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주제별 특성화서비스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현장사서의 의견 조사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Opinion of the Librarian concerning the Subject-Specialized Service and Librarianship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7, v.48 no.4, pp.321-350
https://doi.org/10.16981/kliss.48.4.201712.321
노영희 (건국대학교)
오의경 (상명대학교)
심효정 (한국도서관협회)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사서들을 대상으로 도서관특성화 및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의견을 조사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도서관특성화 서비스를 담당해야 할 사서들의 업무 현황과 환경을 이해하는데 있다. 선행연구들을 기반으로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전국의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전문도서관 사서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392명의 사서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주요 결과로는 특성화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특성화서비스 수행 시 가장 어려운 점은 주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것이며, 특성화 서비스를 위한 도서관의 환경도 충분하지 않다고 보았다. 특성화서비스는 주제전문사서가 주도해야 하며,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자격기준은 필요하며 자격제도는 국가가 관리해야 한다고 하였다.

keywords
Library specialization, Librarians, Subject-specialized librarian, Subject-specialized service, Subject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도서관특성화, 사서, 주제전문사서, 주제전문서비스, 주제전문사서자격제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ield librarians' opinions of the library specialization and specialized librarian and understand the librarians' work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and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librarians of public libraries, university libraries, and professional librarians across the nation. A total of 392 librarians have responded to the survey. As for the main result, the users' satisfaction with the specialization service was perceived to be high, and the most difficult matter in performing the specialization service is the lack of knowledge on the subject matter, and the library environment for the specialization service is not enough. The specialization service should be led by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nd the qualification criteria for the theme specialized librarians are required, and the qualification systems should be managed by the state.

keywords
Library specialization, Librarians, Subject-specialized librarian, Subject-specialized service, Subject librarian certification system, 도서관특성화, 사서, 주제전문사서, 주제전문서비스, 주제전문사서자격제도

참고문헌

1.

곽승진, 노영희, 김동석. 2015. 이용자맞춤형정책정보서비스 수요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9(2): 75-109.

2.

김세훈. 2003. 도서관 전문성 강화방안 : 사서 전문성을 중심으로 . 서울: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3.

노영희. 2009. 대학도서관의 규모별 주제전문사서체제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0(1): 101-117.

4.

심원식. 2009. 주제전담사서 양성을 위한 사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0(1): 541-560.

5.

안인자 외. 2008.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2(4): 533-549.

6.

안인자 외. 2009. 주제전문사서를 위한 능력중심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3(1): 333-361.

7.

오의경. 2016. 주제전문사서와 주제전문서비스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50(1): 437-456.

8.

윤영대. 2003. 의학사서직의 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4(1): 131-146.

9.

윤희윤. 2005. 한국 사서직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9(3): 45-73.

10.

이용재. 1998. 현단계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의 주제사서제 활용 방안. 도서관학논집 , 29:273-311.

11.

정동열. 2002. 지식기반시대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화 역할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36(3): 5-23.

12.

정재영. 2007. 주제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협력모형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1(1): 391-409.

13.

정재영. 2009.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제 운영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0(3):119-136.

14.

최흥식. 2012.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에 대한 이용자 인식제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3(1): 303-319.

15.

한상완 . 1986. 한국의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에 있어서 주제전문사서의 기능 연구 .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

16.

Biddiscombe, Richard. 2002 “Learning Support Professionals : The Changing Role of Subject Speciallists in UK Academic Libraries.” Program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s, 36(4): 228-235.

17.

Feldman, L. 2006. “Subject Librarians in the Changing Academic Library.” Electronic Journal of Academic and Special Librarianship, 7(3).

18.

Graham, John-Bauer and Sonja L. McAbee. 2005. “Expectations, Realities, and Perception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Duties in Medium-Sized Academic Libraries.” The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31(1): 19-28.

19.

Pinfield, Stephen. 2001. “The Changing Role of Subject Librarians in an Academic Library.”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33(1): 32-38.

20.

White, G. W. 1999. “Academic subject specialist positions in the United States: A content analysis of announcements from 1990 through 1998.”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25(5): 372-38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