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사서자격증 발급을 위한 교육기관은 전국 문헌정보학과, 사서교육원, 학점은행제 등이다. 그러나 교육기관마다 질적 수준과 교육내용이 다르며, 자격증 발급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검증방법이 없어서 전문성이 높은 사서를 양성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학과 또는 교육프로그램의 인증제도에 대해서 살펴보고, 인증제도가 지향하는 바가 무엇이며 어떤 목적과 기준을 가지고 있으며, 평가내용은 무엇인지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 인증제도를 도입하게 될 경우 인증제도 도입관련 도서관법 개정을 포함하여 관련 시행령의 대폭 개정, 인증기관 선정, 인증기준 및 절차 수립, 서류심사 및 인증실사관련 내용 개발, 인증의 효과 제시, 자격증별 인증기준 개발 등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난 20여 년 동안 논의가 되고 있는 사서자격제도의 개선은 현 정부의 구조개혁, 사서자격자 배출급승, 인력수급불균형으로 인한 취업률 저하, 이로 인한 4년제 문헌정보학과의 존폐위기로 이어지는 현 문헌정보학계의 시급사안이므로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될 것으로 보인다.
Librarian certification in Korea is issued by the LIS Departments, the Academy of Librarianship, and the Academic Credit Bank system; however,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there is a limit to how much these nurture high quality librarians, because the education quality and contents varies from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re is no verification method for certification issued by educational program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certification systems of academic or training programs that are conducted at home and abroad, analyzed how the certification systems are oriented, what the purpose and criteria of the certification systems are, and what the content of assessment is. As a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several areas needing change were identified which if adopted can improve the system. These included making amendments to the library laws related to the certification system, substantially revising the relevant enforcement ordinance, making changes to the selection of the Certification authority, establishing certification standards and procedures, developing contents related to document examination and due diligence audits, rating the effects of the certification system, and setting standards. Improving the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has been discussed over the past 20 years and should not be delayed any longer because of th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of the current government, the rapid rise of the qualified librarians, decreasing employment due to the human resources supply and demand imbalances, all of which has resulted in a survival crisis of four-year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곽동철, 심경, 윤정옥. 2009. 사서자격제도 개선 방안 도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2): 193-213.
남태우. 1996. 사서직의 전문성과 국가고시제도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15-118.
오지은, 정연경. 2013. 사서 자격시험 제도의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239-258.
설문원. 2015. 기업 소송에 대비한 정보거버넌스의 구축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4):325-354.
정동열. 2007. 사서자격제도 개선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2), 5-29.
한국도서관협회 . 2013. 『사서자격 및 사서직제 개선 특별위원회 최종보고서 』. 서울 : 한국도서관협회 .
ARMA International. 2015a. Information Governance Professional (IGP) Certification. Re trievd from <http://www.nbarma.org/information-governance-professional.html>
ARMA International. 2015b. Information Governance DACUM Chart. Retrievd from <http://www.arma.org/docs/igp/dacumchart1012.pdf>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 <http://www.kaab.or.kr>
한국간호교육평가원. <http://kabon.or.kr>
한국공학교육인증원. <http://www.abeek.or.kr/htmls_kr/index.jsp>
한국도서관협회 홈페이지. <http://www.kl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