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공감독서교육이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on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1, pp.267-292
https://doi.org/10.16981/kliss.49.1.201803.267
송지애 (경기대학교)
조미아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공감독서교육의 현실적인 공감주제를 선정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 10명을 선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공감독서교육 모형 개발을 위한 전문가 집단 10명과 교재도서의 중요도 선정을 위한 전문가 집단 12명의 델파이 조사 및 분석을 통해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둘째, 경기도 U시 소재 A초등학교 5학년 104명을 대상으로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공감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공감독서, 독서교육, 공감능력, 정서지능, 정서조절, 초등학생, Empathy Reading, Reading Education, Empathy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Control, Elementary studen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mpathy reading education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First, in order to select realistic empathy topics for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program, 10 specialist groups were selected and th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as well. 10 expert in the development of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program and 12 experts for selecting the importance of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textbook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hrough Delphi investigation and analysis.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program was studied and conducted on 104 grade 5 students in 'A' elementary school in U city, Gyeonggi-do. In conclusion, the empathy reading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eywords
공감독서, 독서교육, 공감능력, 정서지능, 정서조절, 초등학생, Empathy Reading, Reading Education, Empathy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al Control, Elementary student

참고문헌

1.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7. <www.hira.or.kr> [인용 2017. 3. 26].

2.

김광수, 조선순. 2013. 초등학생 용서 능력 증진을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육학회:교육학연구』. 40(3): 207-231.

3.

김난희. 2009. 『독서치료활용 공감증진프로그램이 공감능력과 또래 괴롭힘에 대한 방관적 태도에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4.

김신아, 황영식. 2012. 공감적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수치심경향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심리행동연구학회: 아동교육』. 4(1): 91-111.

5.

김지혜. 2016.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시설보호아동의 정서지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6.

김해연. 2009.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과.

7.

노혜영. 2015. 『초등 통합학급에서 실행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또래지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8.

류현정. 2008. 『공감훈련이 초등학생의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전공.

9.

문용린. 1999. 인성 교육을 위한 정서지능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 논총』, 62: 27-50.

10.

박성희. 1997. 『공감과 친사회 행동』. 서울: 문음사.

11.

박성희. 2009. 『공감』. 서울: 이너북스.

12.

박수정. 2011. 『공감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 석사학위 논문, 성균대학교대학원 아동학과.

13.

박영문. 2017. 충동장애 등 환자, 한해 1만 여명...사회적 우려 증가. 『대전일보』. 3월 22일.<http://www.daejonilbo.com/news/newsitem.asp?pk_no=1256877> [인용 2017. 3. 26].

14.

박윤아. 2007. 『분노조절프로그램이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아동의 공격성 및 정서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15.

이재훈. 2012. 정서적 결핍이 충동조절 저해. 『한겨레신문』. 2012년 6월 5일.<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536301.html> [인용 2017. 4. 1].

16.

이지영. 2013. 『정서 조절 코칭북』. 서울: 시그마프레스.

17.

정혜연. 2004. 『공감훈련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제주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전공.

18.

조선순. 2013. 『국어교과서 문학작품을 활용한 독서치료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초등교육학과 초등상담교육전공.

19.

조혜경. 2015.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공감능력 및 자기조절능력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학교상담전공.

20.

최미정. 2010. 『그림책 활용 독서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공감능력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21.

최은실. 2010. 『정서인식 및 표현 능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22.

한경인. 2014. 『초등교육과정에 삽입된 공감향상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공감능력 및 공격행동과 통합학급의 학급풍토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23.

Simon Baron-Cohen. 2011. 『공감 제로』. 서울: 사이언스북스.

24.

Ulrich Beck. 2014. 『위험사회』. 서울: 새물결.

25.

Bryant B. K., 1982. “An index of empath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3: 413-425.

26.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Bantam Books.

27.

Kieran, S. S., 1979. The development of a tentative model for an alyzing and describing empathic understanding in teachings of young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rtaion, Columbia University Teacher's College.

28.

Lantieri, L., & Patti, J., 1996. Waging peace in our schools. Boston: Beacon Press.

29.

Mayer, J. D., & Salovey, P., 1997.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Educational implications. New York: Basic Books.

30.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Personality, 9: 205-209.

31.

Titchener, Edward B., 1909. Lectures of the Experimental Psychology of Thought Processes. New York: Macmillia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