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소논문쓰기 교육내용을 밝히고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써 활용 방안을 찾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논문쓰기 교재 7종을 절차적 설명 텍스트로 분석하여 소논문쓰기의 교육내용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7종 소논문쓰기 교재 본문은 공통으로 <연구주제 정하기, 연구방법 정하기, 연구목차 정하기, 정보 찾기, 본문 쓰기, 참고문헌 기술하기, 발표하기>를 교육내용으로 담고 있었다. 여기에 정보 활용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정보 활용 전략을 추가·보완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연구계획 세우기>와 <정보 처리하기>, <논증적 글쓰기>로 재구조화한 후, 정보 활용 교육을 위한 소논문쓰기 교육내용으로 제안하였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In addition, this searches for the appropriate application method as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course. For clarifying and supporting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expository texts with the seven kinds of published references book on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As the results of examination, the study reveals that they are made up with seven important contents. Evidently, this analysis makes up for the information literacy strategy to intensify the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course. Convincingly, we propose the educational contents which contain ideas of ‘making research plan,’ ‘managing information,’ and ‘writing essay’ in order to optimize for the current school library environment.
고려대학교 사고와 표현 편찬위원회. 2005. 사고와 표현 II-인문학과 글쓰기 .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교육과학기술부, 대구광역시교육청. 2010. 학교도서관에서 배우는 기쁨, 아는 즐거움 . 대구: 대구광역시교육청.
김은정. 2015. 창의적 글쓰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학전공.
김혜연. 2013. 교과서 설명 텍스트의 구성 방향. 국제어문 , 58: 211-242.
김희영. 2015. 고등학생의 소논문쓰기 활동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경험 및 인식과 과학 소논문쓰기 활동의 단계별 지도방안 .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김성준. 2011.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2(3): 271-292.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문화체육관광부. 2015. 2015년 전국도서관 운영평가 결과보고서 . 서울: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성학. 2008. 논술교육의 올바른 방향. 철학논총 , 54: 229-248.
박혜경. 2016. 고등학생의 쓰기 인식 및 소논문쓰기 지도방안. 교양교육연구 , 10(1): 321-348.
변우열 외. 2015.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 서울: 태일사.
변우열, 송기호. 2014. 창의적 글쓰기를 활용한 읽기와 쓰기 통합지도용 학습독서 전략 개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5(1): 125-147.
서대진 외. 2016. 문·이과 고등학생을 위한 소논문 작성법 . 서울: 북스타.
송기호. 2011.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범 교육과정으로서의 정보 활용 능력 위상 강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2(2): 29-50.
신희은. 2011. 고등학생 논문 쓰기를 위한 교수·학습 방안 연구 -장르 중심 쓰기 이론을 바탕으로 .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유소영. 2007. 교과학습과 창의적 논술 : 왜 하는까? 어떻게 할까? . 부산: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이병기. 2005. 학교도서관 정보 활용 교육의 범위와 계열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16(1): 45-74.
이병기. 2012. 정보 활용 교육론 . 서울: 조은글터.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9. 연구방법과 논문 작성법 .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한 솔. 2014.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학위논문 쓰기 지도 방안 : 장르 중심 접근법을 중심으로 . 석사학위 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한승희. 2008.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2(3): 81-101.
IFLA. 2015. IFLA School Library Guidelines. 2nd ed. Hague: IFLA School Libraries Section Standing Committee.
California School Library Association (CSLA). 1997. From Library Skills to Information Literacy: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2nd ed. California: Hi Willow Research and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