13(11): 502-509.

2.

김민철. 2005. 차세대 웹에서 온톨로지 기술을 통한 지식체계 적용. 기술혁신학회지 , 8(2):605-622.

3.

김수경, 안기홍. 2008. 시맨틱 웹 응용을 위한 웹 온톨로지 구축기법. 정보처리학회논문지 , 15(1): 47-60.

4.

김연호, 양정진. 2008. 유비쿼터스 지능공간을 위한 온톨로지 모델링과 추론.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논문발표집 , 35(1): 336-339.

5.

김창복. 2011. u-헬스케어 영역에서 개선된 권한제어 모델을 이용한 상황 온톨로지 모델링에 관한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9(3): 107-118.

6.

김원중, 양재동. 2007. 시각화된 환경에서 다차원 관점을 지원하는 객체기반 패싯 시소러스 관리시스템 모델의 정형화 및 구현. 소프트웨어 및 응용 , 34(9): 828-847.

7.

김태수. 2005. 분류의 이해 . 서울: 문헌정보처리연구회.

8.

박옥남, 오삼균, 김세영. 2009. 문화예술교육 패싯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3(3): 197-219.

9.

박정훈, 이현창, 김주리. 2013. Linked Data 기반 기록물의 온톨로지 모델링.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 1(1): 75-82.

10.

오경진, 윤의녕, 조근식. 2014. 온톨로지 기반의 수강지도 시스템. 지능정보연구 , 20(2):149-162.

11.

이현실. 2004. 온톨로지를 이용한 의학용어의 개념 모델링 사례 분석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21(3): 141-160.

12.

이현자, 심준호. 2005. Description Logic을 이용한 전자카타로그 온톨로지 모델링. 데이타베이스 , 32(2): 111-119.

13.

심지영. 2014. 패싯분석 기법을 적용한 방송자료의 내용 구조화에 관한 연구: 시사보도 뉴스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정보관리학회지 , 31(3): 313-329.

14.

유영준. 2004. 패싯 분석을 이용한 웹 자원의 조직.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15(1): 23-41.

15.

유영준. 2008. 신학 용어 분류를 위한 패싯 설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2(3):259-279.

16.

이승민. 2010. 시소러스 통합을 위한 개념기반 패싯 프레임워크 구축.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1(3): 269-290.

17.

정연경. 2013. 한식 정보 조직을 위한 패싯 구조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1):15-37.

18.

하병현, 김홍기, 이재일, 김명기, 강석호. 2003. 재사용 가능한 병리 온톨로지 구축을 위한 지식 모델링 시스템 개발.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논문발표집 , 30(2): 64-66.

19.

Borst, P., & Akkermans, H. 1997. “Engineering ontologi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Computer Studies, 46: 365-406.

20.

Classification Research Group. 1956. “The Classification Research Group, London.” Classification Research Group Bulletin, 1(1).

21.

Gopinath, M. 1985. “Postulational Approach to Analytico-synthetic Classification.”Library Science with a Slant to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22(4):205-229.

22.

Gruber, T.R. 1993. “A Translation Approach to Portable Ontology Specification.”Knowledge Acquisition, 5: 199-220.

23.

Hjorland, B. 2013. “Facet Analysis: the Logical Approach to Knowledge Organization.”Information Processing and Management, 49: 545-557.

24.

Maple, A. 1995. Faceted Acc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http://www.musiclibraryassoc.org/BCC/BCC-Historical/BCC95/95WGFAM2.html> [cited 2015. 6. 12].

25.

Neelameghan, A. 1997. “S. R. Ranganthan's General Theory of Knowledge Classification in Designing, Indexing, and Retrieving from Specialized Databases.” Library Science with a Slant to Documentation and Information Studies, 34(1): 3 53. –

26.

Noy, N., & McGuinness, D. 2001. Ontology Development 101: A Guide to Creating Your First Ontology. <http://www.ksl.stanford.edu/people/dlm/papers/ontology-tutorial-noy-mcguinness-abstract.html> [cited 2015. 6. 12].

27.

Prieto-Díaz, R. 2003. “A Faceted Approach to Building Ontologies.” Information Reuse and Integration, 458-465.

28.

Ranganathan, S. R. 1937. Prolegomena to Library Classification. Madras/London: Madras Library Association/E. Goldston.

29.

Rosati, L., Gnoli, C., & Lai, M. 2005. Faceted classification for community Services Using CRG Standard Categories. <http://bd.ub.edu/isko2005/rosati.pdf> [cited 2015. 6. 12].

30.

Spiteri, L. 1998. “A Simplified Model for Facet Analysis.” Canadian Journal of Information and Library Science, 23: 1-30. <http://iainstitute.org/pg/a_simplified _model_for_facet_analysis.php> [cited 2015. 6. 12].

31.

Spiteri, L. 1999. “The Essential Elements of Faceted Thesauri.” Cataloging &Classification Quarterly, 28(4): 31-52.

32.

Teller, J. 2007. “Ontologies for an Improved Communication in Urban Development Projects.” Ontologies for Urban Development, 1-14.

33.

Wikipedia N.A.. Smartphone. <http://en.wikipedia.org/wiki/Smartphone> [cited 2015. 6. 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