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지역대표도서관은 「도서관법」에 따른 개별 공공도서관인 동시에 광역시·도를 대표하는 도서관이다. 그러나 현 단계 대다수 지역대표도서관의 위상과 역할은 대규모 공공도서관에 불과할 정도로 취약하다. 이러한 현실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지역대표도서관의 주요 약점과 한계를 분석한 다음, 그 명칭을 광역대표도서관으로 개칭해야 한다는 전제 하에 「도서관법」의 개정·보완, 수행업무의 재구성과 충실화, 핵심역량과 직결되는 인력 및 운영조직 확대 등의 측면에서 위상정립 및 운영의 정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According to the library act, the regional central library is not only a public library but also a library representing the metropolitan municipalities in Korea. But the status and role of current representative libraries are so weak that they are nothing more than large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realistic vulnerability, this study analyzed the major weaknesses and limitations of regional central libraries and suggested ways to normalize legal positions and operations in terms of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library act, restructuring and strengthening the tasks to be performed, and expanding the manpower and operating organization directly connected with core competencies.
국립중앙도서관. 2017. 2017년 지역대표도서관 워크숍 .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김세훈, 심효정. 2008. 지역대표도서관 설립 및 운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9(1): 319-337.
김영기, 장덕현, 이용재. 2015. 지역대표도서관의 조직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가칭)부산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6(3): 51-70.
김홍렬. 2009. 지역대표도서관의 역할 및 추진 방향에 관한 사서들의 인식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0(1): 115-132
배순자, 김병재. 2006. 道 광역대표도서관 건립계획에 관한 一考: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0(2): 59-78.
배순자. 2008. 지역대표도서관의 기능과 지역공공도서관과의 협력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2(3): 45-59.
유재우, 구본진, 장덕현. 2015. 지역대표도서관 입지 선정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9(3): 291-309.
유재우, 김신영. 2015. 지역대표도서관 입지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6(4): 427-450.
윤희윤, 김신영. 2016. 지역대표도서관 운영조직 및 연계협력 방안 연구: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7(3): 21-39.
윤희윤. 2012. 공공도서관 직원배치기준 개정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6(1): 55-76.
장덕현 외. 2014. 지역대표도서관 건립 계획에 관한 연구: (가칭)부산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5(3): 119-139.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도서관기준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복희, 이성숙, 이상호, 오종필. 2010. 지역대표도서관 중심의 도서관 협력체계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4(1): 267-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