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고려시대 제작된 불교 경전에 포함된 판화와 관련된 개괄적인 현황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고려시대 간행된 판화본 중 해인사 소장 대장경에 포함된 것은 ≪華嚴經≫ 周本 80점(5점 중복), 晉本 12점을 비롯하여 ≪豫修經≫ 3종 44점과 송광사에 ≪天台隱士寒山拾得詩集≫의 판화 1점이 현전한다. 또한 초조대장경 중 현재 일본 남선사에는 소장된 ≪御製秘藏詮≫ 권1-10까지에는 50개의 판화가 현전하며, 이것은 권11-20까지 중복해서 사용 되었으며, 권21에는 佛傳圖 형식의 판화가 3점 포함되어 있다. 이 외에 본고에 다룬 고려시대 간행된 불경 판화는 12종 19점으로, 중국에서 유입된 불경 판화의 모티브를 차용하면서도 고려인들만의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독창적인 도상을 만들어 내었다는 점과, 특히 조선 초기 제작된 다양한 불경 판화의 원형을 제공해주고 있어 그 시원을 가늠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verall situation related to the engravings included in Buddhist scriptures produced in the Goryeo Dynasty. at the wooden board in Hae-in Temple(海印寺)'s ≪Hwa-eomgyeong(華嚴經)≫ are Ju-bon(周本) 80sheets(5sheets duplicates), Jin-bon(晉本) 12sheets, and ≪Ye-sugyeong(豫修經)≫ 44sheets, and There is a print of ≪cheon-tae-eun-sa-han-san-seub-deug- si-jib(天台隱士寒山拾得詩集)≫ at Songgwang Temple(松廣寺). Also ≪Uhjebijangjeon(御製秘藏詮)≫ included in the Koryo period Chojo Tripitaka is the Emperor Tàizōng of Sòng Poetry collection owned by Japan's Nanzanji(南禪寺). In each book from volume 1-20(volume17 is not there), there were 5 sheets of engravings and most of them are located in the same locations (1,5,9,13,17). And than 50 engravings that are contained in volume 1-10 are used repetitively in volume 11-20. In Volume 21 that corresponds to appendix, 3 engravings, This has a big value in that this is a Booljeondo(佛傳圖) of the fastest period that was made in Korea. In Chapter 3, we looked at the publications of the Goryeo Dynasty by century. We have confirmed that among 19 types of the 12 kinds of printed materials.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오구라 콜렉션 한국문화재 . 대전: 국립문화재연구소.
남권희. 2002. 고려시대 기록문화 연구 . 청주: 고인쇄박물관.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8. 동산문화재지정보고서 (87'지정편). 서울: 동관리국.
송광사성보박물관. 2004. 송광사 불서 전시 도록 . 순천: 송광사.
해인사성보박물관. 2008.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특별전 : 誓願 . 합천: 해인사.
허흥식. 1984. 韓國金石全文 (中世下). 서울: 아세아문화사.
周心慧. 1998. 中國佛敎版畵[全集] 1-4. 浙江: 浙江文藝出版社.
小野玄妙. 1936. 佛書解說大辭典 別卷 . 東京: 大同出版社.
寧夏大學西夏硏究中心, 國家圖書館, 甘肅五凉古籍整理硏究中心 [共]編 ; 史金波, 陳育寧 主編. 2005. 中國藏西夏文獻 5(北京編). 蘭州: 甘肅人民出版社․敦煌文藝出版社.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http://www.heritage.go.kr)해제 참조.
권지연. 2004. 海印寺 所藏 佛說預修十王生七經 硏究. 국제비교문학 12(1): 1-43.
김자현. 2011. 日本 南禪寺 소장≪御製秘藏詮≫의〈御製佛賦·御製詮源歌〉版畵 硏究. 미술사학 , 25: 35-68.
김자현. 2016. 天安 廣德寺 소장≪父母恩重長壽胎骨經合部≫연구. 불교미술 , 27: 57-81.
남권희. 2017. 고려시대 간행의 수진본 소자 총지진언집 연구. 서지학연구 , 71: 323-363.
박은경. 2013. 동아대학교 함진재 소장 海印寺 寺刊板 印經變相板와의 조사현황과 특징. 석당론총 , 57: 71-107.
석혜영. 2018. 고려시대 초조대장경 ≪어제비장전≫ 판화의 내용과 의미. 미술사학보 , 50:195-220.
이성미. 1986. 高麗初雕大藏經의 ≪御製秘藏詮≫ 版畵-高麗初期 山水畵의 一硏究. 미술사학연구 , 169․170: 14-70.
유부현. 2010. 初雕藏 ≪御製秘藏詮≫ 版畵의 底本과 板刻에 대한 硏究. 서지학연구 , 45:235-258.
유부현. 2010. ≪御製秘藏詮≫ 大藏經 板本의 文字異同과 校勘. 서지학연구 , 47: 57-92.
장충식. 1982. 韓國 佛敎版畵의 硏究(Ⅰ). 불교학보 , 19: 275-306.
장충식. 1994. 高麗의 文化와 大藏經 版畵 : 華嚴經 版畵를 중심으로. 문화사학 , 1:193-212.
천혜봉. 1976. 初雕大藏經의 現存本과 그 特性. 대동문화연구 , 11: 167-239.
殷 博. 2014. 莫高窟第85窟善财童子五十三参初探. 敦煌硏究 , 144(2): 26-33.
김자현. 2006. 海印寺 寺刊板 60華嚴經 變相版畵 硏究 . 석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
박해순. 1995. 高麗 佛敎版畵의연구: 海印寺 周本 80華嚴變相圖를중심으로 . 석사학위논문, 경성대학교 대학원. 회화학과.
배찬노. 2005. 高麗時代의 木版畵와 그 實用 . 석사학위 논문,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혜영. 2016. 初雕大藏經 ≪御製秘藏詮≫과高麗時代 佛經版畵의刊行에 관 硏究 . 박한사 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심성미. 2004. 海印寺 80華嚴經 變相 版畵 硏究 . 석사학위논문, 경주대학교대학원문화재학과.
임기영. 2009. 海印寺 寺刊板殿 所藏 木板 硏究 . 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대학원문헌정보학과.
임병중. 1992. 高麗와 朝鮮時代의 佛敎版畵에 대한 史的 比較考察 : 海印寺 및 松廣寺 變相版畵를 中心으로 . 석사학위 논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陳昱全. 2009. 北宋 ≪御製秘藏詮≫版畵研究 . 碩士學位論文, 國立臺灣師範大學美術硏究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