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의 학교도서관 기준은 학생이 학교도서관을 통해 유익하고 즐거운 경험을 하도록 역할을 수행할 것을 제시하고있다. 이 연구는 칙센트미하이의 플로우 이론을 학교도서관 이용상황에 적용하여 학생의 플로우 경험이 학교도서관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이용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플로우를 매개변수로, 그리고 플로우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교도서관 이용기술, 학교도서관 이용에 대한 도전의욕, 학교도서관 이용형태, 학생의 학습유형을선정하여 이들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전국 29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변수의 전반적인 인과관계는 학교도서관 이용기술이 이용유형에영향을 미치고, 이용유형은 학생의 학습유형에, 그리고 학생의 학습유형은 플로우를 거쳐 학교도서관 이용만족도에 영향을미치는 구조로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학교도서관의 이용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의 플로우 경험을 확대하고, 도서관 이용기술의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그 방안을 사서교사의 구체적 역할과 관련지어 제시하였다.
The domestic and foreign standards of school libraries suggest that school library should be run to give useful and pleasant experiences to students. This study applies Csikszentmihalyi’s ‘flow theo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their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ies use. The variables selected in this study are students’ satisfaction, flow experience, library skill, challenge of library use, types of library use and students’ learning styles. The research model is designed by using these 6 variables in this study. The data are collected from 293 students and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entire casual relationships show that library skills influence in types of library use, types of library use affect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students’ learning styles influence in satisfaction through flow.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about school library use, this study proposes effective ways related to teacher librarians’ role performances to expand students’ flow experience and increase their library skills.
김계수. 2007. AMOS 16.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 서울 : 한나래.
김병철, 최수호. 2002. 플우(Flow) 경험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사연구 , 3(2): 17-45.
손준상. 2006. 인터넷게임에서 감정반응이 플로우(flow)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연구. 마케팅관리연구 , 11(1): 1-19.
유상진, 최은빈, 김효정. 2006. 모바일 인터넷 특성이 플로우 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지 , 8(1): 125-139.
윤설민, 정희진. 2012. 플로우 경험의 구성요소, 만족도, 그리고 행동의도 간 구조적 관계 - 템플스테이 방문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 25(6): 227-246.
이병기. 2010. 초․중등 학생의 독서 플로우 성향과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1(4): 51-72.
이병기. 2011.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독서 플로우의 유형 분류와 검사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2(1): 29-49.
장필식. 2012. 컴퓨터 이러닝에서 학습만족도와 자기주도성, 플로우(Flow)경험 간의 관계.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17(1): 69-76.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AASL. 2009. Empowering learners: Guidelines for School Library Programs. Chicago: AASL.
Csikszentmihalyi, M. 1975a. “Play and Intrinsic Reward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15(3): 41-63.
Csikszentmihalyi, M. 1975b. Beyond boredom and anxiety: The Experience of Play in Work and Gam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Csikszentmihalyi, M. and Csikszentmihalyi, I. S. 1988.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Harper and Row.
Csikszentmihalyi, M. 1993. The Evolving Self: A Psychology for the Third Millennium. New York: HarperCollins.
Csikszentmihalyi, M. and Rathude, K. 1993. “The measurement of flow in everyday life: Toward a theory of emergent motivation,”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Motivation, Lincoln: Th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New York: Basic Books.
IFLA. 2015. The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http://www.ifla.org/files/assets/school-libraries-resource-centers/publications/ifla_school_library_guidelines_draft.pdf> [cited 2015.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