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Study on the Method for the Self-Reflection of Librarianship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6, v.47 no.4, pp.511-535
https://doi.org/10.16981/kliss.47.4.201612.511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the awareness of problems concerning self-reflection has not been sufficiently addressed in the realm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lthough it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individual maturity of librarians. Recent research on self-reflection, which is only at the beginning stages of study, has brought up the need for additional and more in-depth analyses of factors that influence self-reflection. This study on the progress of overall research will show the current status and definition of librarians’ self-reflection. The study will also illuminate and make suggestions to help direct future research along the lines of librarians’ self-reflection and corresponding educational requirements.

keywords
Librarian, Specialty of Librarianship, Self-reflection, Self-discovery, Self-realization, 사서, 사서직의 전문성, 자아성찰, 자아발견, 자아실현

Reference

1.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http://www.libsta.go.kr> [인용. 2016. 11. 15].

2.

김상욱. 2003. 『문학 교육의 길 찾기』. 서울: 나라말.

3.

노원경. 2007. 교육실습생의 자아성찰에 관한 연구 : 교육실습생의 성찰저널을 중심으로. 『경희대교육발전연구』, 23(1): 55-83.

4.

박지원. 2014. 정년까지 롱런하는 인재들의 특징. 『LG Business Insight』, 2014(12): 41-46.

5.

박호관. 2014. 자아 성찰적 글쓰기의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사례 분석 : 대구대 공통교양 「글쓰기와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63: 69-101.

6.

배연욱. 2007. 『상담자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 자기성찰 및 수퍼비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전공.

7.

변우열, 이병기, 송기호. 2013. 사서교사의 자아상 검사 도구 개발과 자아상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31-47.

8.

손은정, 유성경, 심혜원. 2003. 상담자의 자기 성찰(reflection)과 전문성 발달. 『상담학연구』, 4(3): 367-380.

9.

송기호. 2016. 의미 변별법을 활용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자아상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0(3): 53-69.

10.

송인섭. 1998.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서울: 학지사.

11.

안체윤, 오미경. 2013. 성인용 자기성찰지능 척도 개발 연구. 『인간발달연구』, 20(1): 51-78.

12.

윤인애. 2012.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전공.

13.

이봉희. 2008. 글쓰기치료 : 소설 고쳐 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사례. 『새국어교육』, 80: 339-360.

14.

이성아. 2015. 『대학 교육에서의 자기성찰 수업평가도구 개발 및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15.

이재용, 이종연. 2015. 초등교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체험분석. 『교원교육』, 31(2): 219-241.

16.

이제환. 2003. 전문직 이론을 통해 본 사서직의 전문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57-87.

17.

임성관. 독서치료 수퍼비전에 관한 연구. 『독서문화연구』, 6: 139-152.

18.

임형조. 『갈대는 배후가 없다』. 서울: 세계사.

19.

전미정. 2013. 대학생의 자아성찰을 위한‘변형시’쓰기의 치료적 효능. 『문학치료연구』, 26:135-159.

20.

정수민. 2013. 『성찰적 자아 형성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21.

정은주, 권효숙. 2010. ‘HSP 자아발견 프로그램’을 통한 성찰체험에 관한 연구. 『뇌교육연구』, 3(5): 77-105.

22.

통계청. 2007. 한국표준직업분류(KSCO). [online]. [cited 2016. 12. 15].

23.

한국도서관협회 문헌정보학용어사전편찬위원회. 2010.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4.

한자경. 1997. 『자아의 이론』: 서광사.

25.

한혜정. 2005. 자아성찰과 교수방법으로서의‘자서전적 방법(Autobiographical Method)’. 『교육과정연구』, 23(2): 117-132.

26.

허진영. 2009. 『국립대학 사서직의 전문성 향상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해양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27.

황주연, 정남운. 2010. 상담자 자기성찰(Self-Reflection)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241-263.

28.

Boud, D. & Walker, D. 1985. Barriers to reflection om expertience. in D. Boud, R. Keogh and D. Walker, Reflection : Turning Experience into Learning, London: Kogan Page.

29.

Dewey, J. 1933. How we think. Boston: Health and Company.

30.

Go, J. H. 2010. The Reinterpretation of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 In the view of Vipassana's Sati(mindfulness). Korean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 37:231-247.

31.

Joireman, J. A., Parrott, L. & Hammersla, J. 2002. Empathy and the self-absorption paradox: Support for the distinction between self-rumination and self-reflection. Self and Identity, 1: 53-65.

32.

Korthagen, F. A. J. 1999. Linking reflection and technical competence: The logbook as an instrument in teacher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2(2): 191-207.

33.

Moallem, M. 1997. The content and nature of reflective teaching: A case of an expert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 Clearing House, 70(3): 143-150.

34.

Nolen-Hoeksema, S. 1991. Response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 569-582.

35.

Neufeldt, S. A., Karno, M. P. & Nelson, M. L. 1996. A qualitative study of experts’conceptualization of supervisee reflectivity.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43(1): 3-9.

36.

Purkey, W. W. 1985. 『후기자본주의』, 안범희 옮김, 1992. 서울: 문음사.

37.

Raines, P. 1991. The nature of reflection of a cohort of novice secondary language arts teach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

38.

Schon, D. A.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 Toward a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profession. New York: Basic Book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