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 완화를 위한 학교도서관 교육 서비스 사례 연구 -『도서관과 정보생활』교과의 Ⅰ․Ⅱ 영역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School Library Educational Services to Reduce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Due to the Education Gap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3, pp.307-329
https://doi.org/10.16981/kliss.49.3.201809.307
강봉숙 (대구서부고등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경제적으로 열악한 교육환경의 학교에 학교도서관 교육 서비스를 투입해 학교별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환경이 극도로 열악한 상황에 있는 B 고등학교의 1학년을 대상으로 10차시 도서관활용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한 사례를 정리하였다. 215명 학생을 대상으로 정보활용교육을 실시하고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정보활용능력을 비교해 정보활용교육 효과를 분석하였다. 또 B 학교와 사전검사를 함께 진행하였으나 B 학교의 결과가 현저히 낮게 조사되어 사전 동질성 검정에 실패했던 다른 학교의 정보활용능력 사전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별 고교 학비 지원 학생 비율과 정보활용능력이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점을 구명한 선행연구를 본 연구 결과와 비교했다. B 학교의 정보활용교육 사후검사 결과가 B 학교보다 양호한 교육 여건을 가진 13개 학교를 포함한 15개 학교의 정보활용능력 사전검사 평균에 비해 통계적으로 높은 값을 가졌다. 이에 학교도서관의 핵심 서비스인 정보활용교육으로 교육격차에 따른 정보활용능력 격차를 완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검증했다. 본 연구가 열악한 교육환경에 있는 학교의 학교도서관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활성화시켜 학교도서관이 공공재로의 기능을 극대화해 갈 수 있는 계기가 되고, 교육과정 속에 정보활용교육이 체계적으로 정착해갈 수 있도록 하는 근거가 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교육격차, 정보격차, 학교도서관 교육, 정보활용교육, 정보활용능력, 사서교사, Education gap, Information divide, Information literacy,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Abstract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school library education service on the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poor economic environment. For this purpose, we narrowed down to 215 high school first graders with substandard educational conditions, and then implemented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test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information literacy service. The preliminary tests of 15 schools including the targeted school were conducted, and we found that the results of the self-evaluation in those 15 schools exceed those with other generally good educational conditions. We considered in all aspects to find out how to overcome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through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Reflecting on the previous research verifying that the difference in educational environment affects the information literacy, we can confirm that the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service, which is the core service of the school library, can narrow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a basis for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keywords
교육격차, 정보격차, 학교도서관 교육, 정보활용교육, 정보활용능력, 사서교사, Education gap, Information divide, Information literacy, School library, Teacher librarian

참고문헌

1.

강봉숙. 2018. 교육격차와 정보활용능력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9(2): 179-199.

2.

김성은, 이명희. 2007. 대학생을 위한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3): 91-115.

3.

성혜원. 2007. 『저소득층 학생을 위한 학교도서관 운영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전공.

4.

이소희. 2017.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이 도서관활용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5.

이정연, 최은주. 2006.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효용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1): 315-334.

6.

정영미. 2009. 정보활용 교육이 도서관과 정보활용능력 자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265-280.

7.

진수진. 2017. 『학교도서관 이용자 교육에 따른 정보 활용능력의 차이 분석 : 서울 경기지역 중학생을 대상으로』.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교육전공.

8.

학교알리미. <http://www.schoolinfo.go.kr/> [cited 2018. 5. 3].

9.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 교육과정위원회. 2007.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0.

CILIP. <https://www.cilip.org.uk/> [cited 2018. 7. 18].

11.

Majid, S. et al. 2016. “Auditing Information Literacy Skill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ingapore.” Journal of Information Literacy, 10(1): 44-66.

12.

McPherson, H. and Margot Dubé. 2016. “Reducing the Information Literacy Gap in High School Students: An Action Research Study.” Knowledge Quest, 45(2): 48-5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