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시 기록화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실험적 연구

A Pilot Study on the Elements of Urban Documenta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5, v.46 no.4, pp.575-598
https://doi.org/10.16981/kliss.46.4.201512.575
여진원 (전남대학교)
장우권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변화하는 도시패러다임에 대응하고, 도시발전을 위한 도시 기록화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도출하기 위한실험적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도시아카이브에 관련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Delphi) 조사기법을적용하여 도시 기록화의 기록분야와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였고, 각 분야와 요소들을 유형화, 계층화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1차 델파이조사 결과 6개 분야(자연환경, 인문환경, 역사와 문화, 사회와 교육, 산업과 경제, 교통과 통신)에서62개의 구성요소를 도출,차 2 델파이 조사에서는 6개 분야에서 32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keywords
Urban paradigm, Urban documentation, Delphi research, Urban archiving elements, 도시패러다임, 도시기록화, 델파이조사, 도시기록화 구성요소

Abstract

The goal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respond to changing paradigms in urban planning and derive requirements needed for urban archiving for the purpose of urban growth. In this research, the Delphi research method was used twice on experts on urban archiving in order to derive areas and required elements of urban archiving. Moreover, each area and elements were formalized and categoriz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n the 1st Delphi research, 6 areas (natural environment, liberal arts environment,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social and educational environment, industrial and economic environment,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environment), a total of 62 elements. In the 2nd Delphi research, six areas, a total of 32 elements.

keywords
Urban paradigm, Urban documentation, Delphi research, Urban archiving elements, 도시패러다임, 도시기록화, 델파이조사, 도시기록화 구성요소

참고문헌

1.

경실련 도시개혁센터. 1999. 도시계획의 새로운 패러다임 . 서울 : 보문각.

2.

국가기록원. 2011. 기록학개론 . 대전: 국가기록원.

3.

권상구 외. 2014. Urban Archives: 창조적 도시재생을 위한 장소의 기록과 기억의 재구성 . 안양시 : 국토연구원, 2014.

4.

권재경. 2012. 도시이미지 유형에 따른 도시브랜드 정체성 형성의 영향요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지 , 10: 15-26.

5.

권순명, 이승휘. 2009. 지역 아카이빙을 위한 기록화방안 연구. 기록학연구 , 21: 41-84.

6.

권창기, 이재호. 2004. 도시이미지에 따른 도시운영 전략: 울산광역시 도시공간 및 이용계획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 18(1): 117-135.

7.

김귀곤, 양병이. 1995. 대전광역시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구체적 추진방안 연구 . 중간보고서,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8.

김익한. 2010. 마을 아카이빙 시론. 기록학연구, 26: 151-172.

9.

노춘희. 김일태. 2012. 도시학 개론 . 서울 : 형설출판사.

10.

박선미. 2010. 도시의 글로벌 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시 아이덴티티 시각요소에 관한 연구 . 석사학위논문. 상명대학교 대학원 디자인학과.

11.

박영춘. 2002. 도시의 이미지 측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 37(1): 29-40.

12.

설문원. 2012.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3(4):437-455.

13.

설문원. 2010. 지역을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적용. 기록학연구 , 26: 103-149.

14.

손은영, 김종하. 2002. 도시경관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구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 22(2): 659-662.

15.

여진원, 장우권. 2013. 도시아카이브 구축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7(2):315-335.

16.

유광흠 등. 2009. 건축·도시공간 아카이브구축 전략수립을 위한 연구 . 경기도 :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7.

이영남. 2008. 마을 아르페(Community Archpe) 시론. 기록학연구 , 18: 221-254.

18.

전말숙. 2012. 재개발지역 도시아카이브의 모형 개발 연구 .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19.

테오도르 폴 김. 2009. 사고와 진리에서 태어나는 도시 . 서울 : 시대의창.

20.

황정환. 1998.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도시환경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21.

Cox, Richard J. 2001. Documenting Localities: A Practical Model of American Archivists and Manuscript Curators. Lanham. Md : The Society of American Archivists and The Scarecrow Press.

22.

James, V. U. 1996.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ird World Countries. London :PRAEGER Westport.

23.

Kammen, Carol. 2003. On Doing Local History. CA: AltaMira Press.

24.

Linch, K. 1975. The Image of City. MIT Press.

25.

Maclaren, V. W. 1996. “Urban Sustainability Report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2(2): 184-202.

26.

대구 북성로에 부는 도시재생의 바람. <http://www.la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18481>

27.

부산도시기록. <http://abcd.busan.go.kr/introduce/introduce.vm>

28.

원주…길을 걷다 “ 展 포스터. <http://cafe.naver.com/wj24.cafe>

29.

Baltimore City Archives. <http://baltimorecityhistory.net/>.

30.

Connecting Histories. <http://www.connectinghistories.org.uk/>

31.

London Metropolitan Archives. <http://www.cityoflondon.gov.uk/>

32.

Wikipedia. <http://ko.wikipedia.org/>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