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특징적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Changing of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5, v.46 no.4, pp.79-107
https://doi.org/10.16981/kliss.46.4.201512.79
노영희 (건국대학교)

초록

이 연구에서는 교과과정 연구가 심층적으로 진행된 1991년의 자료로부터 출발하여 2014년까지 약 23년간의 교과과정의 변화를 6~7년 단위로 분석하되, 문헌정보학 학문영역 중에서 특징적인 변화를 보여주는 분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서지학 분야의 과목은 1997년 69과목에서 2014년에 51과목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록관리학 과목의 경우 2005년의 33과목에서 2014년에는 57과목으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학분야의 과목은 1997년 63과목에서 2014년 19과목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문헌정보학일반 분야에 분류된 과목들을 분석한 결과 문헌정보학개요 관련과목, 현장실습과목, 출판과저작권 관련과목, 진로지도 관련과목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서관사 관련과목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서지학, 기록관리학, 어학, 문헌정보학일반,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Bibliography, Records management, Linguistics

Abstract

This research was done with the intent of showing the changes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LIS) curriculum from 1991 until 2014, across the 40 Korean LIS departments. Using the department and faculty system, which I expected were the biggest change factors, I took these as the division points and analyzed the published data regarding curriculum offerings in units of 6-7 years. Field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more depth for changes. The results indicated several things. First, in the bibliography field the number of individuals had been reduced from 69 to 51 in 2014. Second, the subjects in records management had increased from 33 in 2005 to 57 in 2014. Third, in the linguistics field the decrease was from 63 in 1997 to 19 in 2014.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individuals that had been classified into the general LIS field, it was found that subjects related to the outline of the LIS, field studies, publication and copyrights, and career guidance were increasing. At the same time, the subject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library were decreasing.

keywords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서지학, 기록관리학, 어학, 문헌정보학일반,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Bibliography, Records management, Linguistics

참고문헌

1.

김성수. 1998. 학부제 관련 문헌정보학 교육목적 및 교과과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28: 355-383.

2.

노영희. 2005.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발전현황에 대한 비교ㆍ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6(1): 479-503.

3.

노영희, 안인자. 2009.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변화분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0(2): 429-450.

4.

노영희, 안인자, 최상기. 2011.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2(4): 5-29.

5.

엄영애. 1993. 도서관학 교과 과정의 변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20: 107-131.

6.

엄영애. 2003. 문헌정보학과의 코어 교과목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4(3): 33-49

7.

엄영애. 2009. 문헌정보학과 학부 교과과정의 변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0(2):409-427.

8.

한복희. 1999. 변화하는 도서관환경에 대비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0(2): 179-19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