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嶺南樓詩韻』의 서지적 특징과 자료적 가치 - 수록 인물 분류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ata Value of YoungNamRooSiun(嶺南樓詩韻) -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recorded characters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8, v.49 no.4, pp.353-371
https://doi.org/10.16981/kliss.49.4.201812.353
전재동 (경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최근에 소개된 필사본 『嶺南樓詩韻』의 서지적 특징과 자료적 가치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영남루시운』은 영남루 본당 마루를 비롯하여 凌波堂, 枕流閣, 客舍東軒, 德民亭, 攬秀亭 등 6개 건물을 대상으로 임진왜란 이전에 창작된 記文, 上樑文, 題詠詩 등을 수록하고 있다. 수록 작가는 누적 인원 412명이며, 작품 수는 散文 11편, 韻文 559首 등 총 570편이다. 『嶺南樓詩韻』에 수록된 題詠詩 作家는 慶尙道觀察使, 慶尙道都事를 비롯하여 密陽, 淸道, 慶州, 昌原 등지의 지방관, 宣慰使, 敬差官, 御使, 宣傳官, 護送官 등 文武관원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즉, 누적인원 412명 가운데 318명이 중앙과 지방의 관원들이며, 이 수치는 전체 작품의 77%를 차지한다. 『영남루시운』에 수록된 작가들의 관직별 분류를 통해 조선전기 영남루 題詠詩 작가들은 일반 시인묵객들보다 특정 임무를 띠고 밀양 지역에 파견된 관원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해 영남루는 勝景 감상의 목적 이외에 관찰사나 도사의 집무 공간, 왜국 사신 접대 등의 공무가 이루어지던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嶺南樓詩韻, 嶺南樓, 凌波堂, 枕流堂, 客舍東軒, 德民亭, 攬秀亭, 題詠詩, 慶尙道觀察使, 慶尙道都事, YoungNamRooSiun(嶺南樓詩韻), Reulpadang(凌波堂), Chimryugak(枕流閣), Gaksadonghun (客舍東軒), Dukminjung(德民亭), Namsujung(攬秀亭), Gyeongsangbukdo observer(慶尙道觀察使), Gyeongsangbukdo master(慶尙道都事)

Abstract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bibli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material value of the recently introduced manuscript YoungNamRooSiun(嶺南樓詩韻). YoungNamRooSiun(嶺南樓詩韻) is a collection of six buildings including the Yeongnamroo(嶺南樓) main hall floor, Reulpadang(凌波堂), Chimryugak(枕流閣), Gaksadonghun(客舍東軒), Dukminjung(德民亭), and Namsujung(攬秀亭). And poetry. The number of artists listed here is 412, and the total number of works is 570 including 11 prose and 559 rhyme. Through the text, YoungNamRoo(嶺南樓) was able to confirm that it was a space where official affairs such as observatory, master's office space, and hospitality reception were held. Based on this, an attempt should be made to take the reliability of the YoungNamRoo(嶺南樓) Ruling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original texts of the YoungNamRoo(嶺南樓) Ruling Prize and the collected writers.

keywords
嶺南樓詩韻, 嶺南樓, 凌波堂, 枕流堂, 客舍東軒, 德民亭, 攬秀亭, 題詠詩, 慶尙道觀察使, 慶尙道都事, YoungNamRooSiun(嶺南樓詩韻), Reulpadang(凌波堂), Chimryugak(枕流閣), Gaksadonghun (客舍東軒), Dukminjung(德民亭), Namsujung(攬秀亭), Gyeongsangbukdo observer(慶尙道觀察使), Gyeongsangbukdo master(慶尙道都事)

참고문헌

1.

太宗實錄, 明宗實錄, 中宗實錄, 宣祖實錄.

2.

미상. 嶺南樓詩韻 . 개인소장본.

3.

밀양문화원. 2012. 국역 밀주징신록 . 밀양: 밀양문화원.

4.

밀양지편찬위원회. 1987. 密陽誌 . 밀양: 밀양문화원.

5.

정경주 편. 2002. 嶺南樓題詠詩文 . 밀양: 밀양문화원.

6.

한국국학진흥원. 2005. 增補慶尙道先生案 上-下 . 안동: 한국국학진흥원.

7.

黃士祐 저(황위주 국역). 2006. 在嶺南日記 . 대구: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8.

남권희, 전재동 역. 2018. 국역 嶺南樓詩韻 . 대구: 경북대학교출판부.

9.

김순남. 2004. 조선시대 敬差官과 外官. 한국사학보 , 18: 335-360.

10.

박홍갑. 1990. 조선전기의 宣傳官. 사학연구 , 41: 119-146.

11.

이수건. 2005. “慶尙道監營의 성립과 직제.” 慶尙監營의 綜合的 硏究 . 대전: 학민사.

12.

전재동. 2018. 密陽 嶺南樓 題詠詩文의 書誌的 分析-필사본 『嶺南樓詩韻』을 중심으로- .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3.

전재동. 2017. 嶺南樓詩韻 의 발굴과 소개-구성과 체재 분석을 중심으로-. 서지학연구 , 72:123-143.

14.

정석태. 2017. 영남루문단의 형성과 전개양상-교류와 경쟁의 공간으로서의 영남루-. 경북대학교국어국문학과BK+21사업단2017년국제학술대회발표요지집 , 215-248.

15.

정출헌. 2017. 영남루와 아랑 : 아랑 서사의 탄생과 그 변주. 대동한문학 , 52: 259-288.

16.

정현재. 1979. 조선초기의 경차관에 대하여. 慶北史學 , 1(1): 135-17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