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 분석 연구 - 신문기사분석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Social Image of Library: Focused on the Analysis of Newspaper Articles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4, pp.219-236
https://doi.org/10.16981/kliss.49.4.201812.219
김지현 (전남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는 도서관 관련 신문 기사를 분석하여 우리 사회에 투영되고 있는 도서관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총 18년 동안에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조선일보, 그리고 중앙일보에서 보도된 3065개의 신문 기사를 시계열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도서관 기사 수는 2009년을 정점으로 감소하는 추세였다. 도서관 관련 기사는 책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연도별로 기사의 내용에 조금 차이가 있었다. 2000년 초반에는 정보와 이용에 대한 내용이 더 많았다면, 2006년부터는 도서관의 운영과 개관, 문화에 대한 내용이 그리고 2012년 이후에는 지역의 주민들과 문화에 대한 기사가 조금 더 많았다. 이러한 기사의 경향은 도서관에 대한 사회의 이미지를 반영한다고 볼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도서관 홍보 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도서관 이미지, 신문기사, 시계열 분석, 언어네트워크, Image of library, Newspaper articles, Ttime series analysis, Language network analysi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age of library in our society by analyzing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libraries. A total of 3065 newspaper articles reported in Kyunghyang, Hankyoreh, Chosun, and Joongang from 2000 to 2017 were analyzed using time series analysis. The results of the time series analysis showed the number of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library declined to a peak in 2009.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newspaper articles by year except for those content related to books. There were many articles about ‘information’ and ‘use’ in early 2000, about ‘library operation and opening’, ‘culture’ from 2006, and about ‘residents of the area’, ‘culture’ after 2012. These content of newspaper articles may reflects the image of library in our society. Finally, this study dis cussed practical ways of public library promotion.

keywords
도서관 이미지, 신문기사, 시계열 분석, 언어네트워크, Image of library, Newspaper articles, Ttime series analysis, Language network analysis

참고문헌

1.

김성태, 이창호. 2007. 공적이슈에대한미디어보도분석: 수돗물관련기사를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 39: 40-68.

2.

김수연, 김대욱, 최명일. 2013. 한국광고홍보학연구경향언어네트워크분석. 한국광고홍보학보 , 15(1): 59-85.

3.

김용근. 2007. 신문보도를 통해 본 우리 도서관의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38(2): 295-314.

4.

김용학. 2007. 사회연결망 분석 . 서울: 박영사.

5.

김은주, 노성원, 남태우. 2016. 정신의학분야국제공동연구의지적구조네트워크분석. 정보관리학회지 , 33(1): 53-84.

6.

김지현. 2016. 언어네트워크분석방법을활용한공공정보내용분석: 광역도시대표트위터내용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7(3): 151-171.

7.

김희정. 2011.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한 웹 아카이빙 주제영역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2(2): 235-248.

8.

박옥남. 2011. 정보조직 지식구조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22(3): 247-267.

9.

박한우, 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10.

송승섭, 정종기. 2014. 북한 `로동신문`에 나타난 `도서관` 관련 기사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48(1): 237-256.

11.

손혜인, 남영준. 2016. 기록관리학분야국내학술지의연구동향에관한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와 기록학연구를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 33(1): 85-110.

12.

양명철, 한혜경. 2014. 한국미디어의이주민보도프레임분석: 조선일보와한겨레신문기사에대한언어네트워크분석을 중심으로. 동북아문화연구 , 41: 71-89.

13.

오미영, 정인숙. 2006.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4.

이란주. 200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공공도서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13(2), 183-195.

15.

이수상. 2012.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 서울: 논형.

16.

이수상. 2014.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학술논문의 내용분석. 정보관리학회지 , 31(4): 49-68.

17.

이수상. 2016. 독후감 텍스트의 언어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47(3): 95-114.

18.

이용훈. 2006. 언론보도를 통해 본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요구 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 논문집 , 13: 281-288.

19.

이철찬. 2008. 대학신문 보도를 통해 본 대학도서관의 활동 변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4): 33-50.

20.

이혜준, 이동일, 이주현. 2010.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프랜차이즈 교육 프로그램개발. 경영교육연구 , 14(2): 105-128.

21.

이희연, 김흥주. 2006. 네트워크분석을통한수도권의공간구조변화1980-2000년. 도시계획 , 41(1): 133-151.

22.

정덕호, 이준기, 김선은, 박경진. 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교육과정 목표와 교과서 학습 목표와의일치성분석: 2009 개정교육과정의지구과학I을중심으로.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4(7): 711-726.

23.

조재인. 2011.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문헌정보학 최근 연구경향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 28(4): 65-83.

24.

최이랑. 2015. 국내 기록관리학 연구동향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 43(1): 147-177.

25.

최진현, 박서현, 강진오. 2010. 방사선종양학 분야의 연구 네트워크 특성 분석. Radiation Oncology Journal, 28(3): 184-191.

26.

최창현. 2011. 조사방법론: SPSS, UCINET 활용 , 파주: 학현사.

27.

Zaller, John and Feldman Stanley. 1992. “A simple theory of the survey response: Answering questions versus revealing preference.”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6(3), 579-61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