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분석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Staff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y Evaluati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1, pp.293-312
https://doi.org/10.16981/kliss.50.1.201903.293
강봉숙 (대구 서부고등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참여율이 날로 저조해지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평가의 변화 추이와 평가 참여 인력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 지표 변화 추이 등을 문헌조사로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한 전국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을 질문지법으로 조사하였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참여율은 09년에 22.2%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래 17년 7.2%까지 낮아졌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의 양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 인식은 2.84점, 질적 평가 방법으로의 타당도는 2.97점으로 조사되었다. ‘연간 운영 계획 수립’에 대한 평가지표 타당도 인식 평균은 3.90점으로 가장 높게, ‘지역사회 봉사’는 2.27점으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평가 미참여 이유에 '학사 업무 처리가 바빠서'의 평균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학교도서관 운영평가에 대해 낮은 인식이 조사된 바, 평가지표 및 참여 방법 등에 대한 개선책을 모색하고 학교도서관 전담인력의 인식 개선을 이룰 수 있는 정책 마련이 병행되어야 하겠다. 더불어 평가 운영주체는 평가의 결과를 다시 학교도서관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evaluation,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학교도서관,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학교도서관 경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evaluation system of school library operation whose participation rate is getting lower. We conducte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ng evaluation of school libraries through literature search. In doing so, questionnaire method was conducted to inquire the recognition of the 205 staff members of school libraries. The outcome of the survey shows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operating evaluation of school libraries decreased from 22.2% in 2009 to 7.2% in 2017. The validity of the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was significantly low at 2.84 and the validity of the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 was 2.97. The average score of the validity index for 'Establishing the annual operation plan' was the highest at 3.90, and that of 'Community service' was the lowest at 2.27. The biggest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the evaluation was due to the staff's high workload. There is a need to seek ways to improve the evaluation index and ways to participate since the result shows very low awareness of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school library evaluation will become the foundation for effective revitalization of school library operation.

keywords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evaluation, School library administration, 학교도서관, 학교도서관 운영평가, 학교도서관 경영

참고문헌

1.

곽철완, 노영희. 2009. 학교도서관운영평가지표개발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183-196.

2.

교육부. 교육통계서비스. [online]. <https://kess.kedi.re.kr>. [cited 2019. 2. 20].

3.

김보일. 2018. 작은도서관 운영평가 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2(1), 5-34.

4.

김성준. 2011. 학교도서관평가지표개선방안에관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5-26.

5.

남영준, 정경애. 2010. 학교도서관의새로운평가지표개발에관한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3): 99-131.

6.

노영희. 2017.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4(2), 181-214.

7.

노영희. 2017. 도서관의 교육적 가치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1(4), 5-34.

8.

노영희. 2017. 도서관의 문화적 가치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8(3), 177-205.

9.

문화체육관광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 [online]. <https://www.libsta.go.kr>. [cited 2019. 2. 20].

10.

변우열, 이병기, 김성준. 2011. 학교도서관평가체제개선방안에관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1), 51-73.

11.

차미경, 표순희. 2015. 전국 공공도서관 운영평가의 성과에 관한 연구 : 2010년~2013년도를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2), 241-26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