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2466-2542
  • KCI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운영 실태 분석 연구

Analysis on the Operating Status of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P)2466-2542;
2019, v.50 no.1, pp.313-331
https://doi.org/10.16981/kliss.50.1.201903.313
장보성 (국립장애인도서관)

초록

본 연구는 유명무실하게 존재하는 특수학교 학교도서관의 운영 실태를 일반학교 학교도서관과 비교․분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지역별, 학교 설립별 일반학교와 비교했을 때 특수학교는 장서, 예산, 열람좌석, 이용 측면에서 현저하게 미흡한 수준이다. 특수학교의 학생 1인당 장서 수는 57.9권, 대출자료 수는 10.8권인 반면 일반학교는 96.7권, 29.6권이다. 예산은 특수학교가 일반학교의 30% 수준이며, 일반학교의 90%이상이 20석 이상의 열람좌석 수를 보유한 반면, 특수학교는 75개교(42.9%)에 불과하다. 소장 장서 대비 이용량에서도 채 1권도 되지 않는 수준이다. 특수학교 학교도서관 운영을 위한 전담직원이 있는 학교는 47개교(26.8%)이며, 사서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학교는 20개교에 불과하다. 따라서 특수학교의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사회 장애인 기관과의 협력, 기본적인 장서와 전담인력, 시설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keywords
특수학교, 학교도서관, 특수학교 학교도서관, 운영 현황, 운영 실태,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Operating statu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operation status of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and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after comparing with the School Library. As a result of the study, compared with general schools by region and school establishment, special schools are lacking in collection, budget, reading seats and usage. The number of collections per student in special schools is 57.9, the number of loans is 10.8, while the number of general schools is 96.7 and 29.6. The budget is about 30% of general schools, more than 90% of general schools have more than 20 seats, while Special Schools are only 75 (42.9%). There is not one volume of use compared to the collection. There are 47 schools (26.8%) with specialized staff, and only 20 schools have librarian licenses.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the school library of special schools,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related organizations with disabilities in the local community, to expand collections, to have professional librarians and to improve the facilities environment.

keywords
특수학교, 학교도서관, 특수학교 학교도서관, 운영 현황, 운영 실태,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Special schools’ school library, Operating status

참고문헌

1.

교육부. 2017. 제5차 특수교육 발전 5개년 계획. 서울, 교육부.

2.

교육부. 2017.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특수학교 설립․운영 방안 연구. 서울, 교육부.

3.

교육부. 2018. 2018 특수교육 통계. 서울, 교육부.

4.

국가법률정보센터. 2019. 초등등교육법. 서울, 국가법률정보센터.

5.

국가법률정보센터. 2019.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서울, 국가법률정보센터.

6.

김종성. 2013.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연구의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71-91.

7.

김지민. 2014. 시각장애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독서교육학회지, 2(1), 223-241.

8.

류명옥, 이미숙, 노진아. 2012. 정신지체장애 중심 특수학교 학교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조사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14(1), 179-201.

9.

손지영, 박현옥, 이정은. 2013. 지적장애 특수학교 도서관 운영에 대한 학교도서관 담당교사의 경험과 인식. 특수교육, 12(1), 181-206.

10.

염지애, 김복동. 2016. 시각장애학교 도서관의 운영실태 및 학생 인식 연구. 시각장애연구, 32(1), 41-66.

11.

이미숙, 송기호. 2011. 특수학교 도서관 현황 및 운영에 대한 담당교사의 인식.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2(3), 507-534.

12.

천지연. 2017. 학교도서관의 장애학생을 위한 서비스 현황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13.

교육통계서비스 [online]. [cited 2019. 2. 20]. <https,//kess.kedi.re.kr/post/6652523?itemCode=03>

14.

Huang. S.T. 2009. Reference service for disabled individuals in academic libraries. The Reference Librarian, 11(25-26), 527-539.

15.

Janet Murry. 2010. School libraries and special education. The Australian Library Journal, 49(4), 357-36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