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 동구 안심지역의 아띠도서관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 나갔었던 과정을 탐색해봄으로써 지역사회에서의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의미를 새롭게 인식하는데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아띠도서관 만들기모임 초기 구성원들을 중심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자료는 질적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아띠도서관은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들 간의 인적네트워크가 공고해지고 확장되는 토대가 되었으며 지역주민들이 스스로 지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게 함으로써 지역의 공동체가 성장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지역의 작은도서관들은 단지 도서관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지역사회 공동체의 중심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포함하여 자신들의 역할을 새롭게 정의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new role of the small libraries in the community as the center of the community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case of Atti library in Daegu.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original members of the Atti library.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method.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human networks of the community were solidified and expanded through the Atti library. Furthermore, the community people could have more confidence i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and the community could grow further through the Atti library. The small libraries should think about their new roles as the center of the community beyond the role of the public libraries.
강용배. 2003. 지역사회정체성과 사회자본 형성 요인분석. 『한국정책과학회보』, 7(2): 189-215.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홈페이지 <https://www.libsta.go.kr/> [인용 2018.2.24.].
김문정. 2015. “여성주의적 실천과 아고니즘의 정치학 : 대구 안심마을 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정책대학원 여성학과.
김보일, 조미아, 변현주. 2015. 작은도서관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4): 31-52.
김영경. 2016. 부천시 작은도서관 운동의 학습공동체 연구. 『한국교육』, 43(4): 105-134.
김영천. 2012. 『질적연구방법론I』.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김유승. 2014. 작은도서관에 관한 법제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3): 381-410.
김윤영, 정은주. 2016. 국제이주민들을 위한 작은도서관의 역할과 기능 – 안산시 단원구 원곡동 다문화 작은도서관 운영사례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7(4): 559-578.
김학실. 2014. 지역공동체 위기에 대응한 공동체주도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0권(5): 179-201.
김형용. 2012. 지역사회서비스와 마을공동체. 『복지동향』, 170: 43-46.
『도서관법』 2009. 법률 제9528호.
문순영. 2013. 지역기반 사회적 기업의 특성과 발전과제를 중심으로 : 대구의 두 기관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6(1): 23-53.
박규남. 2016.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James S. Coleman의 기능적 공동체 : 대구시 작은도서관사례.”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이론행정전공.
박정숙. 2013. 작은도서관을 말하다. 『디지틀 도서관』, 70: 31-46.
성희자, 이강형. 2013. 농촌지역주민의 사회참여와 공동체의식이 ‘배타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315-332.
성희자, 전보경. 2006. 농촌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7:149-170.
신경림, 김미영. 2003. 『근거이론 연구방법론』. 서울 : 현문사.
양영균. 2012. 도시지역 공동체 형성과 작은도서관 : 용인시의 사례. 『정신문화연구』, 35(2):35-67.
이명호. 2016. 공동체 위기와 복원에 과한 탐색적 연구. 『사회사상과 문화』, 19(1): 87-115.
이정호. 2014. 작은도서관 협력 네트워크의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5(2): 602-632.
양병훈. 2012.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연구 :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289-309.
유양근, 박송이. 2010. 작은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175-192.
최재연. 2015. “지역 커뮤니티 거점으로서 작은도서관의 가능성과 한계.”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도시계획전공.
홍성태. 2006. 지역발전과 공동체의 가능성 : 생태공동체와 교육공동체를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Helliwell, John F., and Robert D. Putnam 2004. “The Social Context of Well-Being, Philosophical Transactions: Biological Sciences.” Integrating Neurobiology, Psychology and Social Science 1446(sep 29): 1435-1446.
Strauss, Anselm and Corbin Juliet.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CA: SAGE Publications, Inc
Kim, Hyoung-Young. 2012. “Community Social Service and village community.”Monthly Welfare Trends :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