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2466-2542
  • KCI

코워킹 스페이스로서의 공공도서관 무한창조공간 개념 분석

A Concept Analysis on Creative Zone in Public Libraries as Co-working Spac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5, v.46 no.4, pp.245-269
https://doi.org/10.16981/kliss.46.4.201512.245
홍소람 (전남대학교)
박성우 (광주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창조에 대한 국가적 관심으로 인해 대두된 도서관의 무한창조공간 개념이 현행보다 더욱 확장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도서관의 무한창조공간 개념을 Rombach의 '공(共)-창조적 구조존재론'을 바탕으로 해석하였다. 현행의 창조의 개념은 창조자와 대상물을 주체-객체의 단선적 관계로 봄으로써 모든 존재자가 주체로서 갖게 되는 '자가생성(Autogenese)'의 가능성을 희석시킨다. 그러나 '공-창조적 구조'는 모든 존재자들의 상호소통과 공유를 통한 자가생성의 과정을 설명한다. 공-창조적 구조의 형성 과정은 공유와 소통을 통한 자기성장을 지원하는 도서관의 이념과 상통한다. 공-창조성의 정신을 반영시키는 실체적 상으로는 현행의 '메이커스페이스'보다 '코워킹 스페이스'가 더욱 적합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 무한창조공간과 코워킹 스페이스의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념적 모델링과 실체적 모델링을 제시하였다.

keywords
Creative zone, Co-working space, Makerspace, Library space, Infinite imagination room, 무한창조공간, 코워킹 스페이스, 메이커스페이스, 도서관 공간, 무한상상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creative zone raised by the national interest of the 'Creation' should be extended in public libraries. The concept of creative zone in public libraries was analyzed on the basis of 'Con-creative structure ontology' by Rombach. As we understand a creator and creation as the relation of 'subject'-'object', The current concept of 'Creation' dilutes the possibility of 'Autogenese' that all beings as a subject possess. But 'Con-creative Structure' describes the process of 'Autogenese' through sharing and mutual communication of all beings. The formation process of Con-creative Structure corresponds to the philosophy of the library that supports the self-growth through communication and sharing. 'Co-working Space' is more suitable for the substantive image of Con-creativity than 'Makerspa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circumstances of creative zone in public libraries and Co-working Space in business areas and provided the conceptive and substantive modeling for Co-working Space in public libraries.

keywords
Creative zone, Co-working space, Makerspace, Library space, Infinite imagination room, 무한창조공간, 코워킹 스페이스, 메이커스페이스, 도서관 공간, 무한상상실

참고문헌

1.

김세영. 2013. 사용자 중심의 공공성 실현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공간 계획 및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22(3): 52-60

2.

김영환 . 2015. 창업지원 코워킹스페이스 현황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 과제. STEPI Insight , 164: 1-35.

3.

노영희, 강정아, 정은지. 2015. 공공도서관 무한창조공간 프로그램과 창의성간의 관계에 대한 평가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6(2): 71-111.

4.

노영희. 2014. 도서관 무한창조공간 구축 및 운영모형 제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31(1): 53-76.

5.

무한상상실 홈페이지. <http://www.ideaall.net> [인용 2015. 8. 15].

6.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무한상상실 매뉴얼 .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7.

박성우. 2015. 공공도서관 다문화서비스를 위한 상호문화 관점의 수용.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9(3): 371-392.

8.

안인자, 최상기, 노영희. 2014.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개념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31(2): 143-171

9.

이상헌. 2008. 공공영역과 공공디자인 - 공공영역과 공공건축, 공공디자인. 건축과 사회 , 11:57-65.

10.

이한재. 2014. 한국형 코워킹 스페이스 실내건축에 관한 연구. 2014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 2014년 11월 21일. 서울: 한국과학기술회관, 54-55.

11.

전동진. 2007. 구조존재론 - 인간과 자연의 공창조성의 철학 -. 하이데거연구 , 15: 439-470.

12.

정준민, 박성우. 2004. 정보의 유비쿼터스적 해석을 통한 도서관 본질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 21(4): 265-279.

13.

한국과학창의재단. 2014. 국내외 메이커 운동 사례조사 및 국내 메이커 문화 활성화 방안 정책연구 . 서울: 동연구원, 2014-정책연구과제.

14.

Aabo, Svanhild. and Ragnar Audunson. 2012. “Use of Library Space and the Library as Plac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 138-149.

15.

Bilandzic, Mark and Marcus Foth. 2013. “Libraries as Co-working Spaces: Understanding User Motivations and Perceived Barriers to Social Learning.” Library Hi Tech, 31(2): 254-273.

16.

Cohen, A. M. 2011. “Four Scenarios for Co-working: Sharing Workspace Offers Potential Benefits in an Uncertain Economy.” The Futurist, 45(4): 8-10.

17.

Colegrove, T. 2013. “Editorial Board Thoughts: Libraries as Makerspace?.” Information Technology & Library, 32(1): 2-5.

18.

EZ Spaces Homepage. <http://www.ezspaces.com/about.php> [cited 2015. 8. 22].

19.

Graves, C. 2014. “What is a Makerspace?.” Knowledge Quest, 42(4): 8-13.

20.

IFLA. 1994. 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http://www.ifla.org/publications/iflaunesco-public-library-manifesto-1994> [cited 2015. 8. 18].

21.

Impact Hub Oakland - About Us. <http://oakland.impacthub.net/coworking-space-oakl and-our-story-2/> [cited 2015. 8. 22].

22.

Kelly, A. 2013. “Why Do We Need One of Those?: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y in Creating and Promoting Makerspaces.” In: ALIA National Library & Information Technicians' Symposium 2013 waves of change. pp.1-13.

23.

Rombach, Heinrich. 2004. 살아있는 구조 . 전동진 옮김. 서울: 서광사.

24.

Symmetry50 - about. <http://www.symmetry50.com/about/> [cited 2015. 8. 22].

25.

What's a Makerspace?. <http://spaces.makerspace.com/> [cited 2015. 8. 22].

26.

Works Progress Homepage. <http://www.worksprogressseattle.com/en> [cited 2015. 8. 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