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육과정 적용 및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Application and Improvement based on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NCS)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5, v.46 no.3, pp.141-169
https://doi.org/10.16981/kliss.46.3.201509.141
권선영 (성균관대학교)
백지원 (숭의여자대학교 문헌정보과)
차성종 (숭의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지역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역량중심 인재양성과 학생들의 학습의 질 향상 등 글로벌화에 따른 대ㆍ내외환경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고등전문직업인 양성을 위한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개선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교육과정을 운영한 후 사전/사후, 진단평가를 통해 교육성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NCS를 적용한 교과목은 교육성과가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육성과와 운영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전공 교과목의 NCS 적용에 있어향후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도서관 및 관련 업체의 이해관계자나 근로자, 교육기관 및 훈련 기관 관계자및 학생, 또 자격심사 관련자들이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또 수정 보완할 사안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을받아 차후 더욱 개선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keywords
국가직무능력표준,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NCS 적용 효과, 교육과정 개선, National Competence Standard), LIS Curriculum, Effectiveness of NCS, Curriculum improvem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 to raise the higher professional staffs that can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globalization and local industry demand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and to accept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e conducted with the measurement of Educational performance by pre/post, 3 dignosis test. As a result, There were improvements in Educational Performance. Based upon Educational performance and analysis, several new directions for NCS education in the filed of LIS curriculum are suggested. We hope from this study that an application of NCS would be activated fully in Library, educational institutes and qualifying examination institutes and that diverse feedbacks from related parties would make a lead to a better updated version of NCS development in library.

keywords
국가직무능력표준, 문헌정보학 교육과정, NCS 적용 효과, 교육과정 개선, National Competence Standard), LIS Curriculum, Effectiveness of NCS, Curriculum improvement

참고문헌

1.

고용노동부. 2014. 문헌정보 국가직무능력표준 표준 및 활용 패키지 . <http://www.ncs.go.kr/ncs/page.do?sk=P1A2_PG01_002&mk=MU00000099&uk=MU00000067>. [인용 2015. 5. 15].

2.

고용노동부. 2015. 2015 NCS 기반 능력 중심 채용 가이드북 . <https://www.ncs.go.kr/ncs/page.do?sk=P1A4_PG09_002>. [인용 2015. 7. 20].

3.

고용노동부. 2015. NCS 개발 가이드북. <http://www.ncs.go.kr/ncs/page.do?sk=P1A4_PG09_002#undefined>. [인용 2015. 7. 20].

4.

교육과학기술부. 2015.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개발, 운영 및 평가, 질관리 . 세종: 교육과학기술부.

5.

국립중앙도서관. 2007. 직무분석을 통한 전문사서제도 개발 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6.

김기용, 길대환, 석영미, 조성웅. 2014.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사례조사 . 울산: 직무능력표준원.

7.

김동연, 김진수. 2013. 한국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 13(3): 22-44.

8.

김영규. 2015. 관광분야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 30(2):81-95.

9.

김종성. 2006. 사서교사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내용과 교육의 전략적 강조점에 관한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17(1): 135-159.

10.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2(4): 5-29.

11.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2.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6(2): 55-82.

12.

백정희, 김규섭, 이재근. 2012. 국가직무능력표준을 활용한 조경분야 자격종목 재설계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 40(5): 129-139.

13.

백종면, 박양근. 2012.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촉진 방안 연구.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 45-62.

14.

변경숙, 조영대, 김창섭. 2012. 조리 관련학과 교과과정 개설현황 및 외식호텔조리산업계열 2012교육과정 개발. 관광연구 , 27(4): 271-296.

15.

안인자, 노영희, 이종문, 오세훈. 2014. 사서직 취업률 향상을 위한 정책방향에 대한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27-52.

16.

양혜련, 유지선. 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개발기법을 활용한 S여대 비서과의 교육과정 개발. 한국여성교양학회지, 22: 62-95.

17.

이재원, 윤석천. 2009. 반도체 산업의 국가직무능력표준에 기반한 훈련수요 분석. 한국산업기술학회논문지 , 12(11): 5178-5187.

18.

장봉기, 양해술. 2011. 국가직업능력표준을 활용한 기술분야 교육과정이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기술학회논문지 , 12(1): 5420-5429.

19.

정향진. 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도입에 따른 실행과제 및 추진전략. THE HRD REVIEW , 16(3): 7-24.

20.

주인중, 조정윤, 임경범. 2010.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사업의 현안 및 정책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최영오, 최재원, 이호영, 권오현 . 2013.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대응하는 전문대학 건축과의산업체 맞춤형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15(3): 1-8.

22.

한주리. 2011. 출판학과의 커리큘럼 현황 및 발전 방향 연구: 국가직무능력표준(NCS)과의 비교및 출판종사자의 업무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 37(1): 123-155.

23.

Bishop, Bradley Wade, Adrienne W. Cadle, and Tony H. Grubesic. 2015. “Job Analyses of Emerging Information Professions: A Survey Validation of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s Map and Geospatial Information Round Table (MAGIRT)Core Competencies to Inform Geographic Information Librarianship (GIL)Curriculum.” Library Quarterly, 85(1): 64-84.

24.

Bloom, Benjamin. S. 1968. “Learning for Mastery. Instruction and Curriculum. Regional Education Laboratory for the Carolinas and Virginia.” Topical Papers and Reprints, Number 1. Evaluation comment, 1(2).

25.

Bloom, Benjamin. S. 1976. Learning for mastery. UCLA Rvaluation Com.

26.

Bronstein, Jenny. 2015. “An Exploration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fessional Skills and Personal Competencies: An Israeli Perspective.”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7(2): 130–138.

27.

Coleman, James. S., et al. 196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8.

Dewald, Nancy H. 2015.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grams: A Library Perspective.”Public Services Quarterly, 11(2): 151-16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