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 연구

The Contribution Strategy of Public Library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5, v.46 no.4, pp.1-20
https://doi.org/10.16981/kliss.46.4.201512.1
윤희윤 (대구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문화기반시설인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발전 기여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이, 를 위하여 먼저 공공도서관이 수행하는 업무와 지역문화발전의 상의적 수수관계를 바탕으로 기여도를 평가하고 한계를 적시하였다.이 어공공도서관과 밀접한 지역문화를 지식문화, 독서문화, 학습문화, 대중문화, 여가문화로 구분하고 이들의 발전과 진흥을위한 공공도서관의 기여전략(장서개발과 이용서비스 중심의 핵심역량 제고, 디지털 정보해득력 교육・지원기능 강화, 독서생활화를 위한 독서촉진과 저변확대, 평생학습(문화)프로그램 제공서비스의 최적화, 시설·공간의 개방화 및 친숙성 증대, 지역 유관기관과의 연계·협력사업 확대)을 제안하였다

keywords
Public library, Cultural infrastructure, Local cultur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공공도서관, 문화기반시설, 지역문화, 지역문화발전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ntribution strategies of public library as cultural infrastructure to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Korea. For this goal, researcher evaluated how public libraries contribute to the local cultural development in terms of interdependence of public library and local culture. Then, the researcher divided into the local culture to knowledge culture, reading culture, learning culture, living culture, and leisure culture, and suggested six contribution strategies(improving core competencies including the collection development and user service, strengthening education and support for digital information literacy, reading promotion and base expansion for everyday life, optimization of lifelong learning & culture program services, increasing openness and friendliness of the facilities and space, expansion of cooperation with relevant agencies) of public library for their development and promotion.

keywords
Public library, Cultural infrastructure, Local culture, Development of local culture, 공공도서관, 문화기반시설, 지역문화, 지역문화발전

참고문헌

1.

노영희, 강정아. 2014. 공공도서관에서의 향토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5(4): 67-93.

2.

윤희윤. 2014. 서울시 공공도서관 자료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5(1):5-25.

3.

장덕현. 2014.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8(4): 173-192.

4.

장우권. 2009.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지역의 농어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3(1): 271-292.

5.

Horton, Forest Woody Jr. 2007. Understanding Information Literacy: A Primer. Paris:UNESCO.

6.

Koontz, Christie & Barbara Gubbin, eds. 2011. IFLA Public Library Service Guidelines, 2nd ed. The Hague: IFLA.

7.

Tylor, E.B. 1871.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Art, and Custom. New York: Gordon Press. <https://en.wikipedia.org/wiki/Culture> [cited on 2015. 8. 10].

8.

UNESCO. 2007. Universal Declaration on Cultural Diversity. Retrieved(Oct. 14). <http://portal.unesco.org/en/ev.php-URL_ID=13179&URL_DO=DO_TOPIC&URL_SECTION=201.html> [cited on 2015. 7. 2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