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Study on the Status Of Korean Literature House: Larchiveum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5, v.46 no.4, pp.139-159
https://doi.org/10.16981/kliss.46.4.201512.139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With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ccumulation of digital resources, the demand on collaboration among libraries, museums and repositories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Korean literature houses as an example of larchiveum. This study explored data management, exhibits and programs of Korean literature house.

keywords
한국 문학관, 라키비움(Larchiveum), 복합공간, 도서관, 박물관, 기록관, 기능적 측면, Korean literature houses, Larchiveum, Library, Museum, Archives, Functional aspect

Reference

1.

국립중앙도서관. 2009. IFLA 전문보고서 공공도서관 박물관 기록관의 협력 동향②. 도서관연구소 웹진 , 32: 1-24.

2.

김원일. 2004. 지방문화의 구심점으로서의 문학관. 문학관협회 실무자 워크숍 . 2004년 11월 26일. 원주: 한국문학관협회. <http://www.munhakwan.com/munhak/munhak.asp?tblName=munhak Best&curMenu=5&curPage=5&keyType=&keyWord=> [인용 2015. 11. 17].

3.

김익한. 2011. 대통령기록관이 추구해야할 그랜드디자인. 대통령기록관 발전방안 세미나 . 2011년 6월 15일.세 종: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4.

김종우. 2014. 복합문화공간으로의 문학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문학관을 중심으로. 문화정책논총 , 28(1): 253-277.

5.

박성진. 2008. 근대 공문서 소장 현황과 협력 과제 : 박물관·기록관·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8(2): 75-88.

6.

박재용, 조윤희. 2004. 도서관/박물관 협력체제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8(2): 315-333.

7.

배성중, 배삼열, 김용. 2014. 소규모대학교에서의 라키비움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14(4): 63-97.

8.

서혜란. 2005. 기록유산의 보존과 활용을 위한 도서관과 기록관의 협력.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16(2): 25-41.

9.

오정훈, 이응봉. 2014. 전문도서관 라키비움 구축에 관한 연구: 원자력 라키비움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 25(2): 229-246.

10.

오창은. 2013. 국립 근대문학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국립 근대문학관의 ‘의미구성’과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어문논집 , 56: 327-351.

11.

조윤희. 2008. 정보자원 공유를 위한 문화유산기관 협력 방안.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19(2):5-21.

12.

최영실.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기능 융합에 의거한 라키비움 공간 기획 연구 .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정보대학원.

13.

최영실, 이해영. 2012. 기록관, 도서관, 박물관의 복합 기능을 구현한 라키비움의 공간 기능에 관한연구. 문화산업연구 , 12(2): 53-80.

14.

최재희. 2008. 국가차원의 문화유산기관 협력체 구성사례 및 시사점.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8(2): 61-74.

15.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4. 국립근대문학관 조성 타당성 조사 연구 .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6.

황정인. 2013. (10) 영국도서관(The British Library)의 디지털 아카이브 컬렉션. ArtMuseum , 173. <http://www.artmuseums.kr/admin/?corea=sub2_12> [인용 2015. 12. 5].

17.

황진현, 임진희. 2012. 국가차원의 문화유산기관 협력체 구성사례 및 시사점. 기록학연구 , 33:155-206.

18.

한국문학관협회 <http://www.munhakwan.com> [인용 2015. 11. 16].

19.

Given, L. M. and McTavish, L. 2010. “What’s Old Is New Again: The Reconvergence of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 in the Digital Age”. The Library Quarterly:Information, Community, Policy, 80(1): 7-32.

20.

Marcum, Deanna. 2014. “Archives, Libraries, Museums: Coming Back Together”. Information & Culture, 49(1): 74-89.

21.

Rayward, W. B. 1998. Electronic Information and the Functional Integration of Libraries, Museums, and Archives. In E. Higgs (Ed.), History and Electronic Artefacts (pp. 207-226). Oxford: Clarendon Press.

22.

Yarrow, A., Clubb, B., and Draper, J. L. 2008. Public Libraries, Archives and Museums:Trends in Collaboration and Cooperation. IFLA Professional Reports No. 108.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